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ersimmons -(Part 1) Effect of Carton Dioxide Treatment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탄산(炭酸)가스처리(處理)가 탈삽(脫澁)에 미치는 영향(影響)-

  • Seu, Ohn-Soo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hn, Tae-Hwa (Dept.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서온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
  • 손태화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76.06.30

Abstract

The experiment was made to investigate concentrations of $CO_2\;and\;O_2$ in the removal of astringency of persimmon fruits and to study the changes of total, reducing sugar and hardness during the removal of astringency. 1. During the removal of astringency of persimmon fruits, channel of tannin content showed the rapid decrease in high concentration of $CO_2$ and the gradual decrease in low concentration of $CO_2$. 2. Concentration of oxygen did not show effect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at high concentration of $CO_2$ but at low concentration of $CO_2$ in Chungdo-Bansi. 3. Optimal concentration of the removal of astringency was $60{\sim}70%,\;CO_2$ and $6{\sim}8%\;O_2$ in Chungdo-Bansi and Sagoksi 4. In changes of sugar content total sugar was decreased and reducing sugar was increased.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생산(生産)되는 청도반시와 사곡시의 탈삽조건(脫澁條件)을 구명(究明)하고 탈삽중(脫澁中) 전당(全糖), 환원당(還元糖) 및 경도변화(硬度變化)를 조사(詞査)한 과과(果果)과는 다음과 같다. 1)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 tannin변화(變化)는 탄산(炭酸)가스농도(濃度)가 높을수록 감소(減少)가 급격(急激)히 일어났으며 낮을수록 완만하였다. 2) 산소농도(酸素濃度)가 탈삽(脫澁)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있어서, 청도반시는 탄산(炭酸)가스농도(濃度)가 높을 때는 큰 영향(影響)이 없었으며 저농도(低濃度)일 때는 영향이 있었는데 특(特)히 사곡시에서는 현저(顯著)한 영향이 있었다. 3) 청도반시 및 사곡시의 탈삽(脫澁)에 있어서 적정(適正)가스농도(濃度)는 탄산(炭酸)가스 $60{\sim}70%$, 산소(酸素) $6{\sim}8%$이었으며 탈삽(脫澁) 소요일수(所要日數)가 청도반시 3일 사곡시는 4일이 소요(所要)되었다. 4)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 전당(全糖)의 변화(變化)는 두 품종(品種) 모두 탄산(炭酸)가스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완만(緩慢)히 감소(減少)하였으며, 산소농도별(酸素濃度別)로는 산소농도(酸素濃度)가 낮을수록 감소(減少)가 심하였다. 5)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 환원당(還元糖)의 변화(變化)는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증가(增加)하였으며 탄산(炭酸)가스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