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비 전문건설업에서의 기능인력 운영상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Technicians Operation in Specialized Construction Firms by machinery&equipment services

  • 김윤수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건설경영관리학과) ;
  • 배성율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용수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발행 : 2008.11.07

초록

본 연구는 기계설비 전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기능인력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18개 기계설비 전문건설업체의 경영자/작업반장 및 일반건설업체 현장관리자를 사례대상으로 선정한후 직 하도급별 문제점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조사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기능인력운영 실태를 분석한 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수행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의 작인반장의 역할은 도급제 근로자를 관리운영 하는 책임자이지만 원도급자와의 종속적인 관계로 인한 인력관리 권한축소로 인해 기능인력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효율적인 기능인력운영을 위해 작업반장의 현장대리인화 또는 연봉제로 고용된 작업반장을 통한 인력관리가 기능인력운영상의 개선방안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chnical manpower management problems that were made by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centering on the field of machinery and equipments, to offer an improvement of technical manpower management. For this study, the adapted research method select owners&foremans on 18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by machinery&equipment services and on-site supervisors on general contractor and then investigate the problem of contract and subcontract by survey. After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it present an improvement of technical manpowe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t is analyzed foreman had a number of difficulty for dealing manpower management because of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foreman. 2)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manpower management is concluded that foreman is to be on- site proxy supervisor or to be hired by an annual sala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