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symbol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4초

실록(實錄) : 등록(謄錄)의 위계(位階) (The Sillok as National Supreme Archives : An archival interpretation)

  • 오항녕
    • 기록학연구
    • /
    • 제3호
    • /
    • pp.91-113
    • /
    • 2001
  • History always be re-interpreted as the time flows. 'The Sillok', Which was registered in Memory of World of UNESCO in 1997, is comprehensive documents of the Chosun Dynasty, which had been compiled after kings' death, The Sillok encompasses 473 years of the reign in their 848 volumes(1,893 chapters). It was a history itself and has been main source in studying Korean history. Due to the rise of studies on the Sillok, time has come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Sillok and to criticize the text, which would be called 'The Sillok-Study'.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three concepts that categorize the nature of the Sillok as historical materials ;Is it book or record?; The Sillok in register system in pre-modern society; And the Sillok as the National Archives. Korean historians, including myself, haven't yet examined the question whether the Sillok is the Book or Record in terms of archival science. At first, I regarded it as history book, and with this presupposition, wrote several pap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lok. However, I recognized that the Sillok are close to record rather that history book as I examined the definition of glossary of librarian study, OED (Oxford English Dictionary) and Encyclopedia of Britannica, etc. Definitely, the Sillok was neither compiled and published to be read and sold publicly, nor meant to the works of literature or scholarship. one may say that the court-historians wrote comments on the facts and therefore it was just scholarly work. However, because the court-historians produced their comments on their own businesses, the outcome of 'their scholarly works' were also records conceptually, as were daily court-journalists in Rome. Its publication also had a absolutely different meaning from that of modern society. It was a method to preserve the important national records and distributed each edition of them to plural repositories for its safety and security. How can we explain its book-like shape and the procedure of compilation after a kings' death. The answer is as follows ; In pre-modern society, it was a common record-keeping system in the world to register records materials in order to arrange the materials of different sizes and to store them conveniently. And the lack of scientific preservation or conservation skill also encouraged them to register original records. Actually, the court-histo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called themselves "registering officers". On the other hand, similar to social hierarchy, there was a hierarchical system of records, and the Sillok was placed at the top of this hierarchy. In conclusion, the Sillok was a kind of registered records in the middle ages and the supreme records in the records-world. In addition to this we can also conceptualize the Sillok as archives. Through the compiling proces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records were selected to be the parts of Sillok.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modem records appraisal. In the next step, it was preserved in the Four Archives(史庫) which located at remote site as archives and only accessible by the descendents in the future, who might be the people of the next dynasty. And nobody could access or read the documents at that time except the authorized court-historians who were archivists of the Chosun Dynasty. From this perspective, I conclude that Sillok was the supreme confidential archives in the register system. I work for the Government Archives as a historian and archivist. Whenever I entered the exhibition hall of the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s Service(GARS) and saw the replica of the Archives of Taebeak Mountain built during Chosun period, I always asked to myself a question whether the Sillok can be a symbol of the archival tradition of Korea and the GARS. Now, I can say, 'Yes!' definitely.

'배고픔'과 '폭식충동'을 주소로 하는 내담자의 분석과정에서 발현된 '자기원형'의 치유적 기능 : '뱀'의 상징을 중심으로 한 고찰 (The Healing Effect of 'Self-archetype' Manifested in the Analysis of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Serpent' Imago)

