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ion Model of a Working Pattern According to Working Time Reduction in Construction Sites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건설현장에서의 근로패턴 예측 Model

  • 김홍렬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유일한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김경래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
  • 신동우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In case of reducing working time, it is difficult that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alyzed far-reaching effects caused by a reduction of working time, by approaching with just the total amount of work. Because it has the properties such as the singularity, the outdoor using, a sense of the season unlike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a reduction of working time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example of a reduction of working time in domestic other industries related with it was analyzed intensively first. And an example in Japan, which is similar to our existing related laws and industrial structure among foreign construction industries was analyzed, and a relation with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ies and an issue were drown a conclusion. This was applied to a field worker and a related main group participating in a real production. And it showed the prediction model for a working pattern and a dealing plan to prepare in a construction site by predicting a working pattern in the management side of a construction site annually.

근로시간이 단축될 경우 건설산업은 타산업과는 달리 일회성, 옥외성, 계절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파급효과를 단순히 작업의 총량개념으로만 접근하여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법정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비용상승 효과가 실제 건설공사 생산구조에 어떻게 받아들여질 것인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건설현장의 근로시간과 근로패턴에 관한 문헌조사와 일본 건설산업의 근로시간 단축 사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현장의 근로패턴 변화를 분석${\cdot}$ 예측하였다. 근로 패턴 변화는 실제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현장근로자를 대상으로 년 단위 현행 모델과 근로시간 단축 후의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비교${\cdot}$분석하였으며, 현장관리 측면에서의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