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rice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8초

Characterization of two plasma membrane protein 3 genes (PutPMP3) from the alkali grass, Puccinellia tenuiflora, and functional comparison of the rice homologues, OsLti6a/b from rice

  • Chang-Qing, Zhang;Shunsaku, Nishiuchi;Shenkui, Liu;Tetsuo, Takano
    • BMB Reports
    • /
    • 제41권6호
    • /
    • pp.448-454
    • /
    • 2008
  • Two full-length cDNAs, PutPMP3-1 and PutPMP3-2, encoding PMP3 family proteins were isolated from Puccinellia tenuiflora, a monocotyledonous halophyte. Expression of both genes was induced by low temperature, salt stress, dehydration, ABA, and $NaHCO_3$. Transcripts of PutPMP3-2 were more strongly induced by these stresses relative to those of PutPMP3-1, particularly under low temperature and dehydration conditions. Expression of PutPMP3-1 and PutPMP3-2 in yeast mutants lacking the PMP3 gene can functionally complement the membrane hyper-polarization and salt sensitivity phenotypes resulting from PMP3 deletion. To compare the functions of PutPMP3-1 and PutPMP3-2, the orthologous genes in rice (OsLti6a and OsLti6b) were isolated. Both OsLti6a and OsLti6b could functionally complement the loss of PMP3 in yeast. PutPMP3-2 and OsLti6a were more effective in reversing membrane hyperpolarization than PutPMP3-1 and OsLti6b. However, the four yeast transformants each showed similar levels of salt toler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se PMP3 family members don't function identically under different stress tolerance conditions.

팽화미분과 zeolite를 이용한 청주 제조공정의 개선 (Improvement of Cheongju Manufacturing Process Using Gelatinized Rice and Zeolite)

  • 서민재;유상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0-616
    • /
    • 2002
  • 공정이 복잡한 청주제조공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 미분과는 물성이 전혀 다른 팽화미분을 사용하여 새로운 청주제조공정을 개발하였다. 당화액으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하고 28%(w/v)의 당농도에서 발효를 시작한 경우 효모의 생육이 늦어지며 발효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20%(w/v)의 당액에 zeolite를 첨가하여 발효를 시작하고, 발효 중 2회에 걸쳐 영양원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조정으로 효모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총 발효기간을 40%(percent) 감소시킬 수 있었다. 상쾌하고 깊은 맛을 갖으며, 알코올 함량이 18%(v/v)인 청주를 12일 만에 제조할 수 있었다. 발효 침전물로부터 회수한 효모를 4번까지 재사용하여 발효를 실시하였으며, 이 경우 효모의 생존율, 알코올 생성, 향기성분 등의 변화 등이 관찰되지 않아 효모의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복잡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전통적인 청주제조공정을 간단하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쌀 천연 발효액종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ice Starters)

  • 최상호;이승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0-119
    • /
    • 2014
  • 급수량을 달리하여 배양한 쌀 천연발효액의 pH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쌀 발효액의 당도는 배양 3일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젖산균수가 가장 높았던 물 180% 첨가구가 가장 낮은 효모수를 보인 반면 젖산균수가 가장 낮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은 효모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쌀 천연발효액의 발효율은 효모수가 가장 많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쌀종을 yeast 대체 0, 10, 30, 50, 70% 첨가하여 제조한 우리밀 식빵 반죽의 pH는 쌀종 10% 첨가구만 대조구보다 낮았고 나머지 쌀종 첨가구들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Farinograph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종을 첨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반죽 생성시간과 반죽 안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탄력도 및 반죽의 약화도는 높게 나타났다. RVA의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보다 쌀종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전분입자의 파괴정도 및 노화정도는 감소하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CrumbScan 분석에서 쌀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조밀도, 기공의 찌그러짐, 껍질의 두께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종 첨가 식빵의 무게는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부피는 쌀종 첨가 50% 이상에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25^{\circ}C$, 5일) 중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며 쌀종 50%와 7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거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 외부 표면의 곰팡이 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쌀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어 저장성 개선효과가 있었다. 색도측정에서 저장초기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적색도 a값은 쌀종 첨가구보다 대조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쌀종 첨가 식빵의 경도는 쌀종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가 더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쌀종 50% 첨가구가 높게 평가되었다.