  • 김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73-85
    • /
    • 2017
  • 연구목적 자연스러운 본능으로서의 배고픔과는 다르며, 의식의 자아를 습격하듯이 위협적으로 찾아들기도 하며, 정서적 고통을 수반하기도 하는, 낯설고 이질적인 '이상한 배고픔'과 '강박적 폭식충동'이, 분석과정에서 어떤 경과를 취하며 어떻게 해소되고 치유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증상으로 체험되던 고통의 목적의 미에 대해 살펴보고, '식이장애' 증상군을 이해하고 조명하는 하나의 관점과 치료방법으로서, 분석의 치유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상한 배고픔'과 '폭식충동'을 주소로 용인정신병원 외래를 방문한 A, B, C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 1~2회, 1회에 55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의식과 현실의 상황, 어린시절을 포함한 개인사 및 가족력과 더불어 무의식(꿈, 환상)을 함께 살펴나갔다. 분석과정의 기록이 본 연구와 논문의 토대가 되었다. 결과 1) 의식과 무의식(꿈, 환상)을 함께 살펴나가고 꿈의 상과 상징을 주관단계로 이해하는 분석 과정을 통해서, '무의식의 의식화'와 '인격의 창조적 변환'이 진행되었으며, 피분석자 모두에서 '이상한 배고픔'과 '폭식충동'의 호전과 치유가 진행되었다. 2) 피분석자들의 꿈과 환상에서 '전체성의 원형(자기원형)'으로 볼 수 있는 '뱀'의 상(Imago)이 공통적으로 나타남이 관찰되었다. 3) 피분석자C의 환상에서 폭식충동이 뱀의 '상'으로 변환됨으로써 폭식충동이 점차 사라지고 마음의 평정을 회복하게 되었다. 투사(전이)를 인식하고, 외부대상(분석가)과의 분리(separation, detachment)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무의식적이었던 심리적 내용이 인식됨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합성'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었다. 결론 피분석자 A, B, C에서 배고픔과 폭식충동은 자신의 본성과 개성을 회복하고 자신의 전체가 되는 '자기실현'을 목적지로 하며, '무의식의 의식화 인격의 창조적 변환 세상과의 창조적 관계변환'으로 귀결되는, '창조적 충동'이라고 볼 수 있다. '창조(재탄생)'라는 목적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나 의식의 자아가 그 의미를 깨닫기 전에는 정서적 고통과 본능적 충동으로 체험되기도 하는 '창조적 충동'은, 꿈이나 환상을 통해 '상'과 '상징'으로 드러나게 됨으로써, 의식의 자아에게 그 의미가 알려지게 된다.

동양적 캘리그라피 기법의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ty of Oriental Calligraphy Technique)

  • 김병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63-172
    • /
    • 2003
  • 캘리그라피 기법은 요즘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광고, 패키지, 심볼마크, 로고타입, 영화포스터 등의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심지어 현대추상회화에 이르기까지 현대인의 시각환경을 망라하고 있다. 이는 기호 및 운동표현으로서의 그 역동적이고 암시적인 표현력이 재인식되었기 때문이다. 기계적이고 인위적인 디지털환경, 획일적이고 공식화된 모더니즘적 경향에 대한 현대인의 이탈심리의 작용으로 동양적 신비감과 정서적 친근감을 갖춘 새로운 표현양식으로서 캘리그라피 기법에 주목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캘리그라피의 역사를 조명하고, 특성을 이해하며, 현대회화와 그래픽디자인에 확장된 가치를 모색하여 시각언어와 표현양식의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동양화적 기법과 재료, 캘리그라피 기법을 혼용한 캘리일러스트(Calli-Illust)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여 일러스트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캘리그라피 기법은 추상표현주의 회화의 한 양식으로서, 새로운 조형세계의 영역을 확장시킨 공헌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환경 속에서 비판 없이 수용되었던 서구의 이성적, 합리적 그리고 기하학적인 기능주의 디자인 양식의 한계점을 타개할 새로운 표현양식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전까지 캘리그라피의 개념에 포함되어 이해되었던 캘리일러스트에 대한 개념과 정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캘리일러스트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보다 심도 있고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다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 PDF

劉河間의 運氣論과 그 運用에 관한 硏究 (A Study of Hagan's Ungi(河間運氣)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odern society)

