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croak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시판 어류 단순가공품의 세균학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 Analysis in Commercial Fish Products Minimally Processed)

  • 김현정;이동수;김일회;김영목;신일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9-26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in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including Hwangtae (freeze-dried pollock), dried anchovy, 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Escherichia coli counts from all samples were below the regulation limits of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s on Quality of Seafood and Seafood Products (Food Code). However, the food poisoning bacterium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at levels above $1.0{\times}10^2$ colony forming units (CFU)/g in Hwangtae, dried anchovy, and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which are commonly ingested without heating and pose bacteriological hazards. The detection of S. aureus, an organism indicative of poor personal hygiene, which can be introduced by employees and multiply during distribution, indicat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anitary control of minimally processed commercial fish products. Histamine was not detected from dried anchovy or salted and dried yellow croaker, but was detected at some of the highest levels in fermented anchovy sau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orts to reduce the amount of histamine in fermented anchovy sauces are required.

양식산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민어과)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Cultured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Sciaenidae))

  • 이강현;조정현;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8-242
    • /
    • 2023
  • We examined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cranium, visceral skeleton, pectoral girdle, vertebral column, fins, and pterygiophore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cultured at the Jeju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At 5.89 mm NL (notochord length), the larvae already had ossified frontal and basioccipital bones, parasphenoids, and vomer in the cranium. All elements of the visceral skeleton except the metapterygoid were ossified at 5.89 mm NL. Preorbital bone was ossified at 8.11 mm SL (standard length), and suborbital bones were ossified at 12.90 mm SL. In the vertebral column, ossification proceeded from the first to last centrum. The urostyle ossified at 7.41 mm SL. The caudal skeleton ossified at 6.78 mm NL, along with three hypural bones. In the pectoral girdle, the cleithrum, supracleithrum, postcleithrum, and post-temporal bones ossified at 5.89 mm NL. Caudal fin ossification began at 6.19 mm SL and was complete at 7.16 mm SL. Dorsal and anal fin ossification began at 7.16 mm SL and was complete at 8.62 mm and 8.11 mm SL, respectively. Anal and dorsal pterygiophore bone ossification was complete at 9.86 mm and 11.54 mm SL,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supraneural bones was complete at 9.60 mm SL.

제주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부세(Larimichthys crocea)의 산란시기 (Spawning Period of the Large Yellow Croaker Larmichthys crocea (Sciaenidae) in the Jeju Coastal Area, Korea)

  • 문성용;백근욱;박정호;송희택;이미희;김희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15-323
    • /
    • 2023
  •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large yellow croaker Larmichthys crocea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randomly collected in the Jeju coastal area, Korea.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egg diameter. Additionally, we verified fecundity by size class and total length (TL) at sexual group maturity at 50%, 75%, and 97.5%, as well as by sex ratio (female vs. male). The overall sex ratio of females to males was 1:0.42. The GSI values showed a peak in October, but the spawning season, revealed by the microscopic analysis of gonadal tissue of L. crocea was from October 2021 to March 2022, with the main spawning period from October to November. The fecundity (F) of female L. crocea ranged from 39,232 eggs at 20 to 29.9 cm to 251,003 eggs at 50 to 59.9 cm,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L and F being 80.244TL-1641.6. In females, TL at 50%, 75%, and 97.5% maturity was 22.4, 24.3, and 29.0 cm, respectively.

한국근해 참조기의 자원량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ctuations in Biomas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ff Korea)

  • 장창익;김용문;유신재;김종관;안순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4
    • /
    • 1992
  • 한국근해 참조기 자원의 연도별 연령별 어획량 자료를 사용하여 생체량을 기초로한 코호트 분석법(Zhang, 1987)에 의하여 참조기의 1970-1988년 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연도별 자원량은 1974년 약 10만톤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1981년부터는 2-3만톤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성어자원량에 있어서는 1974년 약 5만톤의 최대수준을 보인 이후, 계속 감소되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령별 자원량의 경년변동에 의하면 1970년대와 80년의 연령조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980년대의 연령조성에서는 5세 이상의 대형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1세-4세까지의 소형어 수준도 70년대 수준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1968, 1972 및1978 연급군이 비교적 탁월연급군으로 나타났다. 코호트 분석에 의해 추정된 연도별 순간어획사망 계수에 있어서도 1980년대는 70년대 수준의 2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어자원 량-가입 량 관계는 직선식으로 적합되었다.

  • PDF

전라남도 칠산도 주변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란 출현의 첫 보고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Egg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from Chilsan-do Island, Jeollanam-do, Korea)

  • 장서하;김진구;유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650-655
    • /
    • 2020
  • Chilsan-do Island, South Korea, has previously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biggest spawning sit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Yellow Sea. To determine whether Chilsan-do still serves as a spawning site for L. polyactis, three to five stations around Chilsan-do Island were surveyed for eggs from April to June (the main spawning season of L. polyactis) in 2019, using an RN80 net. For the first time, three L. polyactis eggs were identified at two stations, located just in front of Chilsan-do Island and between Chilsan-do and the coastline, only in May. The diameter of L. polyactis eggs (1.26-1.34 mm)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Collichthys niveatus (1.30-1.37 mm) and Setipinna tenuifilis (1.34-1.35 mm).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sea surface salinity remained constant (32.0-32.1 psu), but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rapidly rose from 13.6-13.7℃ in April to 22.1℃ in May. Our findings suggest that L. polyactis still spawns near Chilsan-do Island today, but on a very small scale, and that changes in SST promote spawning of L. polyactis.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II. 백색육어의 배소 및 재가열에 의한 지질의 산패 (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II.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White Musled Fish)

