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m bea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얌빈 생육과 괴경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요인 (Cultural Practices Affecting the Growth and Tuber Yield of Yam Bean (Pachyrhizus erosus L.))

  • 남효훈;권중배;이중환;손창기;서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8-44
    • /
    • 2019
  • 새롭게 도입된 얌빈의 국내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육묘조건, 적심, 적화, 재식밀도 등의 재배요인에 의한 생장과 수량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얌빈은 P.E. 하우스내에 전열 온상을 설치하여 평균 $22^{\circ}C$로 유지하여 30일(적산온도 $650^{\circ}C$) 육묘하면 건전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트레이 규격에 따른 출현 특성의 차이는 없으며, 셀 크기가 클수록 묘 생장량이 증가하지만 육묘효율, 이식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128공 트레이가 적합하였다.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에 120 cm 높이에서 적심을 하면 수량이 23% 가량 많아지며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적화를 하면 괴경수와 괴경중이 증가하여 수량이 32% 가량 많아진다. $50cm{\times}30cm$로 정식하였을 때 관행 $100cm{\times}30cm$보다 수량이 30% 증가하였다. 적심, 적화, 재식밀도 최적조합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경제적으로 107%의 이익적인 요소가 발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얌빈의 최적 재배기술 적용을 통해 국내에서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서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

Incidence of Viral Diseases and Occurrence of Three Unreported Viruses in Yams in Korea

  • Lee, Joong-Hwan;Park, Chung Youl;Cho, Ha-Jeong;Oh, Jonghee;Kim, Bong-Sub;Park, Eun Hey;Son, Chang-Gi;Lee, Su-Heon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82-87
    • /
    • 2017
  • During 2012 to 2014, a survey for the presence of viral diseases in yam plants was carried out in a field of the Institute for Bioresources Research in Gyeongsangbuk-do, Korea. A total of 88 leaf samples were collected and test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specific primer sets. Eighty-one samples were positive for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ChYNMV), Cucumber mosaic virus (CMV), Japanese yam mosaic virus (JYMV), and Yam mild mosaic virus (YMMV), whereas Yam mosaic virus (YMV) was not detected. Additionally, seven samples were negative for all viruses. Several samples exhibited mixed (double and triple) infections. Three viruses (CMV, JYMV, and YMMV) were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yam plants in Korea. A BLAST search showed that three viruses shared nucleotide identities with CMV-Ca (98%), JYMV-O2 (91%), and YMMV-TG_NH_1 (86%). Thus, our findings confirmed that yam plants cultivated in Korea were infected with multiple viruses with three of these viruse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얌빈의 온도별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산성 비교 (Germination of Yam Bean Seeds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Its Productivity with Different Seeding Dates)

  • 엄미정;김치선;김은지;정현수;김정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5-252
    • /
    • 2018
  • 얌빈(Pachyrhizus erosus, Yam bean)은 멕시코 원산의 아열대성 콩과 식물로서 아삭하고 즙이 많아 생으로 먹거나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는 구근채소이다. 본 시험은 국내에서 얌빈 재배시 적정 파종시기를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발아율은 $18^{\circ}C$이상에서 86.0~94.0%를 보였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낮은 온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천군만마 품종이 태국 재래종에 비해 개화기나 구근 형성시기가 더 늦었고, 개화와 구근형성 및 비대에 필요한 적산온도도 각각 $293^{\circ}C$, $280^{\circ}C$, $108^{\circ}C$가 더 소요되었으며, 지상부나 구근의 건물량은 더욱 많았다. 또한, 4월 25일 파종은 다른 시기에 비해 구근형성기까지 일수가 더 소요되었고, 구근형성과 비대시기의 지연으로 수확지수가 낮았으며, 6월 9일 이후 파종시는 영양생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10월 하순 이후 저온 및 서리로 인해 생육이 정지되어 구근의 충분한 비대가 어려웠다. 한편, 5월 10일과 25일에 파종한 경우에는 일장, 온도 등의 변화가 영양생장과 구근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얌빈 두 종 모두 구근 건물량과 수확지수가 높고 수량이 많아 파종시기로 적합하였다.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종실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Tropical Legume Seeds)

  • 김정교;제미공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2-78
    • /
    • 1988
  •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18종의 콩종자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그 미세구조를 주로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vicieae에 속하는 종실들은 많은 단일전분입자들로 구성된 자엽세포구조를 갖는 starch-rich legume이였으며, phaseoleae중에서는 benas(phaseolus), cow pea, green gram(vigna), hyacinth bean(dolicholus)이 starch-rich legume이였다. 한편 soybean(glycine), winged bean(psophocarpus)는 자엽세포가 대부분 protein body로 구성된 protein-rich legume이고 yam bean (pachyrrhizus)와 cluster bean(cyamopsis)에서는 protein body 보이는 구형물질로 이루어진 자엽세포 구조를 볼 수 있었다. 또한 green gram과 winged bean은 soybean에 비하여 두꺼운 세포벽을 갖고 있었으며 pit-pair가 관찰되었다. Lipid body는 winged bean과 soybean에서 볼 수 있었다. starch-rich legume들은 팥고물 제조과정에서 전분입자들이 파괴되지 않음으로써 특징적인 조직감을 부여하는 red bean이나 benas와 같은 phaseolus의 대체 자원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 PDF

Introduction of Yam Bean (Pachyrhizus spp.) in Korea

  • Kim, Sang-Kuk;Choi, Hong-Jib;Won, Jae-Hee;Park, Jun-Hong;Lee, In-Jung;Park, Shin-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46-551
    • /
    • 2009
  • We examin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fresh tuber yield, rotenone content of two yam beans (Pachyrhizus erosus and P. ahipa) introduced from Mexico. P. erosus species showed better adaptable ability than P. ahipa species in seed productivity and tuber yield. Rotenone content in the P. erosus species extracted with chloroform was 3.6 folds much more extracted than ethanol extraction. The order of rotenone content found in crude extract obtained by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as mature seed (484.7 ${\mu}g$) and leaves (17.2 ${\mu}g$) of the P. erosus species, respectively.

