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ap packag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7초

PVC포장재에 사용된 가소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Plasticizer in Food and Drug PVC Packaging)

  • 윤미혜;엄미나;도영숙;정홍래;정일형;고환욱;손진석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2호
    • /
    • pp.39-46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Plasticizers such as DEP(diethyl phthalate), DPrP(di-n-Phthalate), DBP(di-n-butyl Phthalate), DPP(di-n-pentyl Phthalate), DCHP(dicyclohexyl phthalate), BBP (butylbenzyl phthalate), DEHP(di-(2-ethylhexyl) phthalate) and DEHA(di-(2-ethylheryl) adipate), which are suspected as endocrine disruptors, in food and drug PVC packaging. Tested samples were 5 food wraps, 35 food containers, 40 food and drug packages(type of tablet and capsule) in Gyeonggi-Do area. The contents of DEHA in wrap were 188.9g/kg, 203.1g/kg, 238.4g/kg, 290.9g/kg and 308.3g/kg, respectively, while the other plasticizers were not detected. DEHP was used in 4 samples of food containers and DEHP contents were 4.7g/kg, 30.7g/kg, 35.8g/kg and 53.4g/kg, respectively. In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type of tablet and capsule), the plasticizers were not detected.

각 국가 권역별 이행 실험방법에 따른 고온가열 식품포장재의 시뮬란트별 총이행량 비교 (Comparison of the Overall Migration Values from Various Plastic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Under High Temperature Testing Conditions as Described in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y areas)

  • 이근택;김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41
    • /
    • 2001
  • 각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방법에 따라 고온가열 식품 포장재와 용기의 simulants별 이행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고온가열 식품에 대한 총이행량을 비교해 본 결과 비지방성 simulant로 증류수와 10% ethanol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121$^{\circ}C$의 2시간 조건에서의 CPA와 PA 6,6 필름을 제외하고는 2.5 mg/dm$^2$ 보다 낮았다. 지방성 simulant 에서 soybean oil로의 총이행량은 다른 simulan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된 필름들 중 PVC wrap에서의 총이행량은 23.9~54.6 mg/dm$^2$로서 다른 필름들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지방성보다는 지방성 식품의 simulant에서 그리고 온도가 높은 조건하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한 실험 온도와 시간 조건하에서는 PA계의 극성 필름은 극성 simulants에서, 그리고 PO계와 같은 비극성 필름은 비극성 simulants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필름에서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 방법 및 조건의 상이함으로 인한 이행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할 사실이다.

  • PDF

The Influence of Vacuum Packaging of Hot-Boned Lamb at Early Postmortem Time on Meat Quality during Postmortem Chilled Storage

  • Zhao, Yingxin;Chen, Li;Bruce, Heather L.;Wang, Zhenyu;Roy, Bimol C.;Li, Xin;Zhang, Dequan;Yang, Wei;Hou, Chengl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16-832
    • /
    • 2022
  •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postmortem vacuum packaging (VP) on meat quality during postmortem chilled storage, hot-boned lamb was vacuum-packaged at 1, 6, 12, 24, and 48 h postmortem and stored around 2℃ until 168 h postmortem, with lamb packaged in plastic wrap as the control (aerobic packaging). Intramuscular pH decline was delayed when lamb was vacuum packaged at 1, 6, and 12 h postmortem (p<0.05). The lamb vacuum-packaged at 1 h postmortem (VP-1h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hear force values and purge losses accompanied by lower free thiol group values than other treatments during postmortem storage and was also higher in extractable calpain-1 activity by 6 h postmortem (p<0.05). Free thiol group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VP at 6 and 12 h postmortem (p<0.05). Packaging lamb under vacuum very early postmortem produced the lowest shear force and purge loss, likely by slowing heat loss and muscle temperature decline, implying that lamb quality is improved by VP when applied very early postmortem. This was at the expense of protein oxidation, which was unrelated to other meat quality measurements, most likely because potential contracture during hot boning confounded its impac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otein oxidation, VP, and hot boning on the acceptability of lamb.

