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the place of Refuge Through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외국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선박 피난처 지정에 관한 연구

  • Lee, Chang-Hyun (Graduate school,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Kim, Chol-Seong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Yang, Won-Jae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Park, Seong-Hyun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Jeong, Jung-Sik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이창현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대학원) ;
  • 김철승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양원재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박성현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정중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7.11.29

Abstract

A huge marine accident causes a loss of valuable lives, property and the seriou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IMO, active discussions about a potential occurrence possibility of marine accidents and appropriate place(place of refuge) to minimize the damage are being developed as appropriate transferring vessels which has a worry of a secondary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a previous marine accident Our country has a great potential et marine accidents due to the foreign vessel in distress because there is a huge vessel traffic amounts of the passage since which locate with in the important navigation connects the Asian region. and North America centering around north Pacific Ocean Also, we need the minimize the secondary damage from accident which occurs in domestic ports as transferring safe쇼 place when it is needed In this paper, analyzed and investigated a designated the place of refuge that analyze foreign cases, and will make a efficient and reasonable investigating plan of interior place of refuge.

해상에서로 발생하는 대형 해양사고는 소중한 인명손상과 재산상의 손실 및 심각한 해양환경 오염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IMO에서는 해양사고발생으로 인한 2차적인 해양환경오염피해 유발우려가 있는 선박을 적절히 이동시켜 잠재적인 해양사고 발생가능성 및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장소(피난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북태평양을 중심으로 아시아지역과 북미를 연결하는 주요 통항로에 위치하여 선박 통항량이 많기 때문에 외국적 조난선박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국내 항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에서도 선박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해양사고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피난처 지정에 대한 외국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국내 피난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