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about the analysis of Interactive art in the Oriental philosophy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인터렉티브 아트의 해석에 관한 연구)

  • Kim, Jae-Young;Yu, Hui-Beom;Kim, Seon-Ju;Kim, You-Suk;Sung, J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121-125
    • /
    • 2008
  • Media art is developing the art of 'interaction' that get meaning through communicating an audience. Now, media art got the title named interactive media art, but its concept is not clear In this study we divided into two classes - passive and active interactive art. Passive interactive art had the interaction 'participation of communication' and had flat and limited features. Active interactive art meant that an audience played with works actively and found significances between artworks and themselves. Through analysis of case study, we verified a propriety about own interactive art's division. Especially, the active interactive art was very important. The western classical metaphysics seemed to be not perfect in analysis of active interactive art. We tried to analyze active interactive art more perfectly by using the oriental philosophy.

  • PDF

Responsive new media art research using digital technology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반응형 뉴미디어 아트 연구)

  • Yoon, Hee-Sun;Kim, Ki-Beom;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337-342
    • /
    • 2020
  • Art work based on computer and internet media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art, computer art, internet art, interactive art. Through examples, we studied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exhibition o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 media works are expressed in a new form by fusion with various technologies of experimental propensity, and research and analysis of overseas media-related exhibition cases and interactive media use cases of works exhibited at the 'Media City Exhibition' in Korea were conducted. Was able to confirm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t. I think it will be a more meaningful study by setting specific criteria and focusing on the fields of application of new media art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uture values of the times.

A Study of Ambient Art as Public Art (공공예술로서의 앰비언트 아트 연구)

  • Kim, You-Suk;Kim, Jae-Young;Kim, Seon-Ju;Sung, J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442-445
    • /
    • 2008
  • 현대 도시의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위해서 공공예술은 중요한 요소이다 과거 조형적 작품으로 이루어지던 공공예술은 미디어아트, 인터렉티브 아트등 새로운 예술분야로의 접목이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인터렉티브 아트가 공공예술로 정착되기에는 가기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엠비언트 아트(Ambient Art)를 활용하였다. 엠비언트 인텔리전스(Ambient Intelligence)에서 파생된 개념으로의 엠비언트 아트는 Ambient Display와 Ambient Media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주의 없이도 환경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렉션을 일으켜 작품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예술장르를 말한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엠비언트 아트는 상황인지, 개인화, 분위기, 상호작용, 자가성장의 5가지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엠비언트 아트가 공공예술로 사용되기 위해선 소통, 보안, 선택권의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공공공간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공공예술이 가지는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3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보다 높은 수준의 소통과 과도한 관객의 상황정보 수집으로부터의 보호, 관객의 작품 참여 선택권은 엠비언트 아트가 가져할 구성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3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장르의 공공예술(New Genre Public Art)의 공공 엠비언트 아트(Public Ambient Art)를 제시하여 대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research interactive contents MICE-LED tele-screen bidirectional media art (MICE-LED융합 양방향 미디어아트 인터렉티브 컨텐츠 및 Tele-Screen 기초 연구)

  • Kim, Dong-Sik;Yoon, Sang-Ho;Kim, Byung-Oh;Kim, S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5-276
    • /
    • 2015
  • LED를 활용한 고객 체험형 양방향 디지털 미디어아트 컨텐츠 및 Tele-Screen 솔루션을 통하여 차별화된 서비스가 가능 자연 친화적, 인체 감응 및 상황 인지 기반으로 다수가 참여 가능한 양방향 소통, 감성 디자인이 고려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MICE 융합 인터렉티브 LED 미디어아트 콘텐츠 및 플랫폼 기술 개발의 기초 연구를 수행 하고, Tele-Screen개발과 구현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Fluid Interaction of Digital Media -Based on Net Art- (디지털미디어의 유동적 인터렉션 - 넷 아트를 중심으로 -)

  • Kim, Hyung-N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5
    • /
    • pp.193-201
    • /
    • 2007
  •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quickly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overall society. This change has influenced the art field and exceeded the limit of prior art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pening up a new world of art pieces starting among the young artists based on digital art technology. Especially the internet art of the computer technology made the communication of the artist and the viewer to communicate in a bilateral manner different from one way feeding of the past and made it possible for the viewers to choose their involvement in the act of seeing the work changing the reaction into a fluid concept. This thesis is about using the digital media in the net art communication to figure out the fluid interaction by approaching the digital media concept an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 art communication means and thus take a overall look at the artist related web sites and see the net art as a new communication means.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edia Art Work using Particle System based on Hand Gesture Detection (핸드 제스처(Hand Gesture) 인식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Particle System)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구현)