얌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Extract)

  • 이아름;김교남;김혜옥;송원정;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7-64
    • /
    • 2017
  • Objectives : Yam bean (Pachyrhizus erosus) possess various nutrients, it has been widely used as traditional cosmetic material in Indones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extract and its fraction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m bean extract assessed based on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o evaluate anti-melanogenic effects and cytotoxicity of Yambean extract and its fractions, B16F10 melanoma cell was used. Results : In results, total polyphenol content of yam bean water extract (YW) and Yambean 70% ethanol extract (YE) were $1.18{\pm}0.03mg/g$ (mg of gallic acid/g of sample), $1.16{\pm}0.01mg/g$. Total flavonoid contents of YW, YE were $3.55{\pm}0.06mg/g$ (mg of naringin/g of sample), $1.78{\pm}0.03mg/g$. Moreover, YE scavenged DPPH and ABTS effectively in $4mg/m{\ell}$ compared to YW. Cytotoxicity of YE and its fractions in B16F10 melanoma cell was measured using MTT assays. It had no cytotoxicity up to $500{\mu}g/m{\ell}$.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 was induced using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B16F10 melanoma cell treated with $10-500{\mu}g/m{\ell}$ YE and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H_2O$ fractions for 24h. Non treated B16F10 melanoma cell (Control) markedly increased melanin contents. In contrast, YE ethylacetate fraction effectively suppressed melanin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mbean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한국의 전통적 기능성 식품의 이용에 대한 역사적 고찰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untional Food)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5-255
    • /
    • 1996
  • Natural substances, exploited in our daily life, have been applied to drugs to treat diseases and developed to functional foods by appropriate preparations, and these foods give beneficial effects on physical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unctional foods was studied with refer ring to old ancient writings published in the front-end of Chosun dynasty. The utilized vegetables were march mallow, turnip, radish, Chinese cabbage, lettuce, spinach, cucumber winter buds, flesh of a cabbage, eggplant, taro, burdock, Parsley, watershield plant, crown daisy, bamboo shoots, garlic, scallion, onion, acorn, bark of a tree, white goosefoot leaf, leaf of bean, pine mushroom, bracken. yam, mugwort, tea, ginseng, peppermint, fruit of the Maximowiczia chinensis, smartweed and pepper. The utilized fruits were chestnut, Chinese date, pine nuts, walnut, gingko nut, citrus. crab apple, pear, peach, grape, pomegranate, plum, Chinese quince, fig and watermelon. The utilized cereal were rice, barley, bean, buckweat and Job's-tears. The utilized sweetenings and seasonings were honey, wheat-gluten, sugar, oil, salt, soy sauce and vinegar. Our ancestors had a balanced diet using the various foods, and especially had a fundamental concept of "Foods have the efficacy of a remedy".edy".uot;.

  • PDF

건조방법에 따른 히카마 감자분말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Jicama (Pachyrhizus erosus) potato powder by drying methods)

  • 최선일;이진하;조명래;신기해;김재민;오지원;정태동;이성갑;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15-9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히카마의 식품성분들을 분석하고 건조방법에 따른 특성들을 비교하여 식품 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히카마의 수분함량은 81.81%이었으며,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의 수분함량은 $13.26{\pm}0.26$, $11.34{\pm}0.19%$ 이었다. 수분을 제외한 고형분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은 열풍건조물에서 $2.85{\pm}0.27$, $0.79{\pm}0.08$, $7.93{\pm}0.52$, $88.44{\pm}0.63%$ 이었으며, 동결건조물에서 $3.93{\pm}0.65$, $0.83{\pm}0.02$, $7.92{\pm}0.33$, $87.32{\pm}0.36%$ 이었다.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의 색도에서는 명도(L값) 는 $88.01{\pm}0.67$$92.86{\pm}0.11$으로 동결건조물이 더 높았으며, 적색도(a값), 황색도(b값)는 각각 $0.43{\pm}0.11$$-0.67{\pm}0.11$, $11.96{\pm}1.50$$3.21{\pm}0.31$으로 열풍건조물이 더 높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갈변을 살펴본 결과 열풍건조물이 $0.107{\pm}0.004$, 동결건조물이 $0.029{\pm}0.002$으로 열에 의한 갈변이 나타났다. 총당 측정은 열풍건조물이 $46.49{\pm}3.00mg/g$, 동결건조물이 $45.11{\pm}3.24mg/g$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밀로오스의 경우는 열풍건물이 $5.66{\pm}0.21%$, 동결건조물이 $6.63{\pm}0.15%$으로 차이를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열풍건조물과 동결건조물 시료 1 mg/mL, 0.5 mg/mL 0.1 mg/mL에서 각각 19.74, 17.61, 18.23%와 17.18, 17.54, 15.88%로 열풍건조물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나,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수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