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ing-tong(心痛)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내경(${\ll}$內經(${\gg}$)에 나타난 허혈성 심질환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schemic heart disease Explained In Nei-jing(內經))

  • 홍천표;이원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4-156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e, pathological mechanism and treatment of symptoms regarded as the ischemic heart disease in Nei-jing(內經). I've go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rom the side of xing-bi(胸痺), the ischemic heart disease(IHD) was caused by that the energy in one's heart wasn't extended in the way of Yin-xie(飮邪), namely waste matter of human body and symptoms and treatment wern't written. 2. From the side of xin-bi (心痺), HID was catched by the mechanisms that the blood vessel is blocked. or the heart's blood was deficient owing to the mutation of mo-bi(脈痺), the lack of yang-ming(陽明) and excessive thoughts and worry and others. The symptoms were feeling oppressed in one's brest, palpitating, sudden dyspnea, the dryness of thorat, frequent belching and the fear by the inverse flow of the energy(氣). The treatment was that the yin(陰) was cured immediately, but the yang(陽) mustn't be attacked. 3. From the side of xing-tong(心痛), IHD was suffered from by mechanisms that following the han-sa(寒邪), namely the cold makes a invasion on humanbody, the vessel was blocked, spasm, filled and the amount of blood flow was poor, or caused by injury of vessel, the inverse flow and the disease of shi-dong(是動病) of shou-shao-xin-jing(手少陰心經) and so on. The pain was cramped into the upper and lower back or lower abdomen or throat and accompanied with nausea, abdominal dropsy, constipation, the impending of breathing and so on. The cure was mainly that acupuncture was applied at the jin-su(筋縮) region or meridian in relation to symptoms, but if the pain were severe, acupuncture mustn't be applied. The prog nosis was worse. 4. From the side of xing-tonge(心痛), IHD was divided into zhen-xing-tong(眞心痛) and jue-xing-tong(厥心痛), but pi-xiog-tong(脾心痛) and wei-xing-tong(胃心痛) out of jue-xing-tong(厥心痛) also included the symptoms of the digestive disease.

  • PDF

사상사(思想史)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19th-Century Morality Dispute in Context of History of Thought - From Four-Seven Dispute to Morality Dispute)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9-38
    • /
    • 2018
  • 조선성리학사를 보면 수백년 동안 굵직한 주제의 논쟁이 이어졌다. 16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정(情: 감정)'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18세기 초에 등장했던 호락논쟁(湖洛論爭)은 사람과 사물의 '성(性: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주안이 있었다. 이 두 논쟁은 이후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쟁점이 확실하게 부각되면서 조선성리학의 특징적 부면이 아울러 잘 드러났다. 18세기 중엽 이래로 서양세력이 밀려오면서 조선성리학은 서양 세력에 맞설 논리를 개발해야 했다. 성리학에서의 주리론(主理論)이 그 대응 논리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특히 '심(心)'에 대한 각종 논의들이 폭넓게 다루어졌다. 심(心)이 성(性)과 정(情)을 통섭한다는 의미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의 개념으로부터, 심을 '리(理)'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심은 기본적으로 '기(氣)'라는 주장이 나와 대립하였다. 또 심과 명덕(明德)은 같은 개념인가 다른 개념인가의 문제, 명덕은 '리'로 보아야 하는가, '기'로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들이 제기되어 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말기의 심설논쟁을 사단칠정논쟁, 호락논쟁과 함께 '조선성리학의 3대 논쟁'으로 규정하고 그 위상과 실상, 의의를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심설논쟁은 단순히 이론 논쟁에서 그치지 않았다. '시사성(時事性)'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양과 일본 세력을 배척하는 운동,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등에도 직, 간접으로 영향을 끼쳤다. 심설논쟁은 사칠논쟁이나 호락논쟁에 비해 논쟁의 성격이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게다가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필요로 한다. 삼대 논쟁에 대한 상호 비교문제는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주제의 하나다.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 변천과정과 '경(敬)'공부론(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225-252
    • /
    • 2012
  • 본 논문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후대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주자(朱子)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의 단계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로 내려오는 이동(李?)의 학설을 무시하고, 장식(張?)을 만나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을 따르게 된다. 그는 이동(李?)으로부터 수양법(修養法)을 배웠지만 장식(張?)과 만나 토론하면서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의 방법론(方法論)에 매료되게 된다. 이는 미발(未發)은 없고 모든 것이 발(發)한 이발(已發)의 때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중화신설(中和新說)의 단계에서는 중화구설(中和舊說) 때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미발(未發)의 때를 중시하게 된다. 심(心) 성(性) 정(情)의 관계도 심통성정(心統性情)이라는 것으로 적립하게 된다. 또한 호굉(胡宏)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으로부터 벗어나 '경(敬)'의 수양법(修養法)을 내세운다. 이러한 수양(修養) 방법은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이발(已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의 미발(未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완벽해 보이는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조선(朝鮮)에 들어와서 16세기 율곡(栗谷)과 우계(牛溪)의 논쟁을 통해, 17세기 우암(尤庵)과 우헌(寓軒)의 논쟁을 통해, 18세기 남당(南塘)과 외암(巍巖)의 호락논쟁(湖洛論爭)을 통해 다시 논의된다.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논쟁을 겪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이 미비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벌어진 논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