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n Carbonation Resistance of Products for Protection and Repair of Concrete Structures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및 표면보호재의 중성화 저항성 평가

  • 박상순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 유충현 (서울특별시 북부도로교통사업소) ;
  • 박헌일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 신홍철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 유병철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 김영근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방수보수보강센터)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rbonation resistance by measuring carbonation penetration depth and diffusion equivalent air layer thickness for 3 types of repair materials and 2 types of surface protection materials. Diffusion equivalent air layer thickness($S_D$) is thickness of a static air layer that possesse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same carbon dioxide permeability as the coating in accordance BS EN 1062-6. There is a significant advantage that continuous test is possible because it does not destroy the specimen. From experiment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determination of carbon dioxide permeability is effective to evaluate for surface coating materials.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보수재료인 폴리머시멘트계열의 단면복구재 3종 및 표면보호재 2종에 대해 촉진중성화 시험을 실시하여 국내 보수재료의 중성화 저항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KS 시험규격인 침투깊이 측정법과 함께 유럽시험규격인 BS EN 1062-6에서 규정한 등가공기층 확산두께산정을 적용하였다. 등가공기층 확산두께($S_D$)란 코팅재와 동일한 이산화탄소투과성과 동일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부동 공기층의 두께로서, 시편을 할렬 파괴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시편으로 연속적인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험결과 단면복구재의 경우 중성화깊이 측정법을 통해 이산화탄소 투과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반면 표면보호재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투과량 측정을 통한 등가공기층 두께 산정법이 효과적인 이산화탄소 투과저항성능 평가방법임을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