노인을 위한 가정배달급식의 생산 및 배송단계에 HACCP 적용을 위한 위해요인 분석 1 (Evaluation of hazardous factors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on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flow in home-delivered meals for the elderly)

  • 김혜영;류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5-209
    • /
    • 2003
  • 노인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영양이 우수하고 동시에 노인의 기호도가 높은 표고고기전, 갈치조림 및 더덕구이를 선정하여 가정배달급식을 위한 음식의 생산 및 배송단계에 HACCP system을 적용하여 설정한 단계별로 소요시간, 온도상태 측정 및 미생물 품질검사를 모의로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산 및 배송단계에서 시간 및 온도 측정 결과, 냉각단계의 실내온도는 표고고기전과 더덕구이가 19.2~20.$0^{\circ}C$, 갈치조림이 24.0~25.2$^{\circ}C$로 위험온도범위에 노출되어 잠재적인 위험이 제기되었다. 2. 생산 및 배송단계에서 미생물 검사 결과, 원재료인 표고, 갈치, 무우 및 더덕에서 포도상구균이 생재료의 허용한계치를 초과하였고, 조리직후부터 배송까지의 표준평판균수는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으나, 냉각 및 포장단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대장균군수는 생재료 및 급식단계 음식의 기준치보다 훨씬 낮았으며, 배송단계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포도상구균은 표고고기전에서는 전반적으로 극히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갈치조림과 더덕구이에서는 포장단계에서 wrap 포장처리구만이 허용한계치를 초과한 31CFU/g가 검출되었으나, 보관 및 배송단계를 거치면서 감소하여 극히 낮아졌다. 한편, Sal. spp. V. parahaemolytic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3. 규명된 중점관리점은 표고고기전에서는 원재료의 구입과 검수, 냉각 및 포장단계였고, 갈치조림 및 더덕구이에서는 모두 원재료, 전처리, 냉각 및 포장단계였다. 따라서 가정배달급식의 생산단계에서의 중점관리점에 대한 통제방안으로 검수기준의 명확화, 냉각기의 구비와 자동포장기기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배달급식에서는 노인들의 영양과 기호도를 고려하여 좀 더 다양한 음식을 선정하여, HACCP가 적용된 표준레시피를 개발하며, 생산 및 배송단계에 걸쳐 보다 실용적이고 위생적인 품질보존 방안을 마련하여 면역성이 저하된 노인들에게 위생적으로 안전하며 관능적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하여야 하겠다.

유통 중 신선편이 버섯 제품의 포장실태 및 관능적 품질 조사 (Survey on packaging status and sensory quality of fresh-cut mushrooms from retail markets)

  • 최지원;이혜은;이지현;김용필;김지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7-292
    • /
    • 2014
  • 신선편이 버섯의 유통 시 포장실태 및 관능적 품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1월~10월에 계절별로 수도권 인근의 대형할인마트를 직접 방문하여 신선편이 버섯 제품 총 51종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신선편이 버섯은 혼합형과 단독형으로는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은 송이채 다듬어지거나 큰느타리버섯, 표고버섯은 슬라이스나 다이스 절단되어 바로 조리(튀김, 볶음, 전골, 육개장, 찌개 등) 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부분이 알루미늄이나 PS, PET, nylon 등을 재료로 한 용기에 담겨 PVC 랩이나 견고한 PP, PS 덮개 형태로 포장되었으며 89%가 제조일이나 유통기한을 표시하였다. 수집된 신선편이 버섯 제품의 관능학적 품질 조사 결과, 갈변 발생이 심한 것이 10%, 이취 발생이 심한 것이 4%를 차지하였으며 전체적 품질은 90%의 제품이 판매 가능한 수준이었다. 계절에 따른 관능학적 품질에 차이를 보여 가을과 겨울에는 상품성이 높게 유지되었으나 봄과 여름에는 갈변이나 이취 발생 억제를 위한 신선도 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출딸기 '매향'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수확시간, 예냉 및 저장온도의 효과 (Effect of Harvest Time,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 for Keeping the Freshness of 'Maehyang' Strawberry for Export)

  • 박지은;김혜민;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4-410
    • /
    • 2012
  • 본 연구는 수출용 딸기 '매향' 품종을 09:00와 14:00에 각각 수확하여 $4^{\circ}C$ 예냉 처리 혹은 예냉 무처리 후 $4^{\circ}C$$8^{\circ}C$에 저장하면서 딸기의 품질변화와 상품성 유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0년 5월 4일에 숙도 60%의 과실을 경상남도 진주지역 상업적 온실에서 수확하였다. 농가의 예냉기에서 3시간 동안 예냉한 딸기를 30분 만에 실험실로 수송하고, 즉시 저장고에 저장하였다. 예냉은 농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간이 예냉기를 이용하였다. 과실은 PVC랩과 골판지상자에 포장 된 후 $4^{\circ}C$$8^{\circ}C$의 항온 저장고에 두어 실험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딸기의 무게변화, 경도, 색도, 당도, 잿빛곰팡이 발생률을 이틀 간격으로 2010년 5월 6일부터 5월 14일까지 조사하였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경도 및 당도가 감소하였다. Hunter 'L'과 'a' 값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모든 온도처리에서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게의 변화가 감소하였다. 과실의 표피조직에 무름병의 발생 시작 후 잿빛곰팡이가 발생하였다. 잿빛곰팡이는 저장온도 $4^{\circ}C$ 처리구에서 보다는 $8^{\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수확 시간과 예냉 유무에 따른 저장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4^{\circ}C$ 예냉처리 후 $4^{\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신선도가 가장 오래 유지되었다.

