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주자 입장에서 바라본 혁신적인 관급공사 관리 프로세스 제시를 위한 기초 연구

An Innovative Public Project Process Management For the Government Owner

  • 김성원 (경남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 김대영 (경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8.11.07

초록

우리 건설산업은 2000년 이후 공공부문의 발주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공공사업에서의 비용, 일정 그리고 품질관리는 일반적으로 결과 중심적인 관리행태에 의존하고 있음과 공사 중 투명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비용과 일정의 증가, 부실시공, 문제점의 조기발견과 대책수립의 어려움, 그리고 시공자, 감독자, 설계자 사이의 책임소재 불명확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관급공사의 발주자조직을 대상으로 현 관급공사의 발주자의 관리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여 그 문제점 및 관리의 한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문제점과 한계를 보완 또는 개선할 수 있는 모델을 발주자 조직에 제시하여 보다 나은 발주자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프로젝트관리업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 public sector's ordering volume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after 2000. But, because a cost, schedule and quality control generally depends on a result-centric management form and a transparent management is not done during the construction in the Korean public business, it is recognized that this causes problems including an increase of cost and schedule, incomplete construction, a difficulty to find the problem in advance to establish measures, and an unclear locus of responsibility of constructor, supervisor and designer.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derive the problems and the limit of management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management state of the present government construction client for the client organization of public sector's government construction. Also, the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client's efficient and actual project management by presenting the model of supplementing or improving the derived problem and limits to the client's organiz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