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y debri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산불피해지역에서 임상잔존물의 처리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 (Characteristics of Habitats and Small Rodent Populations caused by Different Remnant Treatments on Forest Floor in Fired Coniferous Forest)

  • 이은재;이우신;이영근;이명보;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11-715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 침엽수림의 산불피해 후 임상잔존물을 제거한 지역과 임상잔존물을 그대로 방치한 지역에서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두 지역의 서식환경은 암석 피도량, 관목 및 치수의 본수는 지역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하층식생의 피도량, 고사목의 수 그리고 임상잔존물의 부피는 두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형 설치류의 포획 결과, 흰넓적다리붉은쥐와 대륙밭쥐 모두 임상잔존물 제거지역 보다 방치지역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포획된 개체수의 종별, 성별 체중에 있어서도 지역간 같은 결과를 나타났다. 임상잔존물 제거지역과 방치지역에서 포획된 소형 설치류의 밀도와 체중의 차이는 두 지역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불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서 인위적으로 임상의 잔존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소형 설치류의 서식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양한 분류군에 대해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복원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조림지의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 (Differences in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 Time Elapse Among Thinned Forest Stand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전종훈;김한규;김준수;이우신;김종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27-132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일대의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간벌 후 시간경과에 따른 서식환경과 소형 설치류 개체군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은 교목 수와 관목 수, 상층 피도, 중층 피도, 암석 피도, 수목잔존물 수에서 임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형 설치류의 포획 결과,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4종이 포획되었으며, 대조구보다 간벌지에서 더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이 중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의 성비와 연령비를 분석한 결과, 두 종 모두 수컷의 비율은 간벌 3년차 임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성숙개체와 미성숙개체의 비율은 임분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와 같은 차이는 간벌지와 대조구의 서식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의 간벌은 하층 식생의 발달과 수목잔존물의 증가로 소형 설치류에 더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벌 이후 수목잔존물의 존치와 중층 및 하층 식생의 유도를 통한 산림관리는 소형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arbon Storage in an Age-Sequence of Temperate Quercus mongolica Stands in Central Korea

  • Kim, Sung-geun;Kwon, Boram;Son, Yowhan;Yi, Myong J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72-48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torage in Quercus mongolica stands based on stand age clas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arbon balance of broad-leaved forests of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ngcheon-gun County, Gangwon-do Province, Korea. Three plots were set up in each of three Q. mongolica forest stands (III, V, and VII)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stored in Q. mongolica aboveground vegetation, coarse woody debris (CWD), organic layer, mineral soil, and litterfall. The carbon storage of the aboveground veget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tand age, while the carbon storage ratio of stems decreased. The carbon storage of the organic layer, CWD, and litterfal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classes. In addition, the carbon concentration and storage in the forest soils decreased with depth,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age classes for any soil horizon. Finally, the total carbon storage in the III, V, and VII stands of Q. mongolica were 132.2, 241.1, and $374.4Mg\;C\;ha^{-1}$, respectively. In order to predict and effectively manage forest carbon dynamics in Korea, further study on deciduous forests with other tree species in different regions will be needed.

Restoration effects influenced by plant species and landscape context in Young-il region, Southeast Korea: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assessment on restored forest

  • Cho, Yong-Chan;Kim, Kyung-Soon;Pi, Jung-Hun;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10
    • /
    • 2016
  • Despite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successful restoration in landscape level was achieved in the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project,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stored plant communities (Alnus firma as introduced species and Pinus thunbergii as native species) was hardly founded. Light availability, litter and woody debris cover, and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or 500 m2 band-quadrat in three forest types. Abiotic factors of Q. serrata stands, as reference forest, and A. firma stands were similar but not for P. thunbergii stan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ean stem density (stems ha-1, H = 3.6, p = 0.162), and the mean basal area of each stand had marginal significance (m2 ha-1, H = 5.7, p = 0.058) among stands as total basal area was higher with the order of A. firma (21.4 m2 ha-1), P. thunbergii (19.8 m2 ha-1) and Q. serrata (16.2 m2 ha-1). Restor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was more effective in fast-growing and N-fixing A. firma, as introduced species plantation. However, result of MRPP, NMS ordination and ISPAN for herbaceous layer, not for tree and shrub species composition, indicated that restoration of ground vegetation was likely influenced highly from local environment. Propagule availability from landscape context such as connectedness to natural veget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in restored isolated stands are available explanations for restoration effects and gaps between restored plantations and secondary oak forest.

