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ghurt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3초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Dairy Products Supplemented with Raphanus raphanistrum subsp. sativus (radish) Powder: A Preliminary Study on Efficacy against Diabetes

  • Lim, Hyun-Woo;Song, Kwang-Young;Chon, Jung-Whan;Jeong, Dongkwan;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77-186
    • /
    • 2019
  • Raphanus raphanistrum subsp. sativus (radish) powder contains several bioactive com- pounds and is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ensory attributes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milk, yoghurt, and kefir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 raphanistrum subsp. sativus powder.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milk, yoghurt, and kefi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aste, flav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the treated group (1%, 2%. 3%. and 4%) compared to the control (0%; p<0.05). In addition, the scores of taste, flavor,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amount of radish-powder in commercially available milk, yoghurt, and kefir. When 1% R. raphanistrum subsp. sativus powder was added to commercially available milk, yoghurt, and kefir, they showed good results i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stimating changes i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n supplementation of various dairy products with R. raphanistrum subsp. sativus.

Organoleptic Properties of Cow Milk, Yoghurt, Kefir, and Soy Milk When Combined with Broccoli Oil: A Preliminary Study

  • Kim, Tae-Jin;Seo, Kun-Ho;Chon, Jung-Whan;Youn, Hye-Young;Kim, Hyeon-Jin;Kim, Young-Seon;Kim, Binn;Jeong, Soo-Yeon;Jeong, Dongkwan;Song, Kwang-You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76-85
    • /
    • 2022
  • Broccoli sprouts are an excellent source of health-promoting phytochemicals, such as glucosinolates, phenols, and vitamins. In this investigation, oil extracted from broccoli was adjusted to various concentrations (control, 1%, 2%, 3%, 4%, and 5%, respectively) and added directly to dairy products (cow milk, yoghurt, and kefir) and non-dairy products (soy milk), and their organoleptic properties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amount of broccoli oil was increased, the organoleptic properties (texture, color, an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ended to decrease. Cow milk, yoghurt, kefir, and soymilk supple-mented with 1% broccoli oil showed the best organoleptic properti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ermented products such as yoghurt and kefir with added broccoli oil showed good organoleptic propertie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use of broccoli oil in dairy and non-dairy products.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various physiological active functions of broccoli oil.

Bifidobacterium longum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이용한 발효유 제조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long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 김창한;전한수;정재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5
    • /
    • 1990
  • B.longum TK-100 및 L.acidophilus TK-2070으로 혼합배양한 culture로 제조한 요쿠르트는 냉장상태에서도 산생성이 되었느데 이는 B.longum TK-100에 의한 것보다는 대수기의 L.acidophilus TK-2070에 의하여 거의 생성되었다. B.longum TK-100은 편성 혐기조건 뿐만아니라 통성혐기조건에서도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B.longum과 L.acidophilus는 냉장보존 중인 요쿠르트 내에서도 생존도가 양호하므로 발효유의 제조, 개발에 혼합 starter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한편 aniline bule 0.1가 함유된 RCAM plate상에 나타난 B.longum TK-100의 colony는 직경이 약 2mm의 광택있는 회배색의 중심에 청색을 나타내었고, L.acidophilus TK-2070의 coiny는 직경이 약 1mm 의 회배색을 나타내어 쉽게 분별할 수 있다.