  • 이동호;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7-107
    • /
    • 2000
  • 1. Ounyukki(五運六氣) theory was first developed from observation of astronomical phenomena. Natural phenomena were explained and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s of Yukki(六氣), and Ohaeng(五行, the concept that all matter in the world are comprised of five fundamental elements), during Chon-guk(戰國) and Han(漢) periods. In that period. Kanji(干支, the method to present time with ten and twelve different kinds of symbol's combinations) was used to record Ounyukki(五運六氣). Theoretical study of Un-gi(運氣, the abbreviation of Ounyukki) was almost completed in Un-gichilpyon(運氣七篇) of Naekyong(內經). Un-gi(運氣) theory was further studied and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socially, as well as medically, in Tang(唐), Song(宋), Kum(金), and Won(元) periods. Hagan(河間) published various studies based on Un-gi(運氣) theory in Kum won(金元) periods. 2. Hagan(河間) realized the limitation of a remedy method, of Sanghan(傷寒) theory. Therefore, he made an assumption that the prevalence of diseases in his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Hwayol(火熱, a fire and a super-heat; two things out of Yukki(六氣)). His new theory was a result of the study on Kyongjon(經典, bibles of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phenomena of nature. 3. Hagan(河間) used a combination of two basic theories of Pimuripsang(比物立象) and Hanhaesungjeron(亢害承制論) to make understood Hwayol(火熱) theory, Pimuripsang(比物立象) theory explains a method to appreciate the essence of things by comparing Sang(象, an expression of how something appears on the outside) and then making another Sang(象) from the comparison. Hanhaesungjeron(亢害承制論) is a theo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balance of Yukki(六氣). It is that, if one of the elements is exceeded, other thing in the other five elements dominate the exceeded thing to control it for the balance between Yukki(六氣). In addition, he articulated P'yobon(標本. inside and outside of a thing) theory to differentiate the disease symptoms. These theories will help to distinguish real and fake symptoms of diseases, on which Hagan(河間) emphasized its importance. 4. Hagan(河間) published a new theory to explain Ounyukki(五運六氣) theory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nature and the experience from medical practice. And he added Chobyonggi(燥病機,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in dry conditions) to Pyonggishipkujo(病機十九條, nineteen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it strengthened Pyonggi(病機,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theories. Moreover. he utilized Un-gi (運氣) theory in a real life situation by applying Un-giron(運氣論) to diagnosis like Maekchin(脈診, a method to diagnose by taking the pulse) and to prescription. 5. Modern society is an era in which it is hard to appreciate the principles of the changes due to the various unusual wea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paradigm using Un-gi(運氣) theory, like Hagan(河間) did in Kumwon(金元) period. 6. Unusual weather changes and the geriatric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iabetes, may have Sang(象) of Hwayol(火熱) theory at the other side. These diseases have been and will create more se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As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t seems to b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pply Hagan's(河間) Hawyol(火熱) theory to modern society.

유하간(劉河間)의 운기론(運氣論)과 그 운용(運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Hagan's Ungi(河間運氣)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odern society)

