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 잉킹의 효과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gital Inking in the Collaboration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

  • 윤민식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손원성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Yun, Min-Sik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Computer Education) ;
  • Sohn, Won-Sung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Computer Education)
  • 투고 : 2010.07.24
  • 심사 : 2010.08.04
  • 발행 : 2010.08.1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학습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24명을 대상으로 협력 학습에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와 더불어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여 학습하였을 때 문제해결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험 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활용하였고, 통제집단은 디지털교과서의 기본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를 비교 분석하여 적용한 결과 디지털교과서 기본콘텐츠와 디지털 잉킹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기본적인 디지털교과서 콘텐츠로만 문제를 해결한 학생들에 비해 문제해결력에 향상을 보였고,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when they study with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digital ink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The experimental group solved the math problems using basic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digital inking while the control group solved the math problems using basic digital textbook contents alone. The result of analysis and comparison is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basic digital textbook contents and digital inking showed more improved problem-solving competenc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basic digital textbook contents alon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recorded a higher satisfactory level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