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microphon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재활 훈련중인 환자를 위한 다채널 무구속 심박동수 모니터링 시스템 (Multi-channel Unconstrained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for Exercising Rehabilitation Patients)

  • 조종만;최정현;박준호;남태우;은종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1-197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lemetry system that can monitor heart rates of multiple rehabilitation patients in real time without constraint. The whole system consists of the multiple patient's side devices (PSDs) and one central monitoring system (CMS). The PSD consists of a microphone, amplifier, filter, microcontroller, and RF (Radio Frequency) modem. In addition, the PSD was designed to be wearable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 CMS consists of an RF modem and general PC and it was designed to monitor heart rates from multiple patients simultaneously. The system warns an alarm signal when a patient's heart rate exceeds the pre-set range for each patient. This system can be useful to monitor the heart rate of exercising rehabilitation patients and control the patients condition and the exercising level.

홈 헬스케어를 위한 무구속 전자청진 모듈의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Electro-stethoscope Module for Home-healthcare)

  • 김동준;이현민;우승진;이주신;이정환;김경섭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4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청진기를 대체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PC에 연결할 경우 청진음의 저장이 가능하여 병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가정에서 청진음을 저장하고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병원에 전송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쉽게 정기적인 검진이 가능한 홈 헬스케어를 위한 무구속 정자청진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잡음, 고이득, 저전력 그리고 저전압 구동의 특징을 갖도록 전자청진기용 증폭기를 설계하였으며, 제작된 전자청진 회로를 이용하여 심음 측정에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는 집음기를 재질, 크기별로 제작하여 테스트 하였다.

  • PDF

히어 캠 임베디드 플랫폼 설계 (HearCAM Embedded Platform Design)

  • 홍선학;조경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9-87
    • /
    • 2014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HearCAM platform with Raspberry PI B+ model which is an open source platform. Raspberry PI B+ model consists of dual step-down (buck) power supply with polarity protection circuit and hot-swap protection, Broadcom SoC BCM2835 running at 700MHz, 512MB RAM solered on top of the Broadcom chip, and PI camera serial connector. In this paper, we used the Google speech recognition engine for recognizing the voic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ed the pattern matching with OpenCV software, and extended the functionality of speech ability with SVOX TTS(Text-to-speech) as the matching result talking to the microphone of users. And therefore we implemented the functions of the HearCAM for identifying the voice and pattern characteristics of target image scanning with PI camera with gathering the temperature sensor data under IoT environment. we implemented the speech recognition, pattern matching, and temperature sensor data logging with Wi-Fi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n we directly designed and made the shape of HearCAM with 3D printing technology.

WPAN용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간 스펙트럼 상호운용을 위한 채널 할당기술에 관한 연구 (Common Spectrum Assignment for low power Devices for Wireless Audio Microphone)

  • 김성권;차재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24-7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소출력 무선 통신기기를 운용함에 있어서,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공유 주파수 대역폭의 산출법을 제시한다. WPAN 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로서는 Digital Cordless Phone (DCP)과 Bluetooth를 비롯하여, RFID와 ZigBee기술을 고려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상기 WPAN 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간의 스펙트럼 운용 측면에 따른 적용 방식을 DCP, RFID, Bluetooth는 FH (Frequency Hopping) 방식으로, ZigBee는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으로 분류한 후 대기행렬 이론에 근거한 스펙트럼 상호운용을 위한 채널할당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기행렬이론 (queuing theory)을 WPAN 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간의 스펙트럼 운용기법에 적용하기 위하여, FH 시스템과 LBT 시스템을 모델링하였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소요대역폭 산출을 수행했다. 채널수 별 user의 통신시도에 따른 throughput을 분석한 결과, throughput 84% 이상의 조건에서 FH 및 LBT 방식을 사용하는 250mW WPAN 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들이 공존하는 공유주파수대역의 적정 채널수는 35개를 가지며, 총 소요대역폭은 각각의 WPAN기반의 디지털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들의 채널수와 채널대역폭의 곱으로 산출이 가능함을 보였다.

청각 장애인용 홈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다채널 다중 스케일 신경망 기반의 사운드 이벤트 검출 (Sound event detection based on multi-channel multi-scale neural networks for home monitoring system used by the hard-of-hearing)

  • 이기용;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0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소리 감지 홈 모니터링을 위해 다채널 다중 스케일 신경망을 사용한 사운드 이벤트 검출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홈 내의 여러 무선 마이크 센서들로부터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두 개의 채널을 선택하고, 그 신호들로부터 도착신호 지연시간, 피치 범위, 그리고 다중 스케일 합성 곱 신경망을 로그멜 스펙트로그램에 적용하여 추출한 특징들을 양방향 게이트 순환 신경망 기반의 분류기에 적용함으로써 사운드 이벤트 검출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검출된 사운드 이벤트 결과는 선택된 채널의 센서 위치와 함께 텍스트로 변환되어 청각 장애인에게 제공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시스템의 사운드 이벤트 검출 방식이 기존 방식보다 우수하며 청각 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사운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음원탐지 및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재용 IoT 디바이스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IoT Device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Sound Source Detection and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 길민식;곽동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53-59
    • /
    • 2020
  • 본 논문은 음원 탐지 및 음원 위치를 추정하는 IoT Devic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 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원 신호의 도달 시간차를 분석하여 음원의 방향을 정확히 검출하고, IoT 센서를 이용하여 음원의 발생방향을 추적할 수 있는 음원 방향 탐지 Device를 이용한 시스템이다. 음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예전부터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지만 현재는 이를 응용하여 방범·방재 분야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의 제작을 통해 옥외에 설치한 후 여러 방향에서 음원 발생시켜 성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음향 탐지 영역 140dB, 반응시간 1초 이내, 방향 각도 분해능 1° 이내로 매우 정확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설계안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보다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용화할 계획에 있다.

TVWS 대역 규정에 관한 분석 및 기술적 고려 (Analysis and Technical Consideration for the Rules on Television White Space)

  • 김영수;조상인;정병장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23-93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인지 무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주파수 공동 사용 기술을 적용하는 대역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TVWS 대역에 관하여 국내 기술 기준을 제정할 경우에 기존 서비스 보호, TVBD의 기술적인 요구 사항 및 TV 대역 DB 구축 관점에서 고려하여야할 기술적인 사항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사항들의 기본 개념은 기존 서비스인 DTV 및 무선 마이크를 절대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외국의 기술 규격을 분석한 결과, 영국의 Ofcom 접근 방법은 매번 채널 및 출력 선정 알고리즘을 계산해야 되므로 TV 대역 DB에 상당한 부하가 걸릴 수 있는 반면에 미국의 FCC 접근 방법은 상대적으로 신속한 채널 목록과 송신 출력을 지정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