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Study on Tsunami Disaster Mitigation for Ship Navigation in Inland Sea

내수해역에서의 선박통항과 관련한 쯔나미 재난 경감을 위한 기초연구

  • Kim, Kyu-Kwan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Joong-Woo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ang, Sug-Ji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won, So-Hyun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Hyung-Ha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규광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이중우 (한국해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 강석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권소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이형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11.11.17

Abstract

최근 해저지진의 활동에 따른 극한 쯔나미 파랑이 해안도시와 항만에 어마어마한 손상을 가져오고 있다. 전세계에 걸쳐 특정해역에서는 강한 정진형태의 부진동과 처오름이 관측되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그렇게 빈번한 발생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으나, 과거기록을 보면 동해에서 몇 개의 중요한 발생사례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만이나 내수해역에서 최근 해저지진의 발생 추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쯔나미 발생 메카니즘을 해석하여 새롭게 내수역에서의 수치모델에의 적용을 통해 공진을 통한 쯔나미 파랑의 변환을 다루어 통항선박에 대한 안정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내수역에서의 쯔나미 파랑에 대한 반응을 정합성 및 웨이블릿 해석으로 탁월 주기와 지속시간에 대한 분석으로 파악하였으며, 쯔나미파의 입사와 독립적인 공진모드의 도출은 쯔나미 재해의 경감을 위한 시설물 및 재난지역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는 장래 재난에 대한 적절한 대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