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formation Proposal of Post-Evaluation Indicator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Public Construction

공공공사 성과측정을 위한 사후평가항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은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환경공학과) ;
  • 김경환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윤선 (한양대학교 BK21 건축사업단) ;
  • 김재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11.09

Abstract

In Korea,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quantitatively because of its aggressive advances into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and the Korean government's housing policy. Moreover, visions and goals such as 'construction industry promotion build up plan' have recently been promoted by the government while new strategic growth focused on competitiveness is gaining interests among the industry. However, there are a few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First, the specific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 or skill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hardly found in Korea. Currently, the finance or overall management system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are used as indicators to measure performances in not only the construction industry but all industries includ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universitie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 and skill and have developed and actively studied on them.

국내 건설산업은 활발한 해외시장 개척 및 정부의 주택보급정책 등에 의해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나 최근 경쟁력 중심의 새로운 전략적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공건설사업의 성과측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재 건설공사 완료 후 타당성 분석결과를 검증하고 공사내용 및 효과를 조사 ${\cdot}$분석하여 향후 유사 건설사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2000년 3월부터 ${\lceil}$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 38조의18${\rfloor}$${\lceil}$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01.05.10, 건관 58824 -318)${\rfloor}$에 의한 '건설공사 사후평가'제도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인식도 및 활용도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을 추후 유사 공사에 적극적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평가항목 및 절차에 대한 개선방안 및 예비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