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men immigrant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4초

중국,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영향요인: 2009년,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비교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hinese and Vietnamese migrant women to have a second child: Comparison between the "National Survey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of 2009 and 2015)

  • 딩징야;진미정;옥선화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5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Chinese and Vietnamese migran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adaptation theory.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09 and 2015. Among the total 7,615 married migrant women (Korean-Chinese, Chinese-Han, Vietnamese), those within the age group 20-39 within the first 5 years of marriage who had one child were selected. 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test, and logit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Different ethnic groups had different reasons for having a second child and the related factors also differed between 2009 and 2015. In 2009, after controlling the related variables, the intention of Korean-Chinese and Chinese-Han married immigrant women to have a second child was higher than that of Vietnamese women, but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in 2015. Participation in their local community, first marriage, the gender of the first child, and whether they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in-law were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migrant women having a second child in the 2009 analysis model but thes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2015 analysis model. In the latter model, the household income, a variable related to economic condi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upports adaptation theory by addressing the similarity in the childbirth intention between recently married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분석: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Analysis of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Youths: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 이형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9-70
    • /
    • 2017
  •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중 만 9~24세 청소년 자녀 6,079명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한 69,720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위험요인인 차별경험, 학교폭력, 우울은 학교적응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보호요인인 부모관계, 자아존중감, 한국어 능력, 국적취득은 학교적응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3개의 위험요인 가운데 우울을 조절하는 보호요인 중에는 자아존중감과 국적취득 변인, 학교폭력을 조절하는 보호요인은 부모관계, 자아존중감, 한국어 능력, 국적취득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우울감소, 학력폭력 대처, 다양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주요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 and Gyeongbuk Area)

  • 성현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2호
    • /
    • pp.219-239
    • /
    • 2011
  •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에 있어서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그리고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다문화가정의 부부 100쌍이었으며 남편 평균 연령은 41.6세, 아내 평균 연령은 29.6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은 주로 베트남과 중국이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아내문화수용의 세 변인은 아내의 문화적응의 네 하위 요인(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주변화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남편의 이들 세 변인 중 아내문화수용만 아내의 결혼만족과 삶의 만족을 각각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아내 문화적응의 네 하위유형 중 주변화는 아내의 결혼 및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통합은 삶의 만족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남편의 성역할고정관념은 아내문화수용 및 다문화감수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내의 문화적응 중 동화는 통합과 약한 정적 상관, 주변화와는 중간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만족 및 삶의 만족은 남편의 이문화 이해를 비롯한 남편관련 변인에 의한 문화적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문제가 아닌 다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임을 인식시켜주었다는 점이다.

  • PDF

국내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초국적 돌봄 연구 (Transnational Care for Left-Behind Famil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epal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 김경학;윤밀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4-528
    • /
    • 2017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네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본국 가족원에 대한 초국적 돌봄의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은 물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지와 지원, 네팔방문과 직접적 돌봄, 가족의 한국 초청을 통한 노동기회 제공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본국 가족에 대한 돌봄을 초국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초국적 돌봄 실천 양상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 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와 네팔 사회 사이에 '끼여 있는 존재'(being in-between)로 인식하는 초국적 시각이 요구된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돌봄은 이주여성의 형제자매 서열에 따른 역할기대, 자녀의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친정가족원의 국내 체류 여부 등에 따라 그 강도와 내용에 차이가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초국적 돌봄, 특히 정서적 지지와 출산 및 육아지원은 '일방적'인 것이 아닌 '돌봄의 호혜적 교환'(reciprocal exchange of care)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PDF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적용한 정책흐름모형의 연구 (A Study on Policy Stream Model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Law)

  • 배선식;정진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3-222
    • /
    • 2016
  • 본 연구는 정책의제형성이 외부집단에 의해 형성된 정책이라기 보다는 정치의 흐름중에서 정부와 여당의 역할이 크게 기여했다는 점과 국내외의 국민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정책이라는 점이다. 특히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정책은 글로벌 시대에 해결해야할 중요한 정책이라는 점과 정부가 추진하는 '결혼이주여성 정책'의 결정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좋은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한국 다문화정책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고, 다문화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진행 단계에서는 다문화담론의 형성과정과 다문화담론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분화과정, 그리고 부문별로 이루어지던 다문화담론의 정책화되는 과정이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 박명숙;이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적응과 자녀양육을 돕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5회기의 단기개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은 주1회씩 5주간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유사실험설계의 비동일 통제집단 연구설계를 하였고,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7명에 대해 사전사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차이 검증에서 양육스트레스, 문화적응, 사회적지지, 제도인식의 평균차이는 없었지만, 집단별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의 평균차이 검증에서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제도인식의 수준의 증가하였고,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아동학대 위험성 및 범죄에 대한 권리보호차원에서 예방적 성격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아동학대예방사업을 시행할 때,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여성과 아동의 권리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

사회복지사와 친밀도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서비스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정보의 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Intimacy with Social Workers on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Quantity of the Welfare Service-related Information)

  • 이오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90-301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와 친밀한 정도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양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서비스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 30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복지사와 친밀한 정도는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회복지사와의 친밀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서비스 정도의 양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 이용의 촉진 방안에 관해 본 조사연구가 가질 수 있는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전혜인;정평강;이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49-1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정서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48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은 어머니의 연령과 가구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자녀들의 전반적 행동특성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수준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녀가 연령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결혼만족도 역시 자녀의 내면화된 문제와 외현화된 문제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김지현 (A Study about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about Immigrant Women among Nursing Students)

  • 김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05-314
    • /
    • 2014
  •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1.79세. 대상자의 68.1%가 외국방문경험이 있었고, 여행기간은 1개월 미만이 80.6%였다. 실습기간 중 외국인 환자를 만난 적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간호대학생들은 66.0%였고 대상자의 90.3%가 다문화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은 4점 만점에 2.90점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3.01점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기간과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 외국 방문 경험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이었다. 이에 다문화 시대에 대비하여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Influencing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 양순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1061-1091
    • /
    • 2014
  • 언어는 문화화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에서 통합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사회적 참여활동 또한 이민자를 포함한 한 개인의 정체성을 신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이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경험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한국 농촌사회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자신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에 한국어 능력 수준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과 같은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려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전국 43개 지역에서 조사된 3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어 능력수준 변인은 결혼이민여성들이 인식한 그들의 공동체의식 수준에 중요하고 의미있게 작용하는 반면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은 그것에 대해 매개적인 효과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능력수준변인은 지역사회활동참여 경험 변인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민여성들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서 지역사회활동이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는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본 연구결과에 토대하여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는 몇가지 방안들이 결론 및 제언부분에 제안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