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환경에서의 그림자 놀이 도구 연구

An Emotional-Shadow Playing Tool for Casual Environment

  • 임양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황지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박진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Lim, Yang-Mi (Future Media Art Lab,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 Hwang, Ji-Yeon (Future Media Art Lab,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 Park, Jin-Wan (Future Media Art Lab,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06.02.13

초록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스튜디오 조명이 아닌 가정용 혹은 학교용 조명 하에서 동작하는 감정 표현이 가능한 그림자 놀이 도구를 소개한다. 이 놀이는 사용자의 실사로부터 추출된 가상 그림자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가상 표정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투영한다. 이 놀이 도구는 행위전시 등의 공연 환경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등의 일상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조명의 하나인 가정용 형광등과 백열등 환경을 가정하였고, 배경에 대해서는 어떤 제약도 가정하지 않았다. 사용자의 실사를 구분하는 과정에는 배경 차분화 기법을 사용하였고, 빛의 산란 및 실제 그림자의 영향 등으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서 가상 그림자의 표정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변화하며, 손동작 및 머리 위치의 추적을 위해 새로이 고안한 자질 기반 추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도구는 공연장에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 또는 공연, 아동 대상의 미술 교육,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