  • 이동호;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8-145
    • /
    • 2000
  • 1. Ounyukki(五運六氣) theory was first developed from observation of astronomical phenomena. Natural phenomena were explained and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s of Yukki(六氣), and Ohaeng(五行, the concept that all matter in the world are comprised of five fundamental elements), during Chon-guk(戰國) and Han(漢) periods. In that period. Kanji(干支, the method to present time with ten and twelve different kinds of symbol's combinations) was used to record Ounyukki(五運六氣). Theoretical study of Un-gi(運氣, the abbreviation of Ounyukki) was almost completed in Un-gichilpyon(運氣七篇) of Naekyong(內經). Un-gi(運氣) theory was further studied and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socially, as well as medically, in Tang(唐), Song(宋), Kum(金), and Won(元) periods. Hagan(河間) published various studies based on Un-gi(運氣) theory in Kum won(金元) periods. 2. Hagan(河間) realized the limitation of a remedy method, of Sanghan(傷寒) theory. Therefore, he made an assumption that the prevalence of diseases in his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Hwayol(火熱, a fire and a super-heat; two things out of Yukki(六氣)). His new theory was a result of the study on Kyongjon(經典, bibles of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phenomena of nature. 3. Hagan(河間) used a combination of two basic theories of Pimuripsang(比物立象) and Hanhaesungjeron(亢害承制論) to make understood Hwayol(火熱) theory, Pimuripsang(比物立象) theory explains a method to appreciate the essence of things by comparing Sang(象, an expression of how something appears on the outside) and then making another Sang(象) from the comparison. Hanhaesungjeron(亢害承制論) is a theo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balance of Yukki(六氣). It is that, if one of the elements is exceeded, other thing in the other five elements dominate the exceeded thing to control it for the balance between Yukki(六氣). In addition, he articulated P'yobon(標本. inside and outside of a thing) theory to differentiate the disease symptoms. These theories will help to distinguish real and fake symptoms of diseases, on which Hagan(河間) emphasized its importance. 4. Hagan(河間) published a new theory to explain Ounyukki(五運六氣) theory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nature and the experience from medical practice. And he added Chobyonggi(燥病機,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in dry conditions) to Pyonggishipkujo(病機十九條, nineteen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it strengthened Pyonggi(病機, course and rule causing disease) theories. Moreover. he utilized Un-gi (運氣) theory in a real life situation by applying Un-giron(運氣論) to diagnosis like Maekchin(脈診, a method to diagnose by taking the pulse) and to prescription. 5. Modern society is an era in which it is hard to appreciate the principles of the changes due to the various unusual wea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paradigm using Un-gi(運氣) theory, like Hagan(河間) did in Kumwon(金元) period. 6. Unusual weather changes and the geriatric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iabetes, may have Sang(象) of Hwayol(火熱) theory at the other side. These diseases have been and will create more se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As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t seems to b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pply Hagan's(河間) Hawyol(火熱) theory to modern society.

  • PDF

예술 형식으로서의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성 연구 - 브래드 버드 감독의 "아이언 자이언트(1999)", "인크레더블(2004)", "라따뚜이(2007)"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Narrative Features in Animation as an Art Form - Focusing on Brad Bird's "The Iron Giant(1999)", "The Incredibles(2004)", "Ratatouille(2007)" -)

  • 김숭현;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29-438
    • /
    • 2018
  • 미국의 각본가이자 애니메이션 감독인 브래드 버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이 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 개봉되고 있는 상황을 비판했다. 그는 애니메이션이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며, 그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래드 버드 감독의 장편 애니메이션 <아이언자이언트>, <인크레더블>, <라따뚜이>의 서사구조 및 캐릭터, 서브플롯, 상징 및 복선, 암시 등 총체적인 구성요소, 그리고 표현 양식을 분석하여 그의 작품이 갖는 차별화된 서사적 특성과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예술 형식으로서의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성은 첫째, 저 연령층뿐 아니라 성인들도 깊게 공감할 진중한 주제 메시지의 전달. 둘째, 현실사회의 모순과 시대적 과오를 비판하는 사회의제 표현. 셋째, 현실적 상황 설정을 바탕으로 치밀하게 구성된 플롯을 통해 개연성 높은 내러티브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애니메이션이 제작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韓·中경계지역 문화유산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구축의 교육적 활용 (Approaches to Education Programs and Exhibition Contents of the Museum Using Cultural Heritage in Korea and China Border Areas)

