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polymer Composit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이 복합체의 충격음 흡수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emical composition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on Impact Noise Damping of Composites)

  • 이현종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55-6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화학조성이 다른 일련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점탄성(또는 화학조성)이 목재/고분자/목재 샌드위치 복합체의 진동·충격음 흡수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합체의 진동·충격음 흡수성능은 고분자의 분자 운동상태에 민감하다. 즉, 복합체의 진동·충격음 흡수성능 고분자가 시험온도에 있어서 유리전이 상태일 때(대략 초산 비닐 55∼75%) 가장 크며, 고분자가 고무상태(초산비닐 47∼20%) 또는 유리상태(초산비닐 100∼87%)일 때는 작다. 또한 유리전이상태의 고분자 적층재는 약 6∼12dB의 충격음 저감효과가 있었다.

  • PDF

폐지 복합재료의 물성 (Properties of Waste Paper Composite)

  • 김철현;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3호
    • /
    • pp.48-52
    • /
    • 2008
  • Waste paper plastic composites were prepared with old newspaper and old corrugated containers and mixed office waste and those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1. The strength properties like as tensile and Young's modulus reveled most high level in MOW composite. 2. The coagulation of fibers in paper particle should interrupt equal dispersion of polymer and paper particle. 3. The micrograph of the surface of composites showed the most high dispersion in ONP composite.

Mechanical and Hygroscopic Behaviour of Teak Wood Sawdust Filled Recycled Polypropylene Composites

  • Yadav, Anil Kumar;Srivastava, Rajeev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5호
    • /
    • pp.202-208
    • /
    • 2018
  • In this paper, mechanical and hygroscopic properties of teak sawdust and recycled polypropylene (RPP) composites a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virgin polypropylene (VPP) matrix based composites. Verities of composites are prepared by variation in the plastic types, wood plastic ratio and the addition of coupling agent in the formulations. Mixing of wood sawdust and polypropylene is done by a twin screw extruder, and then sheets of wood plastic composites (WPCs) are produced by using the compression molding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recycled matrix composites exhibit better tensile, flexural strength with low impact strength than virgin matrix based composites. Recycled composites show low water absorption and thickness of swelling than virgin matrix based composites. The results confirm that wood content in the polymer matrix affects the performance of composites while presence maleated polypropylene (MAPP) improves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significantly. Developed RPP matrix composites are as useful as VPP matrix composites and have the potential to replace the wood and plastics products without any adverse effect of the plastics on the environment.

용융혼합 조건과 첨가제가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lt-blending Condition and Additiv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PP Composites)

  • 안성호;김대수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204-210
    • /
    • 2013
  • 첨가제(윤활제 및 산화방지제)와 용융혼합 조건(온도, 시간 및 로터 속도)이 폴리프로필렌(PP) 기반 WPC(wood polymer composite)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WPC는 용융혼합 후 압축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용융혼합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WPC 용융혼합물의 토크 변화를 측정하였다. 말레산무수물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을 상용화제로, 나노점토를 보강재로 각각 사용하였다. WPC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UTM과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였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WPC의 용융혼합 조건에 따른 변색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특성 분석에 따른 최적용융혼합 조건은 $170^{\circ}C$, 15분, 60 rpm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활제와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WPC의 기계적 특성이 하락함을 확인하였다. 용융혼합 과정에서 목분만을 별도로 나중에 투입하는 이단계 방법이 전형적인 일단계 방법보다 WPC의 기계적 특성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의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 목재자원(木材資源)의 이용개발(利用開發)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복합목재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침투기구-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ajor Wood Resources in Kangwon-do -Permeability system of monomer in wood polymer composites-)

  • 이원용;이성재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13
    • /
    • 1998
  • 주요 침 활엽수재에 대하여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만든 목재-polymer복합체에 대하여 polymer의 분포와 존재상태등을 목재의 조직학적인 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의 침투성은 수종에 따라 다르며 수종고유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낙엽송은 침투성이 대단히 나쁘며 활엽수재에 있어서는 환공재가 산공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2. 횡단면에서 침투성이 가장 양호하며 방사단면과 접선단면에서의 주입은 저하되고 양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 동일 수종에서는 변재가 섬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수종에 따라 변심재간에 침투성이 다른 것은 심재화에 의한 tyloses의 형성 또는 도관중의 침착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4. 환공성 수종에서는 조재부가 만재부보다 polymer의 침투성이 양호 하였으며 산공재에서는 반대로 만재부가 조재부보다 침투성이 양호하였다. 5. 도관의 크기와 침투성과의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관의 직경이외에도 도관의 비율, tyloses의 발달, 내용물의 충진 혹은 천공판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6. 침엽수재 방사조직에 있어서는 방사유세포보다 방사가도관의 침투성이 양호하였으며 활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량체의 방사방향에 미치는 영향은 침엽수재보다 적었다. 7. 비중과 연륜폭은 모두 polymer의 침투성과 거의 관계가 없었다.

