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ing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강에서 월동하는 수금류의 서식지로서 중랑천의 중요성 (The Role of Jungrangchun for a Wintering Waterbirds in Hangang)

  • 김미란;이윤경;안지영;김인홍;유정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45-53
    • /
    • 2005
  • 도심 하천은 야생조수에게 물의 공급원이며 서식지로서 도시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조사는 서울의 주요 하천 중 하나인 중랑천에서 월동 수금류의 서식지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개체군 변동에 대한 분석은 1997년 1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수행된 센서스와 1999년부터 2004년까지의 환경부와 국립환경연구원이 실시한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자료를 참고로 하였으며 개체군의 서식지 이용에 대한 조사는 쇠오리의 월동 행동 관찰을 통해 수행되었다 중랑천에서 월동하는 조류는 최소 3,004개체에서 최대 8,237개체로 주로 수면성 오리류였으며 잠수성 오리류도 상당수가 도래하였다. 연간 개체군 변동은 수면성 오리류보다는 잠수성 오리류에서 크게 나타났고 전체 수금류 개체군은 1월말과 2월말에 가장 많은 수가 도래하였다. 시간대별 개체군 변동을 보면 수금류의 개체수는 오후로 갈수록 증가하여 특히 일몰 후에는 한강 본류로부터 유입되는 개체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수금류의 주간 취식지뿐만 아니라 야간취식지로서 중요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잠수성 오리인 비오리와 댕기흰죽지는 낮은 기온과 높은 풍속일 때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날씨에 따라 중랑천을 휴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꽃(Nelumbo nucifera) 확산과 고니류(Cygnus) 월동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 Pattern of Wintering Cygnus and Distribution of Nelumbo nucifera)

  • 홍석환;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8-856
    • /
    • 2016
  • 본 연구는 주남저수지를 대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연꽃군락의 분포와 고니류의 활동범위를 파악하여 연꽃군락의 확산과 고니류 월동지 이용패턴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꽃의 확산 시기와 더불어 전반적인 낙동강 하구 일원의 고니류 개체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연꽃의 확산과 주남저수지 월동개체수의 관련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주남저수지 내 연꽃군락의 분포는 2013년에 비해 2014년도에 수면 대비 비율이 13.2%에서 19%로 확산이 지속되었으며, 고니류 개체는 연꽃군락 내부와 경계부 100m이내와 외부로 구분하였을 때 1차(2013년 12월 17일) 조사는 내부가 외부보다 약 3.1배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으며, 3차(2014년 1월 29일)는 약 5.5배, 4차(2014년 12월 3일)에는 약 7.5배로 모두 연꽃군락 내부 관찰밀도가 매우 높았다. 2014년 1월 12일 2차조사는 탐방객이 집중하는 휴일 조사로 이러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고니류의 먹이활동 가능지역과 연꽃군락의 적정 생육공간이 일반적으로 수심 1m 남짓한 유사지역이라는 데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꽃군락의 증가가 고니류의 개체수 감소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연꽃군락 중가와 함께 고니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최소한 상충관계로 작용하지는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udies on Sprouting and Cold Hardiness of Mulberry (Morus)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 Park, Young-Cheol;Kim, Jong-Gill;Park, Ji-Young;Kim, Won-Tae;Kim, Keun-Young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43-4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routing and cold hardiness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in 7-year-old mulberry(Morus) three varieties of Kaeryangppong, Shinilppong and Yongcheonppong. The killing points of the mulberry twigs were investigated using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omitted)

  • PDF

Factors Affecting the Wintering Habitat of Major Fishery Resources in Southwestern Korean Waters

  • Kim, Jin-Yeong;Choi, Il-Su;Kim, Joo-Il;Choi, Seok-Gwan;Chun, Young-Yull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41-48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effects on the major fish species in the wintering grounds based on trawl surveys and oceanographic observation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during March-early April in 2002-2003. The influence area of warm Kuroshio water was limited to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in 2003 with a range of $7.7-16.3^{\circ}C$, 32.54-34.70 of salinity, wider than that of 2002. The number of fish species and density of major fish species in 2003 were higher than in 2002. Geographical estimation showed high proportions of species number and catches in the areas around Jeju Islands, southwestern waters and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Five species; silver pomfret (Pam pus echinogaster),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were most abundant, composing above 60% of the total catch in 2002 and 2003. More than 50% of catch in the major fish species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range of $9.5-11.0^{\circ}C$ of temperature and 33.1-33.9 of salinity. Non-parametric estimation for the major species showed the 1st mode around $10^{\circ}C$ and the 2nd mode at $8-9^{\circ}C$ in 2002 and $11-14^{\circ}C$ in 2003. Among major fish species, hairtail was principally composed of juveniles, and larger individuals were caught in southeastern water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the area-based fishery management strategy for the wintering grounds of the Yellow Sea and coastal waters of Korea.

