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y plants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5초

Toxic Effects of Serpentine Soils on Plant Growth

  • Kim, Jeong-Myeong;Shim, Jae-K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327-331
    • /
    • 2008
  • Serpentine soils are distributed in a small area in Korea, and generally exhibit high contents of Ni, Cr, Fe, Mn, Co and Mg.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woody plants and herbs in the Andong serpentine area, Korea.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growing on serpentine soils have high contents of Fe, Mg, Ni and Co, with contents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hose of non-serpentine plants. Tree species on serpentine soil also had lower ratios of tree height/DBH than trees in a control area. In greenhouse culture experiments on two bodenvag herb species, Setaria viridis and Cymbopogon tortilis, the biomass of the pla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oil type but not by seed origins. After 66 days, the growth of S. viridis and C. tortilis seedling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serpentine soil, and the dry weight of each speci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il heavy metal contents (Ni, Co and C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of plants was inhibited by properties of the serpentine soil, and in particular, their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 which induced dwarfing in woody plants and reduction of total plant biomass in herbs.

Tolerance of Several Woody Plants to Sulphur Dioxide

  • Hwangbo, Jun-Kwon;Lee, Chang-Seok;Kim, Joon-H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37-340
    • /
    • 2000
  • The photosynthetic and stomatal responses of several woody plants (Powlonia coreana, Firmiana simplex,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serrata) to SO$_2$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cophysiological tolerance to $SO_2$ Of the plants, P, coreana showed the largest reduction in its photosynthesis in response to exposure of 0.4 ppm $SO_2$ for 20 h. Fumigation of 0.7 ppm $SO_2$ for 20 h caused complete leaf necrosis of P. coreana and f simplex, which made them unavailable for the measurement of photosynthesis. Q. variabilis exhibited the smallest reduction in photosynthesis following exposure of 0.7 ppm $SO_2$ for 20 h. Both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of the plants by $SO_2$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s by lkeda et at. (1992). When exposed to 0.4 ppm $SO_2$ for 20 h, F. simplex and P. coreana showed the lowest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respectively, while Q. variabilis and Q. serrata exhibited the lowest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respectively, in response to 0.7 ppm $SO_2$ for 20 h. The data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resistance mechanisms of other plants to $SO_2$ exposure and implications for restoration of declined Korean forests.

  • PDF

Temporal Change in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on the Flank of Sakurajima Volcano,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Lim, Young-Hyup;Kim, Suk-Woo;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70-279
    • /
    • 2016
  • This study explained vertical distributions and growth environments for woody vegetation. It had been degenerated by long-term volcanic activity of Sakurajima; vegetation and thicknesses of tephra layers and forest soils were investigated at 5 sites (250-700 m in altitude) with different altitudes localized at the northwestern-northern flanks of Sakurajima in Kagoshima Prefecture. The results in 2015 were compared with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in 1963, when the volcanic activity of Sakurajima was relatively moderate. Thus, we investigated temporal change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owing to volcanic activity over about 50 years (1963-2015). We indicated altitude decreased, the number of woody vegetation, number of species, sum of cross-sectional area of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Fisher-Williams's diversity index ${\alpha}$, and forest soil thickness increased. However, these values were found to be degenerated when compared to climax forest values, and succession was incomplete. It seems that because the woody vegetation of the flank was affected by volcanic activity for a long time, exposing them to severe growth environments, areas with lower altitudes became distant from the craters of Sakurajima, thereby weakening the effect of volcanic activity in these areas at lower altitudes. a at the same altitudes over about 50 years (1963-2015) decreased by about 31-72%, and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s decreased by about 14-62%. Thus, comparative growth environments for woody vegetation in 2015 were more severe than that of 1963, with respect to tephra layer thickness. In addition, for vegetation succession in the flank of Sakurajima, vegetation restoration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woody plants covered by symbiotic microorganisms or organic materials.

