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ylitol oxidas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자일리톨 농도의 온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흐름주입분석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Flow Injection Analysis Technique for On-line Monitoring of Xylitol Concentrations)

  • 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39-344
    • /
    • 2002
  • Flow injection analysis technique for monitoring of xylitol concentrations in biological processes has been developed using xylitol oxidase (XYO) immobilized on VA-Epoxy Biosynth carrier. The immobilized XYO cartridge has been integrated into a FIA system with an oxygen electrode and systematically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activity of the immobilized XYO, such as pH, temperature, salt concentration etc. The activity of the immobilized XYO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19.0 - 29.0^{circ}C$) and sample injection volume ($75-250\muL$) and molarity of potassium phosphate buffer (0.1-1 M), but it reached the highest value at pH 8.5. The XYO-FIA system has been also applied for on-line monitoring of xylitol concentrations in a reactor and showed good operational stability and agreement with off-line data measured with HPLC.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uda CS 1-1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n the Cellulolytic Bacterium Cellulomonas uda CS 1-1)

  • 김미석;윤민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99-109
    • /
    • 2007
  •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sp. CS 1-1에 대하여 종 수준으로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7개 type strain 균주와 함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DNA 상등성 및 지방산의 조성 등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CS 1-1의 콜로니 형태는 circular, entire, smooth, convex하며, 담황색을 띤 $0.3{\sim}0.5{\times}0.8{\sim}1.2{\mu}m$ 크기의 간균이었다. 생리학적 특징으로서 비운동성의 통성혐기성 중온균으로서 Gram양성, catalase양성, oxidase음성, 탄수화물 발효성 등의 표현형은 Cellulomonas 속의 타종과 동일하였으며, 특히 D-ribose, raffinose, rhamnose, xylitol, acetate, L-lactate, propionate, aspartate, proline 등 조사한 모든 탄소원의 이용성이 없었으며, 반면에 sacchrose, arabinose 및 amylose의 이용성은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G+C 함량 74.76 mol %, 주요 지방산과 quinone 성분은 전형적인 Cellulomonas의 12-methyltetradecanoic acid (anteiso-$C_{15:1}$)과 MK-$9(H_4)$이었으며, DNA의 상동성 비율은 C. uda ATCC 491과 70%, C. fimi ATCC 15724와 54~59 %, C. gelida 및 C. bibula와도 46~4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CS1-1이 현재 Cellulomonas 속에 인정된 7개의 type species 중 C. uda ATCC 491 균주와 가장 높은 근연성을 나타냄으로서 C. uda에 속하는 novel species로 분류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