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zeta-potential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26초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α-Fe2O3 Nanopowders Coated with Titanium Dioxide by Atomic Layer Deposition

  • Ok, Hae Ryul;Lee, Bo Kyung;Bae, Hye Jin;Kim, Hyug Jong;Choi, Byung 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7-140
    • /
    • 2017
  • A $TiO_2$ nanofilm was deposited on ${\alpha}-Fe_2O_3$ nanopowders using the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The $TiO_2$ film was prepared at $300^{\circ}C$ using $Ti(N(CH_3)_2)_4$ and $H_2O$ as the precursor and reactant gas, respectively. The thickness and composition of the $TiO_2$ surface were characterized by TEM and EDS measurements. The TEM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rate of the film was about $0.12{\AA}/cycle$. The EDS and SAED analyses showed the presence of titanium oxide on the surface of the ${\alpha}-Fe_2O_3$ nanopowders, confirming the deposition of the $TiO_2$ nanofilm. The Zeta potential and sediment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dispersibility of the coated nanopow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coated nanopowders. This is attributed to the electrostatic repulsion between the $TiO_2$-coated layers on the surface of the ${\alpha}-Fe_2O_3$ nanopowd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iO_2$-coated layers modifie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alpha}-Fe_2O_3$ nanopowders and improved their dispersibility.

나노 자철광의 표면전하에 따른 Poly(acrylic acid) 수화젤의 물성 (Properties of Poly(acrylic acid) Hydrogel by the Surface Charge of Magnetite Nanoparticles)

  • 서동필;강휘원;정창남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12-416
    • /
    • 2006
  • $FeCl_3$$Na_2SO_3,\;NH_4OH$에 의해 제조된 나노 자철광은 강자성체로 화학 흡착에 의해 형성된 표면의 수산기에 의해 표면전하가 변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oly(acrylic acid) (PAAc) 수화젤의 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특성은 XRD, AFM, FTIR로 측정하였다. 나노 자철광 표면의 제타전위는 pH 변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pH 4 이하에서는 높은(+)전위를 나타내었으며, 등전점은 pH 7에서 확인되었다. pH 4 이하에서 나노 자철광 콜로이드를 PAAc 수화젤에 함유시키면, 강력한 수소결합이 형성되어 젤의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신율 및 팽윤비는 감소하여 기계적인 물성이 증가하였다. 나노 자철광의 함량에 비례하여 나노 자철광을 함유한 PAAc 수화젤의 자기이력은 증가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과 폴리비닐알코올모노티올이 폴리초산비닐 라텍스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alcohol) Mono Thiol o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Poly(vinyl acetate) Latex)

  • 이서용;박이순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579-588
    • /
    • 2000
  • 보호콜로이드에 따른 입체 안정제 (steric stabilizer)작용이 폴리초산비닐 (poly(vinyl acetate), PVAc) 라텍스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호콜로이드로서 중합도 1080, 검화도 78.4%인 반응성 poly(vinyl alcohol) mono thiol (PVALT)를 사용한 것이 중합도 1100, 검화도 81.6%인 poly(vinyl alcohol) (PVA)를 사용하는 것보다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이 양호하였으며, 반응성 PVALT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은 향상되었다. PVAc 라텍스 입자의 표면 형태 변화는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입자크기는 반응성 PVALT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에멀젼의 중합 시 PVA보다 반응성 PVALT를 사용하는 것이 PVAc 라텍스의 안정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반응성 PVALT로 인해 PVAc 라텍스 입자계면에 PVA와의 화학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다량의 티올 (thiol)기가 도입되어 PVAc와 반응성 PVALT간의 화학반응으로 인한 PVALT-b-PVAc 블록 공중합체가 생성됨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제타전위는 탄산나트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폴리에틸렌이민으로 개질된 리포솜의 표면 특성 (Surface Properties of Liposomes Modified with Poly(ethylenimine))

  • 박윤정;남다은;서동환;한희동;김태우;김문석;신병철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02-508
    • /
    • 2004
  • 암을 치료하기 위한 양이온성 리포솜은 화학치료요법의 분야에서 발전되어 왔다. 양이온성 리포솜은 음이온성의 세포 표면에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합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이온성 세포와 이온결합을 할 수 있는 양이온성 리포솜을 제조하는 것이다. 양이온성 리포솜은 지질인 1,2-디스테로일-sn-글리콜-3-포스포에탄올아민 (DSPE)과 양이온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민 (PEI)을 그라프트 중합으로 합성된 물질로부터 제조하였다. 리포솜 표면의 이온 특성은 제타 포텐셜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소 혈청 수용액에서 리포솜의 혈장 단백질 흡착 특성은 입자 크기와 탁도 변화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완충 용액 속에서 리포솜 안정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입자 크기를 7일 동안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양이온성 리포솜은 소 혈청 수용액에서 많은 양의 혈장 단백질이 흡착되었다. 이는 혈장 단백은 음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양이온성 리포솜의 표면과 잘 붙기 때문이다. 양이온성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용한 리포솜의 표면 변형은 소 혈청 수용액 내에서 단백질 흡착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예상하게 한다. 또한, 제조된 리포솜의 완충 용액 내에서 7일 동안 안정한 상태임을 관찰하였다.