  • PDF

나노 케냐프 셀룰로오스가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의 물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 (Nano-Kenaf Cellulose Effects on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

  • 오정석;이성훈;범석훈;김광제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13-617
    • /
    • 2013
  •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를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였을 시, 복합소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천연크기의 케냐프섬유를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로 대체하였을 시, 그 복합소재의 인장강도, 휨강도, 충격강도, 열변형온도가 증가한 반면에, 용융지수, 연신율(%), 충격강도 등이 감소하였다. 이는 나노입자크기의 케냐프섬유가 폴리프로필렌과 접촉하는 표면적의 증가와 섬유표면에 존재하는 휘발성 추출물질 등의 불순물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홍조류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한 바이오복합재료의 특성 (Use and advantage of Red algae fiber as reinforcement of Biocomposite)

  • 이민우;서영범;한성옥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93-102
    • /
    • 2007
  • Biocomposite was organized with biodegradable polymer and natural fiber that has potential to be used as replacement for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with the benefits of low cost, low density, acceptable specific strength, biodegradability, etc. Until now, non-wood fibers have been used as reinforcements of biocomposite which are all plant-based fiber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composite reinforced with red algae fiber. The bleached red algae fiber(BRAF) showed very similar crystallinity to the cellulose. It has high stability against thermal degradation (maximum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359.3$^{\circ}C$) and thermal expansion. Biocomposites reinforced with BRAF have been fabricated by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nd their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have been studied. The storage modulus and the thermomechanical stability of PBS matrix are markedly improved with reinforcing the BRAF.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red algae fiber can be used as an excellent reinforcement of biocomposites as "green-composite" or "eco-composite".

  • PDF

진동.충격음 흡수성능을 지니는 목질계 복합재료의 개발(I) -가소화 폴리염화비닐의 동적점탄성과 진동흡수성능- (Development of Vibraction and Impact Noise Dampling Wood-based Composites(I) -Dynamic Mechanical and Vibration Damping Properties of Plasticized PVC-)

  • 이현종
    • 임산에너지
    • /
    • 제17권1호
    • /
    • pp.36-46
    • /
    • 1998
  • 이 연구는 점탄성 고분자재료를 사용하여 진동·충격음 흡수성능을 지니는 목질계 복합재료의 제조를 목적으로, 가소화 PVC의 동적점탄성 및 고분자 적층 복합체의 진동흡수성능에 미치는 고분자의 점탄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를 사용하여, 20∼140 phr까지 첨가하였다. 고분자의 동적점탄성의 측정은 Rheovibron을 사용하여 110Hzdml 인장진동을 가하여, -100∼150℃까지 매분 1℃를 상승시키면서 측정하였다. PVC와 DOP는 전조성에서 완전상용성이었으며, T(E"max)와 T(tan δmax)는 가소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온 측으로 이동하였다. 고분자 적층 복합체의 진동흡수성능은 Rheovibron을 개조한 양단지지 중심하중에 의한 강제 휨진동법 및 공진법에 하나인 양단자유 휨진동법을 사용하였다. 샌드위치구조 복합체의 진동흡수계수(tanδc)는 고분자의 손실계수(tanδ)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피복체의 진동흡수계수는 고분자의 손실탄성률(E")에 의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샌드위치구조 복합체의 대수감쇠율(Δc)은 tanδc곡선과 유사한 곡선을 나타내었다.

  • PDF

Thermal behavior of Flame Retardant Filled PLA-WF Bio-Composites

  • Choi, Seung-Woo;Lee, Byoung-Ho;Kim, Hyun-Joong;Kim, Hee-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55-163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thermal stability of PLA-WF bio-composites. Wood flour (WF)-filled PLA bio-composites were reinforced with the flame retardants, Melamine pyrophosphate (MPP), resorcinol bis (diphenyl phosphate) (RDP) and zinc borate (ZB). The flame retardant was compounded with PLA and natural biodegradable filler.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and bio-composites reinforced with the flame retardant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DSC, DMA and TG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ame retardant-reinforced biodegradable bio-composite exhibited improved thermal properties.

목분-PP 복합체의 난연성과 기계적 특성 (The Flame Retard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Powder-filled PP Composites)

  • 손원근;황택성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46-5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표면이 개질된 목분으로 강화된 PP수지 복합체의 $(NH_4)_2HPO_4$과 boron 혼합물($Na_2B_4O_7:H_3BO_3=5:1\;ratio$)에 대한 난연특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m-phenylene dimaleimide(PDMI)로 개질된 PP수지와 비개질된 PP수지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NH_4)_2HPO_4$로 개질된 복합체의 난연성은 boron 혼합물로 개질된 복합체의 난연성보다 우수하였다. 복합체의 충격강도는 목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개질된 PP수지 복합체의 기계적 강도는 비개질된 수지의 복합체보다 개선되었다. 또한 난연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점진적으로 증가되었고, 25 wt %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PDMI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목분-PP 복합체의인장강도는 16 wt %까지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