Monascus sp. MK2-2가 생산하는 홍국천연색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onascus Natural Pigments Produced by Monascus sp. MK2-2)

  • 전춘표;김창숙;이중복;신지원;최성연;최충식;이오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7-142
    • /
    • 2007
  • Monascus purpureus KFRI 1134 균주에 대해 UV ($235_{nm}$, 30 second) 조사를 통한 변이주 형성을 유도하여 Monascus sp. MK2-2를 분리하였다. 홍국 천연색소 생산의 최적조건은 rice powder 0.3%와 0.2% yeast extract, 0.3% $NH_4H_2PO_4$의 배지 조성에서 초기 pH 5.0, 배양온도 $30^{\circ}C$ 및 배양기간은 5일이었으며, 홍국 천연색소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은 wheat flour > rice powder > fructose 순으로 높았다. 질소원은 sodium nitrate > $KNO_3$의 순서로 생성능이 높았으며, C/N ratio가 $17\sim22$일 때 색소의 생성능이 우수하였다. Anti-thrombosis activity 측정결과 Monascus sp. MK2-2 추출물은 aspirin과 유사한 항혈전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과 Diacylglycerol Oi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Oils Produced Using Red Yeast-Rice Ethanol Extracts and Diacylglycerol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홍국쌀을 $35^{\circ}C$, 175 rpm에서 80% ethanol을 이용하여 0.5, 1, 2, 4, 8, 24시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에탄올 추출한 결과, 1시간(yield, 1.203%) 이후의 추출 시간 증가는 추출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시간 추출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600(A), 1200(B), 1800(C), 2280(D) ppm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유지의 색도는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a^*$ 값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유지의 monacolin K 및 총 페놀 함량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Rancimat$(98^{\cir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능성 유지의 induction time이 각각 control(4.3 hr), A(3.2 hr), B(2.6 hr), C(2.4 hr), D(2.2 hr)로 추출물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코에 의해 얻어진 각 시료의 센서의 감응도$({\Delta}R/R_0)$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및 MANOVA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기여율은 99.66%로 분석되었으며 함유된 추출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각각 차별적인 향 패턴(odor difference)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

주박으로부터 효모포자의 생산 (Product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 임용성;배상면;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4-189
    • /
    • 2004
  • 쌀 양조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사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포자형성을 위하여서는 주박으로 제조한 전포자형성배지(PSM)에서 효모를 배양한 추 1% potassium acetate로 구성된 포자형성배지(SM)에 10%를 재접종한 후 $25^{\circ}C$에서 4일간 포자형성을 시켰다. 주박과 물을 1:2 로 혼합한 후 $51^{\circ}C$에서 24시간 preincubation한 후 그 원심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SM에 접종하여 4일 배양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 수 $0.72${\times}$10^{8}$ $m\ell$ 를 얻었다. SM배지에 1.4% 밀기울 국(koji)을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형성된 자낭수는 $1.06${\times}$10^{8}$$m\ell$ 증가하였다 초기 SM pH가 5에서는 포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pH 7∼11에서 포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박의 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직접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시켜보았는데, 1% 갈색설탕을 함유하는 PSM에 2% 그리고 SM에 0.5%의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수 $1.27${\times}$10^{ 8}$ $m\ell$를 얻었다.

갈색엽고병의 인공접종법에 관한 연구 (Mass Inoculation Technique of Fusarium Disease in Rice)

  • 권신한;송희섭;김재이;산구부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7
    • /
    • 1973
  • 갈색엽고병(Fusarium niwate)의 효과적인 접종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균의 분생포자의 증류수 현탁액을 벼 유묘에 분무접종할 때, 접종 후 습실에 1일 보존했을 경우에는 거의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일간 보존한 겅우에는 어느 정도 병반이 나타났다. 2) 벼 유묘에 바람이나 또는 나무막대기로 물리적인 상처를 입힌 다음 증류수 포자현탁액을 분무한 결과 상당한 병만이 형성되었다. 3) 포자현탁액에 벼 잎 추출액, glucose, polypeptone, yeast exract 등의 $1\%$ 용액을 첨가 분무접종했을 때 병반형성이 양호하였다. 4) 포자발아상태는 종류수중에서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분을 첨가한 용액중에서는 발아력도 좋았고 균사의 융합도 양호하게 일어났다. 5) 본 접종시험의 결과 통일품종은 재래 장려품종인 풍광에 비해 본 병에 대해 약했다.

