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under Various curing conditions

각종 양생방법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조현대 (대구대학교 건축공학과) ;
  • 정재동 (대구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The KS F 2403 method used on domestic sites for check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structure, se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used in structural specimens a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esting specimens. Under this regulation, the curing method used for testing the specimens must be the standard ponding curing method (20$\pm$2$^{\circ}$C). However, because in-placed concrete is exposed to open air and cured under the seasonal temperature chang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real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tested compressive strength. (Therefore,) This thesis first identifi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trength development by applying the curing method listed under the KS and used for testing specimens on compressive strength tests; the atmospheric curing method, the sealed curing method, and the structural specimen core strength testing methods used for the in-sites quality checks including reckoning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ructural specimens and form-demolding period; and the curing method suggested in this research, which sets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structural specimens as the conditions of the applied curing method. Then, the thesis suggests the specimen curing method that most closely reenac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used on the structural specimens

현재 국내현장에서 공사기간 중 구조물의 압축강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KS F 2403에 의한 시험용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로 정하고 있으며, 이 규정의 내용에는 시험용 공시체의 양생방법으로 표준수중양생(20$\pm$2$^{\circ}$C)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장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대기환경에 노출되어 사계절 온도변화의 환경하에서 양생되고 있어 실 구조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KS에 규정되어 있는 압축강도용 시험체의 양생방법과 현장에서 구조체의 강도 및 거푸집 탈형시기 판정 등의 품질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기중양생, 봉함양생, 구조체의 코어강도,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체의 내부환경 조건을 양생조건으로 적용한 양생방법을 적용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발현특성을 파악하여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에 가장 근접하는 공시체 양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