한국에서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의 잠재분포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Potential Distribution Possibility of the Warm-Temperate Woody Plants of East Asia in Korea)

  • 이철호;김휘래;조강현;최병기;이보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69-281
    • /
    • 2022
  • 기후변화에 따라서 식생과 식물종의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생태계 관리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난대 목본식물종의 한반도 분포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과 일본에서는 분포하지만 한국에는 분포하지 않은 난대 목본식물종의 목록을 수집하고 그들의 전지구적 분포와 생물기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한국의 난대식생대를 한랭지수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이 지역의 기후 정보를 수집하였다. 기후 변수들 사이의 상관분석으로 다중공선성을 배제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수로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 평균온도일교차 및 연강수량이 선택되었다.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종의 분포지와 한국 난대식생대의 3가지 기후 변수 사이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다변량 환경 유사도 표면 (MESS)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단계적 변수선택 회귀로 MESS 유사도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후변수로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과 연강수량을 선별하였다. 선택된 2 변수로 구성된 다변량 일차회귀에서 최한사분기 평균기온이 전체 변이의 88%를 차지하였다. 총 319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종에 대하여 MESS 유사도 지수를 산출하는 구축된 다변량 회귀식을 적용하여 이들이 한국에 잠재분포 할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낙엽조경수목의 대기정화 기간 연장과 미적 이용을 위한 잎 지속기간 및 엽색 특성 (A Study on the Leaf Persisting Periods and Leaf Color Characteristics of Woody Landscape Plants)

  • 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5-214
    • /
    • 1998
  • 낙엽조경수목의 계절별 엽색 특성을 파악하여 식재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나아가 식재계획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낙엽조경수목 60과 211종을 대상으로 1992년 1월 1일부터 1993년 3월 20일까지 수목의 외형적 주요특성인 잎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엽조경수목의 잎의 감상은 귀룽나무가 3월 20일 개엽한 후 붉은인동덩굴이 낙엽한 12월 17일까지 9개월여 동안 가능하였으며, 잎의 지속기간이 8개월 이상인 수종으로는 왕보리수, 능수버들, 쥐똥나무, 찔레나무, 붉은인동덩굴, 클레마티스가 있었다. 2. 단풍전 잎이 빨강색계 수종은 꽃자두, 자주일본매자, 자주색노르웨이단풍, 수양단풍, 블랙검, 홍단풍의 7수종이 있었고, 노랑색계는 노란매자나무, 중산국수나무, 황금개나리, 황금쥐똥나무의 4 수종이 있었는데 이중 황금개나리와 황금쥐똥나무는 반엽수종이었다. 3. 단풍감상은 화살나무가 9월 6일에 단풍든후 붉은인동덩굴이 12월 17일 낙엽할 때까지 3개월 10일정도 가능하였고, 단풍색은 노랑색계가 60.7%, 빨강계가 37.4%이었다.

  • PDF

$CO_2$ 농도와 온도증가가 목본성 수종 3종과 멸종위기 2종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Response of Several Woody Plants, Including Two Endangered Species)

  • 장래하;김해란;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34-240
    • /
    • 2013
  • $CO_2$ 농도 증가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우리나라의 우점종인 소나무, 가로수로 많이 쓰이는 은행나무 그리고 난대림의 우점종인 종가시나무와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된 개가시나무, 미선나무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CO_2$ 농도와 온도증가를 증가시킨 지구온난화 처리구와 대조구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지상부 길이와 잎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그리고 종가시나무의 지상부 생장량은 대조구와 지구온난화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개가시나무와 미선나무의 지상부생장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으나, 잎 수는 $CO_2$ 농도와 온도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으로 볼 때, 지구온난화 조건이 되면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 은행나무, 종가시나무보다 멸종위기식물인 미선나무와 개가시나무의 지상부 생장에 유리할 것이다.