  • 이강호;조호성;이종호;심기환;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14-718
    • /
    • 1997
  • 수산물 열처리과정이나 식생활에서 행해지는 배소, 가열 및 재가열 등 연속적으로 또는 시차를 두고 되풀이되는 가열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백색육어인 각시가자미와 조기를 단계적으로 가열처리한 후 지질 산패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경우 각시가자미가 $27.4\%$, 조기가 $33.4\%$였으며 monoene산은 $36.5\%$$38.7\%$였다. 또한 polyene산에서는 각시가자미가 $34.5\%$인 반면 조기는 $26.5\%$였다. 각시가자미와 조기의 불포화지방산대 포화지방산 (UFA/SFA)의 비는 2.6과 2.0이였으며, 총지질함량은 $1.4\%$$0.8\%$였다. 과산화물가는 각시가자미의 경우 배소 후 과산화물가가 증가하였으나, 가열 후부터 감소하였다. 조기의 경우는 배소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이 가열 후 분해되어 감소하였으나 재가열 후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기산화의 진행은 총지질 함량과 polyene산의 조성비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TBA가는 배소 및 가열 후 증가하였으나 재가열 후 크게 감소하였다. 배소, 가열 및 재가열 후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각시가자미가 조기보다 생성된 유리지방산이 많았다. 공역이중결합은 배소처리 후에는 온도에 따른 산화양상은 그다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가열, 재가열처리에 의해 초기 산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연산 암컷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Wild Femal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 강덕영;조기채;이진호;강희웅;김효찬;김규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8-196
    • /
    • 2006
  • 한국산 참조기 암컷의 연중 생식주기를 조사하기 위해,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계절에 따라 추자도, 영광 및 목포에서 포획된 자연산 암컷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참조기의 난소는 좌우비대칭의 낭상형으로 복강 배측(背側)후방부에 위치하며, 복강의 가장자리 뒤끝 부위에서 합일되어 뇨관과 연결되어 비뇨생식공으로 개구되어 있는 형태였다. 생체지수의 경우, 비만도(CF)와 간중량지수(HSI)는 생식선 발달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대신 내장중량지수(VSI)는 역상관 관계,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정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생식세포 월별 변화의 조사를 통해 참조기는 수온이 낮아지기 시작하는 9월부터 생식소내 난원세포가 난모세포로 발달하기 시작하여 1차 성장기를 나타내고, 10월$\sim$12월에 2차 성장기를 보냈다. 다음해 1월$\sim$4월에 난소는 본격적으로 성숙을 시작하여, 5월에 최종 성숙, 배란 및 산란 단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6월까지 참조기는 왕성한 산란 시기에 머물러 있었으며, 7월에 이르러 산란 후 잔존 난모세포를 퇴화, 흡수시키고 8월에 이르러 휴지기에 접어들었다. 이때 생식세포발달 양식은 난군동기발달형이며, 산란형은 봄-여름 산란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남해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영혜;이선길;이재봉;이동우;김영섭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4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어종 중의 하나인 참조기의 이석을 이용하여 최근 어획되는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참조기의 이석은 제주도 근해에서 쌍끌이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것으로 2002년 3월부터 12월 자료와 2005년 1, 2월 자료이다. 사용된 개체수는 1,175미였고,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506미였다. 체장의 범위는 16.3~26.9 cm였으며, 연령은 수컷이 7세, 암컷이 8세까지 나타났다. 참조기의 전중 (Body Weight)와 체장 (Total Length)의 관계는 $BW=0.0044TL^{3.2502}$ ($R^2=0.97$)이었고, 암 수별로 체장에 대한 전중의 차이가 있었다(P<0.05). 참조기의 연령에 대한 체장 자료의 오차구조를 확인한 결과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참조기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model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비직선회귀 (non-linear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참조기의 성장식은 TL=33.88 ($1-e^{-0.20\;(t+2.39)}$ ($R^2=0.77$)이었다. 암 수간의 연령에 대한 체장의 상대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황해및 동지나해의 참조기자원량 해석 -주로 한국기선저인망, 안강망, 유자망, 일본기선저인망 어장을 중심으로- (STOCK ASSESSMENT OF YELLOW CROAKER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신상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9
    • /
    • 1975
  • 황해 및 동지나해에서 한국기선저인망, 안강망, 유자망, 일본기선저인망으로서 어획되는 참조기(Pseudosciaena manchurica의 자원량변동에 대해서 (1)식으로 표현되는 자원량변동의 수학적 $\lceil$모델$\rfloor$에 의하여 어획능율 및 겉보기 자연사망계수를 구하고 나아가서 어획계수, 어획능율등을 구하여 이들 자원량특성식을 이용하여 전후반어기의 자원량변동상태를 계산하였다.

  • PDF

발돌재질에 따른 참조기유자망의 수중거동특성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inkers of the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in the field)

  • 강경범;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19
    • /
    • 2010
  • As a series of studies about improvement of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labor saving fishing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shing gear, which does use three types of different sinker materials in the field tests. The result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indicated that the fishing gear which used the lead reached the maximum depth and bio ceramics hauled to the surface of water the fas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nking time (St) and depth (Dsl, Dsc, Ds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Dsl=2.70St - 0.75, Dsc = 2.38St - 1.15, Dsb = 1.77St - 4.0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uling time (Ht) and depth (Dhl, Dhc, Dh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and Dhl = 7.88Ht + 35.48, Dhc = 7.80Ht + 40.01, Dhb = 7.95Ht + 3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