  • PDF

액상 요구르트 제조시 발효지연과 Na-Caseinate 분해물의 첨가에 의한 개선 (Retarded Fermentation in Making Liquid-Yoghurts and Improvement by Addition of Na-Caseinate hydrolysates)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58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ear up the cause of low-acid producing phenomenon occurred In non-fat dry milk during liquid-yoghur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case, and to present its improving methods. All samples of non-fat dry milks which were low in TCA-soluble peptides showed low-acid production, but those high in TCA-soluble peptides showed high-acid production. The addition of trypsin-hydrolysate of Na-caseinate to non-fat dry milk showed some improving effect on acid production but that of papain-hydrolysate did not show any improving effect and that of bacterical neutral protease-hydrolysate showed some inhibitory effect. The improving effects on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more prominent when the trypsin-hydrolysate of Na-caseinate was added. to such fermenting system in which the levels of TCA-soluble peptides and the proteolytic ability of starter bacteria were abnormally low. The liquid-yoghurt made with non-hydrolysed Na-caseinate and defective non-fat dry milk showed precipitate occurrence but that with trypsin-hydrolysate of Na-caseinate and defective non-fat dry milk did not make any precipitate during storage as with normal non-fat dry milk.

  • PDF

가루녹차 첨가 요구르트에 의한 충치 원인균 증식 억제 효과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Growth Inhibition of Oral Bacteria in Yoghurt)

  • 정다와;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0-506
    • /
    • 2005
  • 가루녹차 첨가 드링크 요구르트에 오염된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가루녹차가 식중독 유발균과 충치 원인균에 대한 생육 저해 도를 검토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titidis의 경우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scherichia coli O157:H7는 가루녹차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 억제 현상도 약간 높아지며 증식이 약간 억제되어 가루녹차 무첨가구에 비해 가루녹차 $0.5\%,\;1.0\%,\;1.5\%,\;2.0\%$$2.5\%$ 첨가구에서 24시간 배양 후 각각 0.40, 0.43, 0.46, 0.52와 0.54의 log cycle로 감소되었고, Streptococcus mutans의 경우에는 각각 0.56, 0.65, 0.70, 0.81과 0.99의 log cycle로 감소 폭이 커지면서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가루녹차를 $0.5\%,\;1.0\%,\;1.5\%,\;2.0\%$$2.5\%$ 첨가한 드링크 요구르트내에서 $3.4\times10^7CFU/mL$ 수준으로 접종된 Streptococcus mutans는 24시간 배양시 $9.8\times10^5\~2.0\times10^6 CFU/mL$로 감소되었으며, 48시간 배양 후에는 $1.4\times10^4\~7.2\times10^4 CFU/mL$$2.66\~3.36$의 log cycle이 감소되면서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이와 같이 가루녹차 첨가에 의한 드링크 요구르트 내에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산양유 요구르트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Goat Milk Yoghurt Preparation Conditio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함준상;정석근;신지혜;최미영;한기성;채현석;유영모;안종남;고상현;박광욱;최석호;이완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45-350
    • /
    • 2007
  • 본 연구는 감귤을 이용하여 산양취가 저감된 산양유 요구르트를 개발하고자 감귤농축액과 감귤향 그리고 과당을 이용하여 산양유 요구르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산양유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세 가지 요인이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 감귤 산양유 요구르트의 최적 제조조건을 설정하였다. 제조된 산양유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감귤농축액의 첨가가 pH, 적색도, 및 황색도에 고도로 유의적인(p<0.01)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특성에 있어서는 감귤농축액의 첨가가 색에, 과당의 첨가가 전체적인 기호도에 고도로 유의적인(p<0.01) 영향을 나타내었다.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산양취의 최대값은 2.35, 최소값은 1.08로 두배이상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양취를 최소화시키는 배합조건은 감귤농축액 1.44%,감귤향 0.0357%,및 과당 6.91%이었다.

