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n Adaption Method from Game to Film : Case on Angry Bird

게임의 영화화 각색방법에 대한 고찰 : 앵그리버드를 중심으로

  • Bo, Ding Zhi (The Department of Image Content, Graduate School, Dongseo University) ;
  • Song, Seung-keun (The Department of Image Content, Graduate School, Dongseo University)
  • 딩즈보 (동서대학교 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 송승근 (동서대학교 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Casual games are often have simple rule and easy to play. Like Angry birds, players can sling a bird as a bomb to destroy target. But the film adaption encounters numerous questions. games in pursuit of strong sensed presence, pay attention to experience; film stress the integrity of the stor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plot. However, casual games don't have story and plot. This paper take angry birds as example, analyzes the difficulties and method of adaptation from leisure mobile games to films, summarizes the key successful elements of adaption, such as subdivided the target group, chose an appropriate genre, write a script follow the basic logic and frame of film, set contradiction, complicated the character and still contain key elements of the game, in order to provide new idea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gration of game and movie industry.

2016년 7000만 달러를 투자해 스마트폰 기반 캐주얼 게임을 각색한 3D 애니메이션 영화 <앵그리버드>가 상영된 후 전 세계적으로 누적 흥행 수입 5.14억 달러를 초과하는 등 큰 성공을 이루었다. 게임을 각색한 영화에서 입소문과 흥행 성적이 모두 좋았던 성공 사례는 매우 드물다. 구체적인 이야기 줄거리, 캐릭터 그리고 세계관이 없는 스마트폰 기반 캐쥬얼 게임을 어떻게 대중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상업 영화로 각색할 수 있었는지가 본 연구 목적이다. 본 연구는 먼저 스마트폰 기반 캐쥬얼 게임 <앵그리 버드>와 대형 온라인 게임 <와우>에 대해 비교를 진행하여 각색함에 있어서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다음 <앵그리 버드>의 게임과 영화를 비교하여 두 매체 속에 존재하는 핵심요인 간 차이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관객 평가 결과를 참조하여 가장 관객들의 인정을 받는 영화의 요소와 이런 종류의 영화에 대한 관객의 태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