저장 고춧가루의 색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성미선;강혜정;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23-1430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과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Al/LLDPE)를 선정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색도,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고춧가루의 시각으로 인지하는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초기 수분 함량은 저장고의 상대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장고의 온도나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b값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두 측정값 모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저장 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포장재의 재질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A color value와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ASTA color value는 빛이 투과하는 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 더 많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의 강도는 증가하고 매운맛 색과 적색은 감소하여 점차 어두운 적색을 띄며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매운맛 색에 대한 평가에서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적색과 매운맛 색이 감소하고 황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a값,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은 전체적인 외관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중 ASTA color value가 관능적 기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춧가루 저장 시 빛이 통과하지 않는 Al/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에 품질 변화가 적었고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색도계를 이용한 적색도나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동결 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사슴고기의 이화화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eer Meat During Storage at -30°C and -60°C)

  • 신택순;이길왕;김선구;강한석;김근기;박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8-502
    • /
    • 2007
  • 본 연구는 포장방법에 따른 사슴고기의 냉장저장 중 이화화적 성질의 변화에 대해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체중 $220kg{\pm}10kg$ 내외의 Elk 암컷 5마리를 도축하여 24시간 냉각한 후 발골하였고, 배최장근과 대퇴근을 채취하여 함기포장하여 각각 $-30^{\circ}C$$-60^{\circ}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결중 보수성의 변화는 $-60^{\circ}C$에 보관한 처리구가 $-30^{\circ}C$보다 낮게 나타났다. 연도는 동결후 높은 전단가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30^{\circ}C$저장구가 $-60^{\circ}C$저장구보다 높았다. $-30^{\circ}C$$-60^{\circ}C$저장구 모두 저장 6개월 시점에서 가식권내에 있었고, 저장기간 동안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6개월경과 시 배최장근은 가식권을 벗어났으며, 대퇴근은 가식권내에 있었다. 동결저장중 pH는 증가하였고, 저장 6개월 경과 후에도 pH는 5.70이하였다. 배최장근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60^{\circ}C$저장구가 낮은 밝기를 나타내었으나, 대퇴근은 $-30^{\circ}C$가 낮았다. 적색도는 배최장근은 $-30^{\circ}C$저장구가 급격히 낮아졌고, 대퇴근은 $-60^{\circ}C$저장구가 급격히 낮아졌다. 배최장근은 $-60^{\circ}C$저장구가 황색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퇴근은 $-30^{\circ}C$$-60^{\circ}C$저장구 모두 저장 6개월경에 황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냉장저장중 사슴고기의 이화화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eer Meat Cold Storage at 4°C and -2°C)

  • 신택순;강한석;김선구;이길왕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2-527
    • /
    • 2005
  • [ $4^{\circ}C$ ]와 $-2^{\circ}C$보관한 배최장근과 대퇴근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보수성은 감소하였고, 배최장근의 변화가 대퇴근의 변화보다 크게 나타났다 $4^{\circ}C$저장구보다 $-2^{\circ}C$저장한 사슴육이 낮은 TBARS가를 나타내어 저장기간 연장이 가능하였다. $4^{\circ}C$$-2^{\circ}C$에 저장한 사슴육의 VBN가는 저장 15일간 가식권에 있었고,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서 배최장근과 대퇴근 모두 pH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2^{\circ}C$저장구가 $4^{\circ}C$저장구보다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육의 연화는 $4^{\circ}C$에서는 두드러졌으나, $-2^{\circ}C$에서는 지연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2^{\circ}C$저장이 저장기간 연장에 효과가 있었다. $-2^{\circ}C$ 저장구가 $4^{\circ}C$저장구 보다는 자기가 어둡게 나타났고, 적색도는 $-2^{\circ}C$가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2^{\circ}C$저장구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