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between Executed and Imagined Movements in Phase Synchrony of EEG in humans with Stroke: A Preliminary Study

뇌졸중 환자의 EEG phase synchrony에 따른 움직임 및 운동의지비교: 예비 결과 분석

  • Kim, Da-Hye (Center for Bionic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Wanjoo (Center for Bionic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Yun-Hee (Dept.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ung-Phil (School of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Leahyun (Center for Bionic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won, Gyu-Hyun (Center for Bionic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다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닉스연구단) ;
  • 박완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닉스연구단) ;
  • 김연희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
  • 김성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및인간공학부) ;
  • 김래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닉스연구단) ;
  • 권규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닉스연구단)
  • Published : 2013.11.08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5 명을 대상으로 상지 운동(Affected hand의 주먹 쥐기/펴기운동)시 참가자의 운동의지와 운동 수행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을 가정하고, 운동 수행 및 운동의지가 존재하는 Active movement와 운동 수행을 하지만 운동의지가 없는 Passive movement, 운동 수행은 없지만 운동의지가 있는 Motor Imagery(MI)의 세가지 task에 따른 뇌파의 연결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때 EEG 영역 간의 연결성을 보기 위한 분석 방식 중 하나인 Phase locking value(PLV)를 통해 각 task 간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했다. 운동 수행은 동일하지만 운동의지 유무에 따른 차이는 Passive movement가 전반적으로 뇌 영역간 연결이 감소하고 Active movement가 motor task 시작 후 375ms를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함을 보이는 데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운동 수행 유무에 따른 차이는 687.5ms 이후 Active movement에 비해 MI에서 뇌 영역 간 연결 수가 확연히 감소하는 데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 시의 motor task에 따른 EEG 영역간의 연결성을 토대로 운동의지 검출이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