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기능 제안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Buildings

  • 안상현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 문기송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 유정호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창덕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7.11.09

초록

학교 시설물은 2006년 현재 10,876개의 초, 중, 고등학교가 운영되고 있고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을 통한 학교시설물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향후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가 예상되므로 기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기존의 유지관리 체계는 일정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닌 문제 발생 시 보수를 위한 사후보전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현행되고 있는 유지관리 업무의 현황을 분석하여 유지관리 업무의 절차를 개선하고 실무 담당자들의 요구가 반영된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유지관리 업무의 간소화와 예산운영의 투명성 및 각 담당업무별 정보전달을 원할하게 하여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The 10,876 school buildings(year 2006) including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have been operated and the number of school buildings will increase with BTL(Build Transfer Lease) projects. However, as pop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rapidly with low birth rate, it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managing existing school buildings. The pres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is not being operating with regular plans but with making repairs when if problem happens.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propose a new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which will improve the process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works and reflect the needs of related officials in charge of with analyzing a pres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making research into documents and questionnaires. It enables to simplify maintenance and management work, to manage budget with transparency and to make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each work so that it promotes 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wor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