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충의 생식후원선이 아닌 한 쌍의 소반점에 관한 조사연구 (2)

Studies on a pair of small spot of nonsexual gland hind of the larvae in Bomsyx mori L. (2)

  • 발행 : 1970.12.01

초록

수컷 제 9복절의 복면에 암컷의 생식후원선의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생식후원선과 비슷한 한 쌍의 소반점이 있는 경우가 있어 자웅감별에 있어서 혼란을 이르키고 있기 때문에 실용상의 문제로서 기보 한 바와 같이 6품종의 잠품종에 대하여 조사연구한 바 품종별 또는 계통별 특성이 있어 보편적으로 중국종은 일본종에 비하여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품종 고유의 특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품종간의 교잡F$_1$에 있어서도 유전적인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첫번째 조사에서는 계통별로 보아 일본종이 평균 17.8%이고 중국종이 57.0%였지만 재조사한 바에 의하면(참조 Table 1.) 일본종이 평균 13.6%이고 중국종이 37.8%인 것을 보면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지만 중국종계가 일본종계에 비하여 항시 고율인 것에는 틀림없었다. 2. 일본종계에 있어서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1.2~2.6%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0.5~0.9%였으며 중국계에 있어서는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7.1~9.4%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2.9~3.4%로서 여기에서도 중국종계가 고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중국종계에 이 소반점이 많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것이었다. 3. 교배형식을 각각 달리한 교잡F$_1$에 있어서도 소반점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분리되었다. 4. 소반점 출현수가 적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에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 보다는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세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에서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참조 Table 2. C.G>B.F) 5.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은 출현수가 적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H>E) 6. 예외(A.B)는 있었지만 같은 형식의 교잡종(C.D, E.F, G.H)에 있어서는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것이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것 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Occasionally, We make mistake of discrimination of sex since a pair of small spots around tile abdomen of 9th abdominal of males and posterior spots of females of the silkworms larvae are found at almost same position. As already have reported, more larvae which have the small spots were found in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small spotted larvae hereditarily when hybridize with different race (F$_1$) 1. According to the first report, average 17,8% of the small spotted larvae are found in the Japanese race and 57.0% in the Chinese, but my re-invested data which was carried out recently shows that average 13.6% in the former case and 37.8% in the latter. Those new data are supposed to b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figures are flexible but in any cas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larvae were found in the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Reference Table 1 ) 2. Miscalculated ratio of the larvae from males to females are 1.2-2.6%, and from females to males are found 0.5%-0.9% in the Japanese race, In case of the Chinese race, 7.1-9.4% in tile former and 2.9-3.4% in the latter. Those data also shows that more of the larvae found in Chinese race. 3. The larvae of small spotted and non-spotted are also seperated when hlybridize with different mating types and races. 4. More small spotted larvae are seen when hybridize with less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and males which have the small spots than more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with none spotted of the males (Reference Table 2. C.G.)B.F.). 5. More larvae of the small spots and found in case of hybridize in a group of having small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H>E). 6. With the exception of the case (A.B), in the same type of cross breeding (C.D, E.F, G,H), more larvae of the smal1 spots are also found in case of hybridize with males of having the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