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ga Ship 접안이 컨테이너 터미널 체선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creasing Cngestion of Container Terminal as Berthing Mega Ship

  • 김남경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신재영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Kim, Nam-Kyoun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Shin, Jae-Young (Department of Logistics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18.05.24

초록

선박의 대형화와 더불어 증가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부산항은 글로벌 인프라를 조성, 신설 부두 추진, 항만의 개발 등 다양한 시각으로 노력하고 있다. 부산항이 향후 대형 선박 접안에 대비하여 인프라를 갖출 수 있다면 20,000TEU 이상 선박의 작업도 가능할 것이며, Megamax 시대의 중심 항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형 선박 접안시 많은 선석과 장비, 작업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선박의 체선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형선박 접안이 컨테이너 터미널 체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To deal with the increasing volume of the vessel's cargo in the container flow and the enlargement trend of the vessels, Pusan port is making efforts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creation of global infrastructure and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new wharves. If Pusan port can provide and prepare the eligible infrastructures for future berthing of larger vessels. It will be able to operate with vessels larger than 20,000TEU, and it will also be able to grow into one of the main port of the Mega max era.. However, when large vessels dock, many berths, equipment, working time and labors are required. As a result, the problem of delaying time of other consecutive vessels will inevitably arise. In response to this, we analyze the impact and effect of the birthing of a large vessel on other congestion vessels at a container termin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