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 Releasing New Danger Mark Buoy

자동이탈식 위험표시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Gug, Seung-Gi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Science,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 Park, Hye-Ri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Science,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국승기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 박혜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16.05.19

Abstract

Aids to Navigation (AtoN) is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y to facilitate the safe and efficient movement of shipping and enhance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by the regulation or guidelin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IALA). By IALA NAVGUIDE, the term "New Danger" is defined as newly discovered hazards not yet shown in nautical documents and includes naturally occurring obstructions such as sandbanks or rocks or man-made dangers such as wrecks. 'New Dangers' should be appropriately marked using Lateral, Cardinal, Isolated Danger marks or by using the Emergency Wreck Marking Buoy. However, the Emergency Wreck Marking Buoy has difficulties with implementation conditions in terms of speed and accuracy to install the buoy. In case of sinking accidents, it is difficult immediately to install the Emergency Wreck Marking Buoy because of weather conditions, marine environments and accident position. This paper studies Auto Releasing New Danger Mark Buoy on the deck which can be automatically to release from the deck of a vessel and float in the water and quickly install the accident position in case of sinking accidents. The buoy will be to reduce the risk of navigation and prevent secondary collisions.

항로표지란 해상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고 선박운항의 능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양교통안전시설로서 국제적으로 IALA 규정 및 권고사항에 따라 적용하고 있다. 그 중 "새로운 위험물(New Danger)"는 항해용 해도 등의 수로서지에 미기재된 것으로 새로이 발견된 위험장해물을 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사주나 암초 등의 자연적 장해물 또는 침선과 같은 인위적 장해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새로운 위험물은 측방표지, 방위표지, 고립장해표지 등을 이용하거나 비상침선표지(Emergency Wreck Marking Buoy)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침선표지의 경우 설치의 신속성, 정확성, 부표의 특성 등의 문제로 인해 실질적인 설치 운영상의 문제가 제기 되고 있으며, 선박 침몰 사고의 경우 기상악화, 해역의 특성, 사고 위치의 확인이 어려워 신속한 신위험물표지(New Danger Mark)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선박 상갑판에 부착된 소형 침선표지가 선박의 실종 전복 침몰 등 해양사고 발생 시 일정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Auto Release) 후 자기 부상(Auto Buoyance)하여 사고 발생 지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