  • Oh, Minjeong;Seo, Y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39-41
    • /
    • 2018
  • 본 논문은 본인이 제작한 라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에 관련한 글이다.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 안에서 아날로그 감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작품 제작 방법으로 손으로 그린 나뭇잎을 입자로 사용한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NUI 인터페이스인 립모션 센서를 사용해 자연스러운 손 동작 인식을 하여 파티클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관람자는 바람을 일으키는 손 동작을 하며 가을 풍경과 같은 나뭇잎 파티클의 변화를 느끼게 되고, 계속되는 손동작에 따라 나타난 새로운 동영상을 감상하며 잃어버린 감성을 느끼게 된다. 아날로그 컨텐츠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은 관람자에게 친근한 접근과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의 새로운 확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Interactive Media Art Contents on Physical Computing Technology (피지컬 컴퓨팅 기술 기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콘텐츠에 관한 연구)

  • Li, Yi-Xian;Seo, Chang-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5
    • /
    • pp.193-197
    • /
    • 2012
  • On this paper is the project about which is base on Interactive Media Arts technology. What's more, the audience not only enjoy the images or performances on screen but also appear to be one important element in such interactive media. Therefore, it's function is to combine Physical computing and other perception like the musical instruments playing, then finally arriving to be real-time and capable to be interactive.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ractive Contents for Digital Mirror (Digital Mirror를 위한 인터렉티브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Ki-Hoon;Jeong, Ji-Hong;Pan, Young-Hwan;Oh, Sung-Ryong;Park, Jin-Woo;Jo, Hyun-Cheol;Lee, Dong-Wo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41-46
    • /
    • 2008
  •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인간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변화된 인간 생활 중 가장 큰 변화는 기술의 발전 이전에 사용되던 각종 제품 및 도구들이 디지털 기술의 힘으로 새롭게 재탄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재탄생된 제품 및 도구들은 사람과 제품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서로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Digital Mirror를 들 수 있다. 기존 인간 생활에서 사용되던 일반적인 Mirror가 최근 들어 Digital Mirror라는 새로운 형태의 제품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Digital Mirror는 일상생활 속에서 기존 거울을 대체하고 있으며,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현재 Digital Mirror는 광고, 인터렉티브 아트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Digital Mirror를 새로운 제품 산업군으로 확대하여 신사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수많음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제작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Digital Mirror의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제작을 목적으로, 기존의 인터렉티브한 콘텐츠 사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콘텐츠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아이디어를 통해 어린이 사용자를 타켓으로 새로운 사용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컨셉을 정하여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사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주는 콘텐츠 제작방향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놀이와 참여,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놀이 도구라는 개념으로 AR기술을 이용해 캐릭터를 좀더 사실적으로 체험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어린이 사용자가 캐릭터 마커를 착용하고 Digital Mirror앞에 서게 되면 캐릭터 마커에 해당되는 3차원 입체영상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어린이 사용자의 모습과 합성되어 사실적인 캐릭터 콘텐츠를 체험 할 수 있게 해 주는 콘텐츠이다.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캐릭터를 3D로 제작하여 캐릭터 소스로 활용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저작툴을 개발 완료하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실제 Prototype 제작하였다.

  • PDF

An Emotional-Shadow Playing Tool for Casual Environment (기본환경에서의 그림자 놀이 도구 연구)

  • Lim, Yang-Mi;Hwang, Ji-Yeon;Park, Jin-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13-5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스튜디오 조명이 아닌 가정용 혹은 학교용 조명 하에서 동작하는 감정 표현이 가능한 그림자 놀이 도구를 소개한다. 이 놀이는 사용자의 실사로부터 추출된 가상 그림자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가상 표정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투영한다. 이 놀이 도구는 행위전시 등의 공연 환경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등의 일상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조명의 하나인 가정용 형광등과 백열등 환경을 가정하였고, 배경에 대해서는 어떤 제약도 가정하지 않았다. 사용자의 실사를 구분하는 과정에는 배경 차분화 기법을 사용하였고, 빛의 산란 및 실제 그림자의 영향 등으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서 가상 그림자의 표정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변화하며, 손동작 및 머리 위치의 추적을 위해 새로이 고안한 자질 기반 추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도구는 공연장에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 또는 공연, 아동 대상의 미술 교육,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