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비만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Public Data for Supporting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손민지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김하원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 송병진 (한국폴리텍대학 원주 캠퍼스 의료공학과)
  • Minji Son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Ha-Won Kim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 Byung-Jin Song (Dept. of Med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S)
  • 발행 : 2024.10.31

초록

최근 정부는 비만의 위험성을 인지해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단독 질병코드로는 진료 및 급여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_시군구별 비만 진료 통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소아·청소년 비만율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해 통계자료를 근거로 비만 진료의 현황을 파악해보았다. 이는 향후 소아·청소년 비만 지원 방안 개선과 정책적 방향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소아·청소년 비만과 치료 현황을 분석하며, 소아·청소년 비만 관련 효과적인 개입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상록, 김진희. 비만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4), 91-117. (2011).
  2. 노은이, 은상준. 아동.청소년 비만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2013).
  3. 임희진, 박형란, 구현경. 아동.청소년 비만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4. 강재헌, 정백근, 조영규, 송혜령 and 김경아. 성인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으로 인한 총 진료비 중 과체중 및 비만의 기여분 :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중심으로. 농촌의학.지역보건, 35(1), 77-88. (2010).
  5. 홍용희.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비만관리를 위한 제언. 대한의학회지. 67(5). 306-311. (2024).
  6. 김봉균. 코로나 19 사태가 청소년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비수도권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3(1), 118-140. (2023).
  7. 박경돈. 의료이용의 지역적 불균형에 대한 연구 -공간종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3), 388-416. (2012).
  8. 장욱, 한승진. OECD 통계로 본 한국 의료자원 현황과 주요 이슈. (2018).
  9. 정백근. 지역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수립 방안과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의의. 보건복지포럼, 2018(6), 50-61.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