  • PDF

막걸리 유래 미생물의 활용을 위한 연구 동향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 이영석;설정만;정덕열;김수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9-235
    • /
    • 2016
  •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발효제로 막걸리를 만들어 왔다. 막걸리는 여과 또는 살균 과정없이 다양한 미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다양한 기능성에 대해 스크리닝한 결과,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과 다양한 스펙트럼의 항균활성을 가진 균주들이 선별되었다. 특히 일부 유산균들은 GABA와 EPS 등의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bacteriocin 및 killer toxin을 통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막걸리 유래 기능성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은 기능성 식품 소재나 안전한 식품첨가물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첨가 글루텐 프리 쌀빵의 품질에 대한 친수콜로이드의 효과 (Effects of Hydrocolloids on the Quality of Protein and Transglutaminase Added Gluten-free Rice Bread)

  • 황순옥;김지명;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8-208
    • /
    • 2017
  • Purpose: To improve the quality of basic gluten-free rice bread composed of white rice flour, salt, sugar, yeast, skim milk powder, olive oil, and water, the effects of transglutaminase (TGase), whey protein (WP), propylene glycol alginate (PGA), and hydroxypropylmethylcelluose (HPMC) were investigated. Methods: TGase, WP, PGA, and HPMC were added to rice flour cumulatively. The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blends as well as volume, shape, color value,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basic rice bread (RB1) RB1+TGase (RB2), RB1+TGase+WP (RB3), RB1+TGase+WP+PGA (RB4), and RB1+TGase+WP+PGA+HPMC (RB5) were compared. Results: Consistency of rice batter increased upon addition of TGase, WP and PGA, and RB3 and RB4 had higher specific volumes than others. PGA improved volume, crumb air cell uniformity, and resilience but lowered elasticity and moistness of RB. HPMC increased, hardness, moistness and softness, and slightly reduced volume.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ydrocolloids, PGA and HPMC may be necessary to improve volume, crumb structure, textural properties and overall eating quality of gluten-free rice bread.

콩첨가 증편의 미생물 변화와 품질특성 (The Study of Changes of Microbes during Fermentation and Qualitical Properties in Jeung-Pyun Added Soybean)

  • 우경자;신광숙;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2-173
    • /
    • 1998
  • The effect of soybean addition to the preparation of Jeung-Pyun(Korean fermented rice cake) and the ferm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dough were determined. Jeung-Pyun dough composed of rice 100g, soybean 20g, water 40g, salt 0.8g, sugar 15g and Tak-ju 30g was fermented for up to 20hours. the numbers of total microbes,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in the dough during fermen-tation increased rapidly during 5 hours of fermentation, but Leuconostoc mesenteroides during 7 hours of fermentation, Generally, there were many more microbes in the Jeung-Pyun dough with soybeans than in the Jeung-Pyun dough with rice. The volume of 7 hour fermented Jeung-Pyun was most massive, especially in the soybean added Jeung-Pyun. 1% dextran-added rice Jeung-Pyun, the volume of steamed cake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rice Jeung-Pyun, but is was not as bulky as in the soybean-added cak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test cake products, the 7 hour fermented cake was preferred by nost. As for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the 7 hour feremented Jeung-Pyun showed the lowest values for hardness and elasticity, brittleness and chewiness. The rice Jeung-Pyun showed were stored at 2$0^{\circ}C$ the hardness, brittleness and cohesiveness of rice Jeung-Pyun were respectively increased rapidly after 5 days of storage. The cohesiveness, elasticity, brittleness, chewiness, gumminess of both rice Jeung-Pyun and soybean-added Jeung-Pyun were decreased with storag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