Influence of Spatial Differences in Volcanic Activity on Vegetation Succession and Surface Erosion on the Slope of Sakurajima Volcano,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Nam, Sooyoun;Jang, Su-Jin;Kim, Suk-Woo;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136-146
    • /
    • 2017
  • We selected 6 plots ($100m^2$) located 2.2-3.8 km from Minamidake Crater on the north flank of Sakurajima Volcano. We conducted a field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lcanic activity on vegetation succession and surface erosion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rees growing in plots further from the crater had a greater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total height, and age. In addition, these plots had a greater number of woody plants and species, as well as a greater total cross-sectional area at breast height. The Fisher-Williams index of diversity (${\alpha}$) and the propor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re higher in plots located further from the crater. Vegetation succession in these plots was not at the level of a climax forest. From 1972 to 2015, the timing for active volcano, the depth of volcanic ash layer, the dry density, and the pH of ground surface were lower for plots located further from the crater. Furthermore, the average annual sheet erosion from 1972 to 2015 was also lower for plots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crater. Overall, plots further away from the crater have a better environment for vegetation growth and a lower dry density of the volcanic ash surface layer. It is thought that lower dry density results in increased soil permeability, which impedes surface flow. In order to prevent debris-flow disasters, caused by mud and rock flow resulting from impaired soil penetrability, it is essential to promote soil development and restore penetrability by artificial vegetation restoration.

강원도 삼척 산불피해지역에서 피해목 제거 전과 후의 서식환경 및 설치류 개체군 특성 차이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Rodent Populations Between Before and After Damaged Tree Removals at Forest Fired Areas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 이은재;이우신;이영근;이명보;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113-117
    • /
    • 2008
  • 본 연구는 2000년도에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삼척의 침엽수림 지역에서 피해목 처리 전과 후의 서식환경 및 설치류 개체군 특성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피해목 제거 후 고사목과 수목잔존물의 수는 감소한 반면, 천이 단계의 진행으로 인해 하층 피도량 및 관목의 본수는 증가하였다. 전체 설치류 개체군 밀도, 흰넓적다리붉은쥐 및 대륙밭쥐의 개체군 밀도는 피해목 제거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등줄쥐의 개체군 밀도는 증가하였다. 피해목의 제거로 인한 서식환경의 변화는 설치류의 종 구성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산림성 설치류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 연구 - 한강유역 지류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Streams in Rural Area - The Focus of Han-River Basin -)

  • 강방훈;김남춘;손진관;김미희;조승진;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7권2호
    • /
    • pp.23-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sic planning criteria required in ecologica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works of streams in rural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eam assessment methods (wa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6 study sites of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the evaluation items like a manure use, salt degree, river peripheral tree, which did not fitted to apply to domestic streams, in the SVAP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and NRCS Riparian Assessment that wer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in USDA. The area inhabitants with a little knowledge and education personally seems to utilize the evaluation methods through improvement partly with an aspect that evaluation is slightly easy. 2) From the stream assessment results, the construction of diverse pools, large woody debris and isolated backwater pool are needed to improve a few of problems observed at the mostly study sites. The result of NRCS Ripari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stream bank vegetative communities is needed by planting tree with deep-binding root masses, and managing of noxious weeds and exotic undesirable plants. 3) Summing up,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stream with totally maintenance than that with partly maintenance, the stream with slope bank than that with vertical bank, and the stream with a flood plain than that without a flood plain. So, the direction of stream maintenance projects must be set by consideration of those results.

강원도 산지계류 내 유목의 기원과 현존량 (Origin and Storage of Large Woody Debris in a Third-order Mountain Stream Network, Gangwon-do, Korea)

  • 김석우;전근우;서정일;임영협;남수연;장수진;김용석;이재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9-258
    • /
    • 2020
  • 이 연구는 강원도 산림유역 내 수계(총 11개 계류)를 대상으로 유목의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유목의 발생기원 추적과 함께 하천차수별 현존량과 분포형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림유역관리기술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207개 유목의 개체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 수간만 있는 것 1,142개(95%) 및 수간과 근주가 함께 있는 것 65개(5%), (2) 자연목 1,015개(84%) 및 벌채목 192개(16%), (3) 침엽수 1,050개(87%) 및 활엽수 157개(13%)로 나타났다. 유목의 현존량(㎥/ha)은 1차수 105.4, 2차수 71.3 및 3차수 35.6으로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유목의 총량에 대한 유목군의 비율은 1차수 11%, 2차수 43% 및 3차수 49%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유목의 현존량을 해외의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비록 각 국가·지역별로 기후·지형·산림토양·임분의 구조와 생장량·산림의 교란정도와 관리상태가 다르지만, 유목의 현존량은 임령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목을 산림생태계의 산물이자 산지수변림 교란의 지표로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산림유역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류의 수계환경까지 고려하여 숲가꾸기 산물의 처리나 수변지역의 임분밀도관리 등을 포함한 산림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횡성지역 천연 소나무와 참나무류 순림 및 혼효임분의 탄소 저장량 추정 (Carbon Storage of Natural Pine and Oak Pure and Mixed Forests in Hoengseong, Kangwon)

