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s Characteristics at the Bottom of Shallow Reservoir using Streamer Resistivity Survey

스트리머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담수호 바닥 퇴적물 특성 분석

  • 송성호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이규상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강미경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영인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양빈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조인기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Published : 2008.10.09

Abstract

Streamer resistivity surveys in shallow marine environment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sediment characteristics at the bottom of reservoir. Because the resistivity values of reservoir water are very low and those of sediment are relatively high, apparent resistivity values increase with depth. And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apparent resistivity data decreased highly when the number of separa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peated data processing, we proposed the resistivity ratio of upper-to-lower layer is $0.6{\sim}0.8$ because the RMS error of inversion leads to the minimum in these range. As a result of the inversion for two- and three-layer model, the inversion including water depth i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method.

방조제에 의해 조성된 담수호 바닥 퇴적물의 특성 파악을 위하여, 스트리머 케이블을 이용한 수상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였다. 담수호에서 얻어진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는 전극전개수가 작은 경우에는 낮은 겉보기 비저항 값을 보이며, 전극전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고정된 전류전극에 대하여 전극 전개수가 증가할 경우 겉보기 비저항값이 크게 감소하는 자료는 역산자료에서 제외하는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하부층에 대한 상부층의 비저항이 0.6$\sim$0.8 사이의 값을 적용하는 경우 역산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닥 퇴적물을 2층과 3층으로 설정한 후 역산 결과 담수호 물의 비저항을 고려한 역산 결과가 하부 퇴적물의 비저항 분포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