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st Management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in the Korean Construction Market

공공건설사업 시공 전 단계 사업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Frequent design changes or unnecessary project executions due to illogical practice, lack of feasibility study and, hasty drive have raised problems of budget waste in Korean construction projects. Since the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published Master Plan for budget efficiency for government projects, there have been a lot of policy efforts for budget saving.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ost management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which greatly influences the cost still remains imperfect. The target cost for government clients is not being estimated reasonably, and cost controlling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is not yet being carried out properly for keeping the budget. Therefore, improved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wa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st management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were investigated for it, and the issues were drawn from the cost management systems of these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issues,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domestic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were analyzed for suggestion.

국내 건설사업은 잘못된 관행, 졸속한 사업추진, 사전조사의 미흡 등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거나 잦은 설계변경을 함으로써 예산 낭비를 초래해 왔다. 1999년 건교부에서 '원가절감을 위한 공공건설효율화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많은 정책적인 노력이 있었음에도 결구하고 사업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시공 전 단계의 사업비관리 부문은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발주자 측면에서 적정공사비를 반영한 사업비가 산정되지 않고 건설사업이 단계별로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를 고수하기 위한 관리도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진 사업비관리 체계에 대해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의 실제 프로젝트 및 관련 제도에 있어 시공 전 단계 사업비관리의 문제점 및 현황을 사업비관리(Cost Management)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국내 사업비관리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