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st-case feedback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1.2 Gbps 신호 복원기를 위한 비동기 비교기의 설계 (Design of Asynchronous Comparator for 1.2Gbps Signal Receiver)

  • 임병찬;권오경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137-140
    • /
    • 2001
  • This paper shows an asynchronous comparator circuit for 1.2Gbps signal receiver that converts 1.2Gbps data rate input signals with less than 100㎷ swing to on-chip CMOS compatible voltage levels in a 0.35${\mu}{\textrm}{m}$ CMOS process. Folded-cascode nMOS input stage with source-coupled pMOS input stage cover rail-to-rail input common-mode range. Drastic gain-bandwidth increment due to gain-boosting stage with positive-feedback latch as well as wide input common-mode range make designed circuit be suitable for a fully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HSPI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orst-case sensitivity is less than 20㎷ and maximum propagation delay is 640-psec. And also we verified 3.97㎽ power consumption with 150㎷ differential swing amplitude at 1.2Gbps.

  • PDF

High-Bandwidth DRAM용 온도 및 전원 전압에 둔감한 1Gb/s CMOS Open-Drain 출력 구동 회로 (A Temperature- and Supply-Insensitive 1Gb/s CMOS Open-Drain Output Driver for High-Bandwidth DRAMs)

  • 김영희;손영수;박홍준;위재경;최진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8호
    • /
    • pp.54-61
    • /
    • 2001
  • High-bandwidth DRAM을 위해 1Gb/s의 데이터 전송률까지 동작하고 그 출력 전압 스윙이 온도와 전원 전압(VDD) 변동에 무관한 CMOS open-drain 출력 구조 회로를 설계하였다. 출력 구동 회로는 여섯 개의 binary-weighted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데, 이 여섯 개 중에서 ON시킬 current control register의 내용은 추가 호로 없이 DRAM 칩에 존재하는 auto refresh 신호를 이용하여 새롭게 수정하였다. Auto refresh 시간 구간동안 current control register를 수정하는데, 이 시간 구간동안 부궤환 (negative feedback) 동작에 의해 low level 출력 전압($V_OL$)이 저전압 밴드갭 기준전압 발생기(band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에 의해서 만들어진 기준전압($V_{OL.ref}$)과도 같도록 유지된다. 테스트 칩은 1Gb/s의 데이터 전송률까지 성공적으로 동작하였다. 온도 $20^{\circ}C$~$90^{\circ}C$, 전원 전압 2.25V~2.75V영역에서 최악의 경우 제안된 출력 구동 회로의 $V_{OL.ref}$$V_OL$의 변동은 각각 2.5%와 725%로 측정된 반면, 기존의 출력 구동 회로의 $V_OL$의 변동은 같은 온도의 전원 접압의 영역에 대해 24%로 측정되었다.

  • PDF

파이로처리 폐기물 처분 시스템 근계 영역 내 핵종 유출 민감도: 제 2 부 결정론적 접근 (A Sensitivity Study on Nuclide Release from the Near-field of a Pyroprocessed Waste Repository System: Part 2. A Deterministic Approach)

  • 이연명;정종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3
    • /
    • 2014
  • 당해 연구의 제 1 부 논문에서 확률론적으로 접근한 데에 이어, 파이로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대하여 폐쇄 후 처분장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근계 영역 내 세가지 주요 설계 관련 요소에 대하여 각 핵종별로 최종 피폭 선량에 주는 민감도를 결정론적인 방법을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농축 피폭 집단에 방사선 피폭을 주는 주요한 핵종들이 처분장에서 유출된 후 처분 시스템 근계 영역 내 다양한 매질을 이동하는 것에 관련되어 이들 요소가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게 되는지 보기 위하여 제 1 부에서 처분 용기의 수명, 선원항으로서의 처분 용기에서의 연간 핵종 유출률, 그리고 처분장 주요 인공 방벽으로서의 완충재의 손실도 등의 변화를 확률론적 접근 방법으로 검토한 데 이어, 제 2 부의 이 연구를 통해서는 통계적인 확률론적 민감도를 검토하는 대신 세가지 인자에 대하여 가장 나쁜 경우와 이상적인 조합을 구성한 후 이를 결정론적으로 평가하여 인지된 3개의 요소들이 제 1 부에서의 결과와 동일하게 처분장 설계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파이로처리 폐기물 처분 시스템 근계 영역 내 핵종 유출 민감도: 제 1 부 확률론적 접근 (A Sensitivity Study on Nuclide Release from the Near-field of the Pyroprocessed Waste Repository System: Part 1. A Probabilistic Approach)

