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istrict Management of Aids to Navigation Through Manned Lighthouse

유인등대를 활용한 항로표지 소권역화 관리에 관한 연구

  • Gug, Seung-Gi (Department of Coast Guard Studies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 Park, Hye-Ri (Graduate school of Maritime & Ocean University) ;
  • Kim, Jung-Rok (Graduate school of Maritime & Ocean University) ;
  • Jeong, Hae-Sang (Graduate school of Maritime & Ocean University)
  • 국승기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 박혜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정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정해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16.05.19

Abstract

At Present, Korea government run the 38 points manned lighthouse, the change of Manned lighthouse that manager live is inevitable in orger to enhanced features as aids to navigation and provide a for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There are "Enhancing management system for Manned Lighthouses" four standards(Function of AtoN, Functionality of wide area management, National policy, Marine culture) for evaluation of Unmanned Lighthouses. After collecting these datas, analyzing it, applying AHP and Likert Scale, we choose base manned lighthouses for shorten restoration time that can manage AtoN far from regional office of Oceans & Fisheries. This paper will support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AtoN that were scattered in sea of korea and improvement living environment for lighthouse keepers.

현재, 우리나라 전 해상에서는 38개소의 유인등대가 운영 중이다. 사람이 거주하면서 등대를 관리하는 유인등대는 항로표지로서의 기능강화와 관리체계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들 유인등대 중 무인화 등대에 부합하는 등대를 선정하기 위한 유인등대 관리체계 개선 기준(항로표지 기능, 광역관리 기능성, 국가정책, 해양문화공간 운영)을 마련하여 무인등대화를 위한 평가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AHP 가중치 및 리커드 척도(Likert Scale) 분석 기법을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관할청에서 멀리 떨어진 항로표지의 기능장애시 복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유인등대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주변의 항로표지를 소권역화 할 수 있는 거점등대를 선정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전 해상에 산재되어 있는 항로표지시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유인등대의 생활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