Chlorella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hurt)

  • 조은정;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04
  •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수준별(0.25%, 0.5%, 1.0%, 2.0%)로 첨가하여 starter로 사용된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 혼합 균주의 생육과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Chlorella 추출물 분말 0.25% 첨가에 의해 유산균의 산 생성은 증가하였으며 생균 수 또한 같은 경향이었다. 발효 12시간 후 chlorella 추출물 분말 0.25% 첨가구의 pH는 4.33, 생균 수는 1.46${\times}$$10^{8}$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고, 황색도(b값)는 크게 증가하였다. Texture 특성은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첨가한 요구르트가 대조구에 비하여 hardness와 gumminess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0.5% 이상의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 요구르트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0.25%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 요구르트는 색, chlorella 향, 단맛, chlorella 맛, 조직감,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른 항목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가장 적당한 첨가량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chlorella 추출물을 0.25%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할 때 유산균의 생육 및 산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요구르트의 texture와 관능적인 면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유용한 생리 활성 효과를 가진 chlorella 추출물은 새로운 기능성을 가지는 요구르트의 개발에 있어 좋은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신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hurt supplemented with vitamin tree (Hippophae rhamnoides L.) fruit powder

  • Byung Bae Park;Gereltuya Renchinkhand;Woo Jin Ki;Jong Woo Choi;Myoung Soo Nam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893-904
    • /
    • 2022
  • It is well documented that the fruit of the vitamin tree, which is rich in vitamins A, C, E, and K, shows anti-diabetic, antibacterial, immune regulation,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effects. In some countries including Europe it has been used to develop various functional f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vitamin tree (Hippophae rhamnoides L.) fruit powder. The pH, titratable acidity, number of viable cells, and viscosity of the yogurt made with vitamin tree fruit powder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s the amount of supplemented powder added became higher and the fermentation progressed. Production of lactic, malic, and acetic acids increased relative to that of the control as the amounts of supplemented powder were higher.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decomposition of lactose to glucose and galactose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upplemented powder added and the elapsed fermentation time. During storage for 15 days the qual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vitamin tree fruit powder was within the proper range of fermented milk quality in terms of pH,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The yoghurt manufactured with vitamin tree fruit powder has a similar quality to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fore, a new functional yoghurt providing health benefits could be developed.

Sorbitol첨가가 Frozen Yoghurt중 유산균의 생존율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rbitol on the Texture and the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of Frozen Yoghurt)

  • 김응률;김유성;이영건;주지선;이강익;백승천;이종익;유제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71-84
    • /
    • 1996
  • 본 연구는 sucrose에 비해 저칼로리 물질이며, 동해방지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sorbitol을 요구르트 믹스의 sucrose와 1, 2, 3% 대체하여 동결요구르트를 제조시, 조직변화와 -20$^{\circ}$C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유산균수 변화를 비교 검토하므로써 sorbitol의 동결요구르트에 대한 이용도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Yogurt mix배양시 유산균 성장은 모든 균주에 있어서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빠른 것으로 밝혀졌으나, sorbitol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와 3%의 sorbitol이 첨가된 시료D는 거의 유사하였다. 이것은 균종에 따라 sucrose는 균의 성장촉진효과가 있는 반면, sorbitol은 균의 사멸억제에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산균종간의 -5${\circ}$C 동결시 생존율은 Str. thermophilus는 26.19%${\sim}$34.76%, L. bulgaricus는3.97%${\sim}$5.20%, mixed culture는 17.00%${\sim}$40.87%로 L. bulgaricus가 다른 균종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1:2인 시료 C가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동해방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20${\circ}$C 동결저장시 유산균수 변화는 균종과 동결저장기간에 따라 감소 추세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지만, sorbitol의 동해방지 효과로 인한 유산균의 생존효과가 인정된다고 사료되었다. Lactase activity는 모든 균종과 시료에서 동결직후 급격히 감소된 후에 동결기간 동안에도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lactase activity의 감소추세는yogurt mix배양, 동결(-5${\circ}$C), 동결저장(-20${\circ}$C) 등의 단계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동결 80일 후의 활력은 대부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처리구간에 점도의 차이는 있지만,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 1:2인 것이 점성면에서는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Frozen yogurt mix의 보수력은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p<0.05).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hardness와 cohesiveness는 증가되었지만, elastisity는 감소되었다. 또한 Str. thermophilus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p<0.05), L. bulgaricus와 mixed culture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