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Management of Personnel for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건설업체를 위한 경력관리에 대한 연구

  • 장대천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태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Since 1990s, many companies or enterprises have been interested in Career Development or Career Management of Personnel in Korea. In the result of those interesting, some companies developed or built a program or computer system on Career Development or Career Management for their personnel. But their systems or programs are just the level to mange what kind of on-the-job training taken, ones experience where he or she worked, one who has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ring a position and etc. This is not fit the field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is not sufficient to mange workers at a construction company and their career. Because a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depends on ones ability including know-how, skill and experience and these dependence is higher than any other industry's projects. The level of management on the career of construction company's personnel should be lower and expended than now and the career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company should include individual experience and personal history(period attained a project or a work, what kind of project or work, and etc)attained in performing each construction project and show ones career development process to each person. This system gives participants a chance to educate oneself and evaluate the level of ones training by showing individual records to each member of staff. And the company gains the advantage of the staffs ability to easily solve problem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s capabilities.

지식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지식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지식의 원천인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심의 결과로 국내 기업들은 '핵심인력확보', '우수인력양성' 등과 같은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와 개발을 실시하였고있다. 이러한 인적자원관리 및 투자의 일환으로써 '인재의 적재적소 원칙과 우수인재의 파악 및 핵심인력의 양성' 이라는 목적하에 직원들의 경력관리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만들거나 개발한 경력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시스템은 개인(직원)이 자사에서 '어떤 직업 훈련을 받았는지, 어느 곳(현장)에서 근무를 하였는지, 어떤 자격증을 갖고 있는지' 등을 관리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조직원의 능력(know-how, 기술, 업무경험 등)이 수행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고 이러한 능력에 대한 의존성이 타 산업의 프로젝트보다 높은 건설기업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의 인력관리의 한 요소로 실시되고 경력관리에 대한 문제점의 파악과 건설기업의 경우에 필요한 건설인력을 위한 경력관리에 대하여 논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