  • 이수경;손요환;노남진;허수진;윤태경;이아름;;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72-779
    • /
    • 2009
  • 산림 생태계 내 탄소 수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순림 및 이들의 혼효임분에 대한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일대로 임분별로 흉고직경 5 cm 이상 임목에 대한 흉고단면적($m^2/ha$)을 기준으로 소나무:참나무류의 비율이 95:5인 소나무 순림과 0:100인 참나무류 순림, 그리고 20:80-70:30인 혼효림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임분 내 식생, 낙엽층, 고사목의 생체량과 탄소 농도를 분석하고, 0-30 cm 깊이까지의 토양 탄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식생(상층 임목과 하층 식생)의 탄소 저장량은 참나무류 순림에서 147.6 Mg C/ha, 소나무 순림에서 141.4 Mg C/ha, 혼효림에서 115.8 Mg C/ha 등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낙엽층 내 탄소 저장량은 소나무 순림에서 12.7 Mg C/ha, 참나무류 순림에서 9.9 Mg C/ha와 혼효림에서 8.4 Mg C/ha 등이었으며, 고사목 내 탄소 저장량은 혼효림에서 2.2 Mg/ha, 참나무류 순림에서 1.7 Mg/ha 와 소나무 순림에서 1.1 Mg/ha 등으로 낙엽층의 탄소량은 임분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은 임분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지표로부터 30 cm 깊이까지의 토양 탄소 저장량은 소나무 순림에서 44.4 Mg C/ha이고, 혼효림에서 41.6 Mg C/ha과 참나무류 순림에서 33.3 Mg C/ha 등의 분포를 보였으나 임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태계 내 총 탄소 저장량은 소나무 순림에서 199.6 Mg C/ha, 참나무류 순림에서 192.5 Mg C/ha, 혼효림에서 169.1 Mg C/ha 등으로 임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탄소 저장량이 혼효림에서 순림보다 낮은 것은 탄소 저장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생의 탄소 저장량이 혼효림에서 더 낮기 때문이었다. 혼효림의 식생은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종간경쟁으로 참나무류의 직경생장이 둔화되고 임분 밀도가 높아 참나무류 임목간의 경쟁이 심하게 되어 순림보다 낮은 생체량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혼효임분에서 탄소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간벌과 같은 적절한 임분관리를 통한 임분의 종내 및 종간경쟁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벌 강도가 소나무림의 토양, 낙엽층 및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영향 (Thinning Intensity Effects on Carbon Storage of Soil, Forest Floor and Coarse Woody Debris in Pinus densiflora Stands)

  • 고수인;윤태경;김성준;김춘식;이상태;서경원;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30-3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간벌 시행 4년 후, 간벌 강도에 따른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소재의 소나무림 연구지 1과 경기도 광릉 시험림 내 소나무림 연구지 2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8년에 임분 밀도를 기준으로 간벌 강도를 달리한 3개의 처리구를 각 연구지에 설치하였다. 연구지 1은 대조구(0%), T20 처리구(20%), T30 처리구(30%)로 설계하였으며, 연구지 2는 대조구(0%), T39 처리구(39%), T74 처리구(74%)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0-50 cm 깊이의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탄소 저장량을 측정하였다. 연구지 1에서 토양, 낙엽층, 고사목의 총 탄소 저장량은 T30 처리구($109.80t{\cdot}C{\cdot}ha^{-1}$)가 대조구($86.69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구지 2의 총 탄소 저장량은 T74 처리구($97.02t{\cdot}C{\cdot}ha^{-1}$)가 대조구($72.04t{\cdot}C{\cdot}ha^{-1}$)와 T39 처리구($63.25t{\cdot}C{\cdot}ha^{-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지 1과 연구지 2에서 간벌 강도가 가장 강한 처리구의 총 탄소 저장량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벌이 토양, 낙엽층, 고사목 탄소 저장량에 미치는 단기간의 영향을 분석한 것이므로 보다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