공단지역에서 생육하는 가로수 27종의 항산화특성과 잠재적 환경정화능력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Phytoremediation Potential of 27 Taxa of Roadside Trees at Industrial Complex Area)

  • 한심희;이재천;오창영;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9-168
    • /
    • 2006
  •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기에 적합한 수종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단지역의 가로수로 식재된 27개 수종의 잎에서 항산화 능력, 과산화 지질 함량 및 질소함량을 조사하였다. 2깨 수종 중 항산화 능력이 가장 높은 수종은 개잎갈나무(91.4%) 이었고, 가장 낮은 수종은 벽오동(56.9%) 이었다. MDA함량이 가장 적은 수종은 배롱나무와 은행나무였으나, 양버즘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및 향나무에서는 높은 MDA 함량이 측정되었다. 낙엽활엽수의 항산화 능력은 상록수의 항산화 능력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낙엽활엽수의 MDA 함량은 상록수의 MDA 함량보다 낮게 나타났다. 27개 수종은 항산화 능력과 과산화지질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범주 I은 높은 항산화 능력과 낮은 과산화지질 함량을 가진 수종, 범주 II는 높은 항산화 능력과 높은 과산화지질 함량을 가진 수종, 범주 III은 낮은 항산화 능력과 낮은 과산화지질 함량을 가진 수종, 범주 IV는 낮은 항산화 능력과 높은 과산화 지질 함량을 가진 수종. 이들 4개 범주에 속하는 수종은 각각 7종(범주 I), 6종(범주 II), 8종(범주 3), 6종(범주 IV) 이었다.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가진 범주 I과 II의 수종들은 낮은 질소함량을 나타냈으나, 낮은 항산화능력을 가진 범주 III과 IV의 수종들은 높은 질소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범주 I과 II에 속하는 메타세코이아, 굴피나무, 양버즘나무는 예외적으로 높은 항산화 능력과 높은 질소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이들 수종들은 공단지역의 식재 수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4종의 초기 생육반응 (Initial Growth Responses of Four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according to Irrigation Frequency)

  • 권계정;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8-34
    • /
    • 2017
  • 본 연구는 실내에 많이 사용되는 목본식물인 산호수(Ardisia pusilla), 클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대상으로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생육 상태를 측정하여 향후 실내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경식물의 적절한 관수주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목본식물 4종을 10cm 포트에 식재하여, 관수주기를 2회/1주, 1회/1주, 1회/2주의 3수준으로 하여 120일 동안 처리한 후, 초고, 생체중, 건조중, SPAD, 엽색, 엽수분포텐셜, 엽록소 형광(Fv/Fm), 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토양수분함량은 2회/1주 $48.8{\pm}2.1%$, 1회/1주 $25.2{\pm}4.4%$, 1회/2주 $10.3{\pm}2.4%$ 순으로 나타났다. 2회/1주 관수 시 산호수는 엽수분포텐셜이 높게 나타났고, Fv/Fm이 0.731로 나타나 과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보였다. 1회/2주 관수 시 산호수, 팔손이, 인도고무나무의 광합성율은 유의성이 없어 클루시아에 비해 건조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회/1주 관수하여 평균 토양수분함량이 25%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4종 목본식물 모두 실내 생육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나 실내조경용으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First Report on Poinsettia mosaic virus in Korea

  • Chung, B.N.;Lee, E.K.;Jeong, M.I.;Kim, H.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20-223
    • /
    • 2004
  • Most plants of commercial poinsettia cultivars grown from cuttings develop mosaic and chlorotic dot symptoms on leaves.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st showed that they were infected with Poinsettia mosaic virus (PnMV). In a survey of commercially grown poinsettias conducted in Korea, PnMV was detected in ten of ten poinsettia cultivars sampled and in 100% of 178 samples tested. The virus has isometric particles and about 29 nm in diameter. Crystalline virus particles were observed in cytoplasm of cells of diseased plant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Nucleotide sequence of coat protein gene of PnMV- Kl showed 97.3% homology with that of a German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nMV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