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column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초

결정성(結晶性) Dihydroquerceting의 새로운 분취방법(分取方法) (New Separation Technique of Crystalized Dihydroquercetin)

  • 송홍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72-76
    • /
    • 1991
  • The new preparative separation techneque of dihydroquercetin (2, 3-trans-dihdroxy-3, 3', 4', 5, 7-pentahydroxydihydroflavonol) was investigated by liquid chromatography. Also some typical coniferous wood bark were examined for the sources of dihydroquercetin. The good sources of dihydroquercetin were Douglas-fir[Pseudotsuga menziesii] bark and pitch pine [Pinus rigida] bark. There is no dependance the produced place and species dihyroquercetin which is separat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was taken with white needle-like crystals. This crystals were very stable in the humidity and on the light. It also can stored very long without derivatives.

  • PDF

표고버섯으로부터 분리한 렉틴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ctins Isolated from Lentinula edodes)

  • 김영신;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79-88
    • /
    • 2001
  •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으로부터 0.15 M NaCl 용액에 의하여 crude lectin을 추출하였으며, 황산암모늄에 의한 침전 음이온교환수지 및 hydroxyapatite 컬럼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버섯균산과 균병으로 나누어 추출된 crude lectin의 양에 있어서는 균산부분이 균병부분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lectin을 함유하였으며, 가열한 버섯에서는 lectin의 함량 및 활성은 미처리보다 감소되었다. 건조된 균산 50 g으로부터 얻은 crude lectin은 720 mg으로서 46.03%의 수율로 얻었으며, DEAE Sephadex A-50 column에 의한 분리, 정제 후 정제된 lectin 201 mg을 crude lectin의 28%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Crude lectin을 정제함으로서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histidine등의 아미노산이 증가되었고,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tyrosine 및 methionine 등이 lectin에는 검색되지 않았다. DEAE Sephadex A-50 column의 chromatograpy를 통해 분리 정제한 활성을 지니는 lectin의 주된 부분은 Agglutinating test 결과, fraction A 및 B는 적혈구응집활성을 나타냈으며, 약 23 kDa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었다. 활성을 지니는 부분을 다시 hydroxyapatite column에 의해 정제하여 얻은 LA-a와 LB-b는 각각 24 kDa과 23 kDa의 분자량을 나타냈다.

  • PDF

보강목질적층판이 사용된 집성재 접합부의 모멘트 저항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Moment Resistance of Reinforced Wooden Gusset to Glulam Joint)

  • 이인환;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3-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강성, 고인성의 경량화된 목질접합부를 제작하기 위하여 슬릿 가공된 기둥부재 중앙에 강판 대용인 목질접합물을 삽입하고 기둥부재와 목질접합물만 결합된 시험편들을 제작하였다. 시험편들은 강판을 사용한 대조군 시험편과 모멘트 저항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GFRP보강목질적층판과 핀으로 제작된 시험편들은 강판삽입형 시험편 보다 평균 24% 저하된 최대모멘트가 측정되었으나 양호한 인성이 관찰되었다. 파괴형상은 기둥부재의 연단부분에서 연륜을 따라 파괴되었다. 집성재와 목질적층판을 접착제로 일체화한 강절형 시험편은 대조군 시험편보다 초기강성이 2.8배 향상되었고, 최대모멘트도 평균 40%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강절형 시험편들은 접착층 주위에서 파단되었다.

오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9-85
    • /
    • 2006
  • 오동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5.0 kg을 아세톤-물 (7:3, v/v)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 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phenolic acid 화합물인 caffeic acid와 flavonoid 화합물인 naringenin, kaempferol, apigenin, luteolin 및 quercetin이 단리 되었으며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분획물과 단리 된 화합물들 그리고 조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용성이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caffeic acid, kaempferol luteolin 및 quercetin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Boltzmann법에 의한 목재 흡수시 확산계수 추정 (Estimation of Moisture Diffusivity during Absorption by Boltzmann Transformation Method)

  • 강욱;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09
  • 외장용 기둥재는 년중 사용환경에서 액상수와 직접 접촉할 수가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목재의 섬유방향에서 결합수와 자유수 확산계수를 포함한 수분확산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상온에서 흡수실험을 실시하였다. 흡수성은 느릅나무, 까치박달나무, 헴록, 가문비나무, 라디에타 소나무, 고로쇠나무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Boltzmann 변환법으로 구한 확산계수는 저함수율에서 섬유포화점 부근까지 감소하다가 최대함수율 부근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함수율 변화에 따른 확산계수는 $10^{-10}{\sim}10^{-7}m^2/s$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다.