  • 오일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4-192
    • /
    • 2011
  • 문화유산은 민족의 삶과 지역성을 함축하고 있는 역사적 상징이다. 한중경계의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의 문화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한중간의 경계에 분포하고 있는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적 문화의식을 확립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연구과제이다. 그러나 중국이 고구려의 문화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동북공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고구려와 발해 뿐 아니라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역사문제와 문화유산을 둘러싸고 우리나라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경계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문헌학적인 연구보다는 박물관에서 시각적인 자료활용과 교육학습의 연계를 위하여 문화사적 인문경관의 전시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적 학습방안을 찾아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근대국가에 대한 영토인식 뿐 아니라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동북공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웹이나 앱의 구축을 통한 역사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박물관의 전시자료를 활용한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동북지역에 대한 한중간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속삼강행실도의 만화칸 기호 연구 (Study on the Symbol of Comics frames of 'The Sequel to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 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56-164
    • /
    • 2011
  • 우리가 알고 있는 근현대적인 세계 만화역사와 국내 만화역사는 얼마 되지 않는다. 또한 국내 만화역사의 시작은 외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보는 경향들이 있다. 물론 몇몇 연구를 통한 과거의 흔적에서 우리의 만화역사라고 주장하지만, 대중적인 동의를 폭넓게 얻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만화역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만화의 족적을 더듬어 근거를 찾고 주장하기가 쉽지는 않은 일이다. 기록되어 남아있는 역사를 만화역사로 주장하기 위해서는 타당한 근거가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에는 여러 만화기호의 원형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의 만화칸 기호와 유사한 만화칸이 모든 그림에 그려지고 있다. 이는 국내 만화역사로 주장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속삼강행실도>에 등장하는 만화기호 중에서도 '만화칸' 기호를 분석한 논문이다. 조선시대의 만화칸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에서 조선시대 만화역사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조선시대 만화칸의 기호적인 의미를 연구함으로써 만화를 공부하거나 관심 있는 이들에게 만화역사로 인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근거가 되기를 바란다.

정원 미로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f the Form and Meaning of the Garden Labyrinth)

  • 황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4-95
    • /
    • 2010
  • 본 연구는 정원의 한 요소인 정원 미로의 유형과 형태 그리고 그곳에서의 행위의 특정과 의미를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인류의 문명사에서 가장 오래된 상정 중 하나인 미로는 어원적 정의나 물리적 형태상 기본적으로 위요된 장소인 정원과 많은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 고대부터 발전해온 미로는 르네상스 시기에 정원의 요소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달한다. 평면적이고 상징적 종교적 의미가 강했던 고대와 중세의 미로와 달리 입체적으로 조영된 정원 미로에는 공감각적 유희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문학작품과 회화를 통해 정원 미로의 개념이 먼저 보급되었고, 이 중에서도 특히 '사랑의 정원' 유형의 정원 미로가 유행했다. 이어 17세기 베르사유 정원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길을 따라 가는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미로의 형태가 나타난다. 기하학적인 형태상 정형식 정원에 도입이 용이했던 정원 미로는 이후 취향의 변화 등으로 정원의 요소로서는 점차 쇠퇴하지만, 그 의미는 다른 형태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간이면서 동시에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한 미로와 지상에서 가장 안락한 장소인 정원이라는 두 요소가 만나 정원 미로라는 새로운 의미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조망해 본다.

연 폭로근로자의 신경행동학적 변화 (Neurobehavioral Change on the Lead Exposure Workers)

  • 박인근;이덕희;이용환;김진하;장세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75-185
    • /
    • 1995
  • 연 폭로 근로자들의 혈중 연 농도가 신경 행동 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부산 모공단내의 연 취급사업장에 근무하는 남자근로자 59명을 대상군으로 선택하였다. 신경 행동 검사는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제안한 NCTB(Neurobehavioral Core Test Battery) 중 5항목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군들은 혈중 연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0, 중간농도군(20$(40으로 분류하였다. 숫자 암기 중 역순 숫자 부호 짝짓기, Benton Visual Retention에서 고농도군과 중간농도군이 저농도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수행능력이 저하되었으며, 연령, 교육기간과 상관성이 가장 큰 항목은 숫자부호 짝짓기였다. 혼란변수인 연령과 교육기간을 보정한 후에도 Benton Visual Retention에서 여전히 고농도군과 중간농도군에서 저농도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고농도군과 중간농도군의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없었다. 신경행동변화와 관련된 연의 영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취업시부터의 정확한 개인별 폭로력과 혈중 연 농도뿐만 아니라 통합된 연 흡수 척도들의 추적과 함께 신경행동검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