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s of Soybeans to Water Stress During Germination III. Respiration of Soybean Seeds During Imbibition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대두의 발아반응에 관한 연구 제3보 침종시간에 따른 대두종자의 호흡율 변이

  • Y. W, Kim (Crop Experiment Station,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H. C, Minor (Agronomy Department, University of Columbia-Missouri)
  • Published : 1981.06.01

Abstract

Respiration of whole seeds and seed parts isolated from four soybean varieties Essex, Pickett, Wayne and Bonus as measured at $25^{\circ}C$ during germination. The average respiration rates of cotyled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arts. The values were 35.7, 28.0 and $23.9{\mu}hr^{-1}$ seed$^{-1}$ for cotyledons, embyros, and hila, respectively. Bonu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spiration rate than the other varieties did. The interaction of variety x seed part was not significant source of variation for respiration. This suggests that seed part and variety independently contribute to soybean seed respiration during early imbibition. The effects of imbibition time and time x variety intereaction on whole seed respiration were significant, but the variety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ed moisture content and respiration after 24 hours of imbibition was significant for Bonus, but not for the other varieties tested. This suggests that Bonus may require more water for respiration during imbibition than the other varieties. There 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whole seed respiration rate after 24 hours imbibition with seed weight or seedling length.

본 시험은 대두 종자의 호흡율의 품종간 차 및 종자 부위별 (자엽, 배축, 배꼽) 차를 검토하고, 이러한 호흡율의 차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서 효율적인 고발아성 종자의 초기 선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저 수행되었다. 1. 1시간 침종후 대두 종자의 흡수율은 종자부입별 및 품종간 차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 종자부위와 품종간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므로 종자부위와 품종은 대두 종자의 호흡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2. 자엽의 호흡율은 다른 부위, 즉 배축이나 배꼽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그 평균값은 자엽이 35.7, 배축이 28.0, 그리고 배꼽이 $23.9{\mu}hr^{-1}$ seed$^{-1}$이었다. 그러므로 대두 종자의 저장기관이 전체적으로 호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낮은 호흡율을 보였다. 3. 전체 대두 종자의 호흡율에 있어서 침종시간 및 시간과 품종간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시간 침종 동안에 급격한 호흡율의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 호흡율 4시간에 13.6, 8시간에서 16.3, 12시간에서 17.8, 16시간에서 23.2, 그리고 24시간에 $25.3hr^{-1}$ seed$^{-1}$이었다. 4. 품종 Bonus에 있어서 종자 수분함량과 24시간 침종동안의 종자의 호흡률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에 있어서는 상관계수 유의성이 없었다. 이 결과는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에 비해 24시간 침종동안 호흡에 보다 많은 수분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5. 종자무게와 호흡률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호흡률은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