Responses of Soybeans to Water Stress During Germination n. Water Uptake and Osmotic Potential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대두의 발아반응에 관한 연구 제2보 발아기에 있어서 대두의 수분흡수 및 삼투압 변이

  • Published : 1981.06.01

Abstract

Laboratory experie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water uptake and osmotic potential of soybean seeds associated with germinability. Bonus, Wayne, Essex and Picket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Large and small seeds from the four varieties were included in water uptake measurements at $25^{\circ}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ter uptake during germination due to seed size and cultivars at optimum moisture condition, -6 and -15 bars soil moisture. As water stress increased, the water uptake of Pickett and Essex were superior to Bonus and Wayne, and small seeds were superior to large seeds. The seed moisture content at germination was 60.8% on a fresh weight basis under optimum moisture condition. The minimum moisture contents necessary for the germination were 50.2% at -6 bars and 50.9% at -15 ba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eties in seed osmotic potential during germination, although these differences depended on imbibition time. The average osmotic potential ranged from -32.0 bars after 4 hours imbibition to -11.2 bars at the beginning of germin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edling length and osmotic potential was not significant after any period of imbibition, suggesting that osmotic potential i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seedling growth. However, osmotic potential is closely related to water uptake capacity of soybean seed.

본 시험은 대두 종자의 수분흡수 및 삼투압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수행되었다. Essex, Pickett, Bonus와 Wayne 4개품종이 공시되었고, 이들 품종들의 종자를 각각 소입 및 대입으로 분류하여 수분흡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수분조건에서 대두 종자의 수분흡수 능력은 종자의 크기 및 품종간의 유의적인 차를 보였다. Essex와 Pickett은 Bonus와 Wayne에 비해, 동일품종내에서 소입은 대입에 비해 수분흡수 능력이 우월하였다. 2. $25^{\circ}C$의 온도에서 대두 종자의 발아기간은 적당한 수분조건 및 -6bars의 토양수분 상태에서 2일, -15bars의 토양수분 조건에서는 5일로 지연되있고, Essex나 Pickett은 Wayne이나 Bonus에 비해, 그리고 소입종은 대입종에 비해 발아기간이 단축되었다. 3. 적당한 수분조건에서 발아초기에 대두 종자의 수분함량은 60.8%이였으며, 발아에 필요한 최소 종자의 수분함량은 -6bars에서 50.2%, -15bars에서 50.9% 이었다. 4. 발아기에 있어서 대두 종자의삼투압품종 및 침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변이를 보였으며, 4시간과 8시간 침종사이에서 급수한 증가를 보였다. 평균 삼투압은 4시간에 침종에서 -32.0bars, 발아초기에서 11.2bars의 범위를 나타냈다. 5. 초기 침종으로부터 발아초기 동안의 품종별 전체평균 삼투압을 보면 Bonus가 -19.4bars, Wayne이 -18.3bars, Essex가 -15.1bars, 그러고 pickett이 -13.2 bars 이었다. 6. 침종시간에 따른 초장의 길이와 삼투압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초기초장의 생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분흡수와 삼투압간의 상관계수는 고도의 정의 유의성을 보였다(r=.98). Bonus나 Wayne에 비해 Pickett과 Essex는 높은삼투압을 보였으며, 이것은 수분흡수 시험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건조상태에서 발아능력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되리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