  • 이연명;정종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35
    • /
    • 2014
  • 파이로처리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서 폐쇄 후 처분장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근계 영역 내 세가지 주요 설계 관련 요소에 대하여 주요 핵종별로 최종 피폭 선량에 주는 민감도를 확률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농축 피폭 집단에 방사선 피폭을 주는 주요한 핵종들이 처분장에서 유출된 후 처분 시스템 근계 영역 내 다양한 매질을 이동하는 것에 관련되어, 이들 요소가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게 되는지 보기 위하여 처분 용기의 수명, 선원항으로서 처분 용기에서의 연간 핵종 유출률, 그리고 처분장 주요 인공 방벽으로서 완충재의 손실도 등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검토하였다. 처분장에 대한 결정론적,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병행 수행하여, 이 세가지 설계 요소의 물리적 변화가 통계적 분포를 가지고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확률론적 접근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는 제 1 부의 이 연구에, 그리고 세가지 설계 요소가 가질 수 있는 조합을 서로 다른 시나리오로서 비교하는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접근한 결과는 별도로 제 2 부에 제시하였다. 두 가지 접근 결과와 함께 고려된 인자들에 대하여 모두 결과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와 방법론은 향후 처분장 설계에 모범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를 위한 효율적인 피드백 정보 수집 (An Efficient Feedback Collection for Multimedia Multicast)

  • 궁상환;강민규;구연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751-76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송신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한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송할 때, 그룹내의 수신자들이 전송된 데이터를 잘 수신하고 있는 가에 대한 상황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이질적인 단말 및 통신망 환경에서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특히, 연구에서는 송신자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자가 어떻게 수신하고 있는 가에 대한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수신자들의 전송 정보를 절감시킴으로써 송신자 측에서 상태 정보의 폭주로 인한 성능 저하를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기본 아이디어는 그룹의 행위를 어떻게 보는 가의 관점에서 출발하는 데, 제안된 방식에서는 그룹의 구성원 중 가장 열악한 상황에 있는 수신자 즉, 대표 수신자가 그룹의 상황을 대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시 말해, 이 대표 수신자의 성능이 저하되면 전체 그룹의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간주하고, 반대로 대표수신자의 성능이 향상되면 전체 그룹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대표 수신자가 다른 수신자 보다 먼저 상태 정보를 송신자에게 통보하도록 하며, 다른 수신자들은 이 대표 수신자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때 장신의 상태와 비교하여, 자신이 더욱 열악한 경우에만 추가적인 응답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응답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암성통증관리 만족도 (Patient Satisfaction with Cancer Pain Management)

  • 이소우;김시영;홍영선;김은경;김현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6권1호
    • /
    • pp.22-33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암성통증관리지침이 제시된 후 환자들의 통증관리에 대한 만족도, 만족 및 불만족 요인, 통증관리전략을 규명하여 앞으로의 통증관리에 있어 의료인이 지향해야할 세부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 2002년 7월부터 11월까지 서울소재 2개 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 또는 외래치료중인 암환자 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미국통증학회의 Patient Outcome Questionnaire(APS-POQ) 및 여러 선행연구를 참고로 연구자들이 구성한 설문지 및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조사연구이다. 결과 : 1) 대상자의 특성 : 연구대상자의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 평균은 6.74점($0{\sim}10$점 범위), 24시간 평균 통증의 평균은 3.80점이었으며, 통증조절이 이루어진 후 느낀 통증의 정도는 평균 2.93점이었다.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 합계 평균은 $25.03{\pm}12.82$점($0{\sim}50$점 범위)으로 중등도의 지장을 느끼고 있었으며, 통증에 대한 환자의 염려 항목 중 3점 이상($0{\sim}5$점 범위)인 항목은 질병악화, 중독, 그리고 내성에 대한 항목이었다. 2) 암성통증관리현황 : 진통제를 적절히 복용하고 있는 대상자는 66.1%(39명)이었다. 대상자의 33.9%만 통증조절을 위해 약물이외의 간호중재방법을 사용한 적이 있었고, 의료진으로부터 통증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아본 대상자도 35.6%로 나타났다. 3)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및 그 이유 : 통증관리에 대한 평균 만족 정도는 $4.19{\pm}1.14$ ($1{\sim}6$점 범위)이었으며, 72.9%(43명)의 대상자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불만족 하는 이유는 '통증조절 후에도 통증이 감소되지 않았다' '통증을 호소했을 때 빨리 혹은 시기적절하게 대처해주지 않았다',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무관심하며 형식적으로 대했다', '약물 투여방법, 작용시간, 부작용 등 통증 관리에 대한 정보제공이 없었다' 이었으며, 만족하는 이유는 '통증조절 후 통증이 감소했다', '통증을 호소할 때 의료진이 관심을 가져주었다', '의사나 간호사가 신속하게 통증조절을 해주었다' '의사를 신뢰하기 때문' 이었다. 4) 암성통증관리의 만족 또는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의 통증정도 및 일상생활에 지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의 염려 항목 중 '훌륭한 환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자이다'에 있어서 만족 집단의 평균점수가 불만족 집단의 평균점수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선행연구들에 비해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하였으나 아직도 30%정도의 대상자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통증 관리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 통증관련 약물,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방법 및 환자들의 통증과 관련된 잘못된 지식을 개선하는 내용이 포함된 환자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