새로운 수용성(水溶性) 방부방충제(防腐防蟲劑)의 재중(材中) 정착성(定着性)에 관한 계면전기화학적(界面電氣化學的) 특성(特性) (Surface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Fixation Properties of New Water-borne Preservatives in Red Pine)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93-99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fixation of new water-borne preservatives in blocks of pinus densiflora sapwoods the streaming potential through the column with preservative treated wood was measured at various conditions. The rates of leachability of ingredients in the treated wood were estimated by the measurement of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with the leached components. The solution was also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 As a results, the experimental data indicated that the fixation of CCB, CCFZ and ACQ in wood were relatively unstable. The fixation rates of CCB, CCFZ were improved by increasing heat and drying time. The amounts of the leached ingredients were apparently higher in CCB and CCFZ than in CCA, while the rate of leaching of ACQ was not changed at various drying temperature.

  • PDF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of Distylium racemosum

  • Park, Young-Ki;Lee, Wi-Young;Ahn, Jin-Kwon;Lee, Hak-Ju;Chin, Hwi-Seung;Kwon, Young-Ji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59.2-259.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and to identify the compounds and to find out antioxidants from the leaf of Distylium racemosum which belongs to Hamamelidaceae family. To isolate compounds, leaf of this plant were extracted with 50% Acetone and then crude extracts was partitioned with hexane. ether and ethyl acetate (EtOAc) successively. After partitioned, EtOAc fraction was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with various solvent systems in silica gel and/or Sephadex LH-20. (omitted)

  • PDF

집성재 소시험편의 전단강도에 의한 핀접합부의 모멘트 저항성능 예측 (Estimation of Moment Resisting Property for Pin Connection Using Shear Strength of Small Glulam Specimens)

  • 황권환;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58-65
    • /
    • 2008
  • 집성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이용에 있어서는 접합철물(connector)과 파스너(fastener)에 의한 접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접합부의 역학적 거동은 파스너의 지압과 부재의 전단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집성재 내의 층재 구성상태에 따른 전단성능, 2면전단 핀접합부의 인발에 의한 전단성능, 실대 기둥-보 2면전단 핀접합부의 모멘트 저항성능을 검토하였다. 집성접착된 부위의 경우, 두 층재간의 보완작용에 의해 밀도 및 전단강도에 있어서도 적층효과를 발휘하였다. 소시험편의 전단강도를 이용한 핀접합부의 2면전단강도와 모멘트 저항성능을 예측할 경우 다소의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둥-보 접합부의 모멘트저항성능 예측은 소시험편 전단강도의 10%를 저감하여 이용하면 안전하게 예측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물오리나무 수피의 Diarylheptanoid (Diarylheptanoids from Bark of Alnus hirsuta Turcz)

  • 황병호;조재현;이태성;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73-77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물오리나무의 추출성분으로부터 유용한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물오리나무 수피를 70% acetone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분획한 후 ethyl acetate 분획과 수용성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된 column으로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혼합물을 정제하고 두 개의 diarylheptanoid 화합물을 얻었다. 단리된 화합물은 $^1H$, $^{13}C$-NMR 및 2D-NMR 분석을 통하여 1,7-bis-(3,4-dihydroxyphenyl)-heptane-3-one-5-O-${\beta}$-D-xylopyranoside (1, oregonin)와 1,7-bis-(3,4-dihydroxyphenyl)-heptane-5-O-${\beta}$-D-xylopyranoside (2)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두 개의 diarylheptanoid 화합물과 oregonin 가수분해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DPPH)을 측정한 결과 세 화합물 모두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oregonin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IC_{50}$이 2.6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enolic Compounds from Japanese anise (Illicium anisatum L.) Twigs

  • Min, Hee-Jeo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456-462
    • /
    • 2017
  • Japanese anise (Illicium anisatum L.) twigs were collected and ground after drying, then immersed with 50% aqueous acetone for 3 days. After filtration, the extracts were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acetate (EtOAc) and $H_2O$, and then freeze-dried after condensation. A portion of EtOAc soluble fraction (5.7 g)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with various aqueous $MeOH-H_2O$. Compound 2 and compound 3 were isolated from fraction 8 and 5, respectively. Compound 1 and compound 4 were isolated after rechromatography of fraction 7.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lucidated as (+)-catechin (1), taxifolin (2), taxifolin-3-O-${\beta}$-D-(+)-xylopyranose (3) and quercitrin (4) by spectral and literature data, and by comparison with the authentic samples. Of the isolated compounds, taxifolin (2), taxifolin-3-O-${\beta}$-D-(+)-D-xylopyranose (3) and quercitrin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extracts of japanese anise tw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