유체 플라즈마 적용을 통한 고분산 금 나노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 허용강;배종원;원종선;이상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7-498
    • /
    • 2011
  • 나노입자는 벌크 재료와는 다른 광학적, 전기적, 촉매적 특징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유체의 성질은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상, 분산성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 이러한 나노입자의 특징 때문에 여러 응용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유체에 나노입자를 분산시키면, 열전도도와 대류열전달효과가 증대되어 진다. 이러한 나노유체의 제조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투스텝법은 환원법 혹은 기계적으로 제작한 나노입자를 일반 유체에 혼합시킨 후 분산을 시켜 제조하는 제조법이다. 원스텝법은 투스텝법과는 달리 한번에 나노유체를 제조하는 제조법이다. 일반 유체에서 나노유체를 제조함과 동시에 분산을 시켜서 제조한다. 최근, 유체내에서 나노유체를 제조함과 동시에 분산을 시켜 나노유체를 제조하는 새로운 기술인 유체 플라즈마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유체 플라즈마의 일반적인 거동과 해석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 플라즈마의 발생 메카니즘 규명을 위한 방전 시간, 전압, 단극 직류 전력, 극간거리에 따른 유체 플라즈마의 특징을 OES와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나노유체의 특징을 UV-vis nir spectropgotometer, HR-TEM, zeta-potential, EDS, ICP-OES, KD2 pro and lambda로 측정하였다. 유체 플라즈마를 각 조건에 따라 발생시켰고, 나노유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유체 플라즈마의 주요 발생 원소는 산소와 수소이온으로 측정되었다. 유체 플라즈마의 강도는 전기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함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유체 플라즈마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고, 대부분의 나노입자의 형상은 구형으로 제조되었다. 나노유체의 분산안정성 또한 유체 플라즈마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직경이 $18.1{\pm}5.0$ nm인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는 3%로 측정되었다. 유체 플라즈마에 의한 나노유체의 제조 메카니즘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유체내에서 전기에너지 인가에 따른 이온과 전자의 흐름은 유체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본 유체는 물이므로 유체 플라즈마의 주요 발생 원소는 수소와 산소이며,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이온과 전자의 흐름이 증가됨으로서 유체 플라즈마의 강도가 증가함으로 추측한다. 유체 플라즈마 발생은 전자의 흐름과 관계되어진다. 따라서, 유체내에 존재하는 전구체에 전자가 제공되어짐에 따라서 금 입자를 환원시켜 입자가 형성된다. 또한, 유체 플라즈마는 나노입자를 음전하로 대전시켜 분산안정성의 확보가 되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 PDF

Combination of Epstein-Barr Virus-Based Plasmid and Nonviral Polymeric Vectors for Enhanced and Prolonged Gene Expression

  • Choi, Hye;Park, Key Sun;Bae, Seon Joo;Song, Su Jeong;Kim, Kyoon Eon;Park, Jong-Sang;Choi, Joon Si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1호
    • /
    • pp.3676-3680
    • /
    • 2012
  • An Epstein-Barr virus (EBV)-based plasmid contains the EBV nuclear antigen 1 (EBNA1) gene and EBV replication origin (oriP) sequence. Since EBNA1 (the only EBV-encoded protein) is combined with oriP, it is replicated simultaneously with chromosomal DNA in human, primate, and canine cells and is faithfully segregated at a stable copy number upon cell division. Consequently, it can be used to stably express gene inserts over a prolonged time in target cells.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the polyamidoamine (PAMAM) dendrimer can be surface-modified with L-arginine. Arginine is present at a high frequency in the transactivator of transcription (Tat) sequences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t presents high membrane permeability and permits effective transfer of DNA inside the cell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wo kinds of recombinant DNA by inserting the luciferase gene and enhanced green fluorescence protein (eGFP) gene as reporter genes into the pCEP4 plasmid vector. We measured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zeta potential after preparing PAMAM-based cationic polymer/EBV-based plasmid complexes. We performed transfection of HEK 293 cell lines with the polyplexes, and monitored luciferase activity and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expression. Our results show that PAMAM-based cationic polymer/EBV plasmid complexes provide enhanced and sustained gene expression.

