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산자재(珪酸資材)의 첨가(添加)에 따른 답토양중(沓土壤中)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동태(動態)

Fate of inorganic nitrogen by addition of silica materials on the fresh soil condition

  • 심사 : 1975.04.20
  • 발행 : 1975.06.20

초록

규산자재첨가(珪酸資材添加)에 따른 논토양(土壤)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동태(動態)를 밝히기 위(爲)하여 호남(湖南)(HC) 및 수원(水原)(CoS)의 2종류(種類)의 신선토양(新鮮土壤)을 사용(使用)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산자재(珪酸資材)의 첨가(添加)에 따른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의 증가시기(增加時期)는 수원토양(水原土壤)에서 빠르고 호남토양(湖南土壤)에서 늦었다. 또한 규회석(珪灰石)에 의한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은 규산석회(珪酸石灰)보다 많았다. 그러나 무기화량(無機化量)은 전반적(全般的)으로 적어서 토양유기물량(土壤有機物量)이 적다는 것을 반영(反映)해 주고 있다. 2. 규산자재첨가(珪酸資材添加)에 따른 시비질소(施肥窒素)의 동태(動態)를 보면 점토함량(粘土含量)이 적은 수원토양(水原土壤)에서는 초산화성(硝酸化成)이 촉진(促進)되어 탈실(脫室)에 의(依)한 시비질소(施肥窒素)의 손실(損失)이 컸다. 또한 이 손실(損失)은 규산석회(珪酸石灰)의 영향(影響)이 규회석(珪灰石)보다 현저(顯著)하였다. 3. 규산자재(珪酸資材)의 시용(施用)에 따른 벼에 대한 질소양분(窒素養分)의 공급개선(供給改善)은 유기질자재(有機質資材)와의 병용(倂用)이 주요(主要)하다는 것이 추론(推論)되었다.

A lab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mineralization in accordance with addition of calcium silicate and wollastonite on the fresh soil condi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itrogen mineralization due to application of silica materials was rapidly occured in Saweon sand soil than in Honam clay soil. Also wollastonite application more stimulated the nitrogen mineralization than calcium silicate. 2. Silica material application enhanced loss of applied nitrogen by denitrification due to accelerate the nitrification in Suweon sand soil. This tendency was more severe in calcium silicate applicated treatment than in wallasnonite applicated. 3. From these results, nitrogen should be applicated with organic matter to improve the supply of nitrogen nutrient to plant when silica materials were appl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