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사의 민원발생 특성분석

A Characteristic Analysis of Civil Appeals in Construction Project

  • 권진석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 손창백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6.11.11

초록

건축공사시 민원의 발생은 경우에 따라 비용보상, 공사중지, 행정처벌 등으로 인해 건설현장의 공사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민원의 사례 중 신축공사에 관한 민원사례를 연도별, 권역별, 발생시점별로 민원발생원인과 처리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건축민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1) 연도별 건축민원을 분석한 결과 민원인들의 생활수준 및 의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축 민원 발생건수가 증가추세에 있다. (2) 권역별 건축민원을 분석한 결과 강남권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민원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발생시선별 민원은 주로 공사중에 96%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시공자가 해당 권역에서 공사 시 주로 어떤 민원이 발생하는지를 사전에 예측하고 처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사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Civil appeals under constructions cause a lot of difficulties of doing construction because of compensations, interruption of works, administrative punishments, etc. So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complaints against constructions by analyzing the causes of civil appeals and treatment conditions classified by year, geography, and breaking time. This research indicates three points. (l) As the level of civil life and consciousness is increased, the number of civil appeals against constructions are tending upwards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by year. (2) Analysis about civil appeals classified by geography shows that the rate of civil affairs in Gang-nam District are higher than that of others.(3) 96% of the civil appeals by breaking time are occurred under the constructions. By predicting and treating of what type of civil appeals are occurred,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data which make damage minimi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