응집 공정상에서 플럭의 성장 특성 고찰 (The Characteristic Floc Growth in Coagulation and Flocculation Processes)

  • 허재용;강익중;이상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07-21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응집공정에서 생성되는 플럭의 성상을 가시화하여 PACC의 응집 특성을 고찰하였다. 인공 원수내탁질 입자의 제타전위는 pH 8~9에서 영으로 수렴하였고 이 영역에서 TDS와 전기전도도가 최소값을 나타내 주었다. 급속 및 완속 교반의 최적 혼화강도가 관측되었으며, 특히 탁도의 제거에 있어서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가장 낮은 $95.1sec^{-1}$에서 최대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급속교반 후에는 $3{\sim}5{\mu}m$의 작은 입자가 급격히 생성되었으며 교반강도가 클수록 더 많은 수의 입자가 생성되었다. 완속교반이 진행될수록 $3{\sim}5{\mu}m$의 작은 입자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7{\sim}21{\mu}m$의 중간 크기의 입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주었다. $23{\mu}m$ 보다 큰 입자의 경우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95.1sec^{-1}$에서 가장 많은 수가 생성되었고, $3{\sim}5{\mu}m$의 작은 입자의 경우에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760.7sec^{-1}$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모나자이트로부터 파생된 희토류 혼합산화물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Mixed-Oxide Prepared from Monazite)

  • 권영식;김연식;김동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946-954
    • /
    • 1995
  • 알카리 fritting법에 의해 모나자이트로부터 얻은 희토류혼합산화물을 대상으로 하여 활용면을 고려한 그 물질의 주요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 물질은 희토류원소의 산화물고용체로서 그 구조는 형석구조이며, 밀도는 6.75g/$cm^3$이다. 분말상태인 이 물질은 평균입도가 약 1${\mu}m.$인 균일한 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은 가열처리함에 따라 결정성은 향상되었으며 염산에 의한 용해도는 반대로 감소함을 알게 되었다. 이 물질을 단시간(30분)내로 완전히 수용액화하려면 진한 염산속에서 70$^{\circ}C$ 이상 가열을 요한다. 제타전위의 측정 결과 이 물질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등전점(I.E.P.)은 pH 8.6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des 구제효율에 미치는 황토의 광물학적 특징 (Effects of Yellow Clay Contents on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박영태;박호섭;박태규;안경호;손문호;김평중;박맹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62-1672
    • /
    • 2016
  • To address physicochemical factors of yellow clay for remov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the correlation of removal efficiency with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 clay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was surveyed. Yellow clay from different localities showed the wide range of chemical compositions $SiO_2$ : 43~71%, $Al_2O_3$ : 13~26%, $Fe_2O_3$ : 5~14%, MgO : 0.4~1.8%, $K_2O$ : 0.6~3.3%, L.O.I.(Loss of Ignition) : 4.5~15%. The mineral compositions of yellow clay were mainly consisted of quartz and feldspar including small amounts of kaolinite, chlorite, and Fe-oxides. The result of size analysis showed that $6{\Phi}(31{\sim}16{\mu}m)$ and $7{\Phi}(16{\sim}8{\mu}m)$ were dominated sizes. The zeta-potential were in the range of -4.1~-20.7mV(average -13.7). As increasing removal efficiency of C. polykrikoides, contents of $Al_2O_3$, $Fe_2O_3$ and L.O.I. in yellow clay increased, whereas $SiO_2$ content decreased. Furthermore, the amounts of silt mineral and small particle were high when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wo components of factor 1 and factor 2 showed 79% of the total variance, which is related to cohesion and adsorption. Inducing cell lysis of C. polykrikoides by cohension and adsorption between C. polykrikoides and yellow clay.

자기조립법을 이용한 고에너지물질의 표면개질 연구 (Surface Modification of High Energetic Materials by Molecular Self-assembly)

  • 김자영;정원복;신채호;김진석;이근득;이기봉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23
    • /
    • 2016
  • 유기 분자의 자기조립 다분자막은 기질의 표면에서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술을 응용하여 고에너지물질의 안전성과 취급용이성이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최근 다양한 연구에서 고에너지물질 결정 내부의 결함은 물질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결정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결정화 방법을 통해 제조된 나노 수준의 고에너지물질을 사용하였으며, 자기조립 다분자막 기술을 응용하여 물질의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입도/표면전하/마찰감도/정전기 전하 등을 측정하여 표면개질 여부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