대추나무 미친병에 관한 연구 IV 동기저온과 병징발현과의 관계 (Witches' broom of jujube tree(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Rehd.) IV Effect of low temperature in winter upon the appearance of symptom)

  • 김종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7-10
    • /
    • 1965
  • In an experiment to evaluate the various aspects of symptom of witches' broom of jujube tree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cions, taken from diseased plant and stem- grafted upon sound stocks-one cut before wintering(stored in cellar), the other after wintering, it was observed that the disease rate of those cut before wintering(Nov.) was $\98\%$ whereas those cut after wintering(March) showed much lower rate, $3\%$ initially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39\%$. In another experiment of diseased bud grafted into healthy seedling, the finding made in the following year was that 14 stocks(only one of which salt union by callusing) were infected out of the given 23- in the initial stage only 4, yet gradually increased to the number of 14. The shoots from the ground portion of the diseased stock were in general more quickly subjected to the disease than the others. Under natural condition, the diseased trees develop at first seemingly the same leaves as healthy ones; it is not until the branches and loaves grow to a considerable degree that the symptom appears. Once appearing, tile disease grows and the symptom continues to appear as late as in Sept. and early Oct., causing tile plant to develop the extraordinary branches and leaves of extremely reduced size, the typical symptom of witches' broom. Such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the experiments of the foregoing paragraphs. And the suckers and roots of diseased plant are bound to be infected, it was found out with no exception. Viewing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s and observ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low temperature during winter causes the virus in the above-ground portion of diseased plant to diminish or inactivated, and subsequently the virus in the roots moves up or multiply in the sprouting season.

  • PDF

비침습적 분변 샘플을 이용한 우리나라 월동 기러기류의 유전분석 (Use of Genetic Techniques to Analyze Wintering Population of Geese in Korea with Noninvasive Feces Samples)

  • 김민경;원용진;이상돈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264-269
    • /
    • 2008
  • 본 연구는 비침습적 분변 샘플을 이용하여 기러기류의 유전분석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분변을 이용한 연구의 실험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2007년 한국에서 월동하는 겨울 기러기류의 분변을 서로 다른 두 집단에서 채집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32개 분변 샘플이 분자유전학적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총 14개의 haplotype이 나타났으며, 이는 쇠기러기 (Anser albifrons)와 큰기러기(Anser fabalis)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분변을 이용한 연구는 야생에 서식하고 있는 종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는 방법으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변 샘플을 이용한 분자유전학적 실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방법이 찾아졌으며, 또한 이 결과는 비침습적 분변 샘플을 이용한 우리나라 월동 기러기류의 첫 번째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한국에 월동하는 독수리의 비행 행동 특성 분석 (Flight behavior of cinereous vultures (Aegypius monachus) in the wintering season in Korea)

  • 강태한;이상보;이한수;백운기;유재평;진선덕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79-584
    • /
    • 2019
  • 독수리 11개체에 GPS를 부착하여 비행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에 월동기간은 평균 131일(SD=17.4)이었고, 평균 비상 비율은 19.6%이었다. 비행고도는 100 m 이하가 21.6%이었으며, 101~200 m는 25.3%, 201~300 m는 19.0%로, 300 m 이하가 65.9%이었다. 시간대별 비상률과 고도는 양의 상관관계(r=0.929)를 보였고, 월별 비행고도 비율은 대부분 101~200 m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p<0.05). 월동기 독수리는 비행비율을 낮추고 300 m 이하 고도에서 비행하였다. 독수리의 넓은 행동권, 높은 비행비율, 높은 고도 비행특성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먹이를 찾는 효율적인 비행방법으로 판단된다.

강원도에 집단 도래하는 천연기념물 겨울철새의 생태조사 및 질병발생 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ecological investigation and disease occuring possibility natural monument wintering-birds in Gangwon-do)

  • 김종택;김현철;박인철;정기수;장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5-457
    • /
    • 2007
  • This report studied the individual number, their favorite habitat, and change pattern of family and group number in Cheolwon Basin, starting in the early Oct. 2004 until late March. 2005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features of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The Cranes arrived Cheolwon Basin in mid-October until next mid-March, and passed the winter in mid-November until next late-February The most visiting number amounted to 550 individuals and, that period was the most frosting mid-January to mid-February. The White-naped Crane visited Cheolwon Basin in autumn, the early winter and spring. Approximately, the wintering-number is 550 individuals, also, the mid-March was the peak-period of arrival and, the number amounted to 2,162 individuals. The cranes chose the farming area around mountains as their wintering habitat and were less likely to choose the farming area around lake as habitat.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showed the different periodical pattern in familial and group numbers. In case of the crane, the familial pattern was stable, but varied in grouping number, and this pattern was similar to the variation of overall individual number. And, also, the most grouping number was shown in the most freezing period of wintering period. The White-naped Crane showed the similar pattern of the Red-crowned Crane that is, stable family number and varying group number, this pattern affected the total number of entire individuals. Grouping number increased in migration period. Parasite infection rate is G japonensis 35.0%, G vipio 38.7%.

야생동물위치추적기를 이용한 동아시아 저어새(Platalea minor)의 가을 이동경로 (Autumn Migration of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Tracked by Wild-Tracker in East Asia)

  • 정상민;강정훈;김인규;이한수;이시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8-485
    • /
    • 2018
  • 저어새(Platalea minor)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발표한 RedList에 Endangered(EN)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6년 기준으로 3,356개체가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저어새 번식 개체군의 70% 이상은 한국 서해안에서 번식하며, 대만, 중국, 홍콩 등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저어새의 장거리 이동과 남하 시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이용하여 저어새의 이동 경로와 분포, 중간기착지 및 월동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위치추적기는 2014년 6월 말 한국의 번식지에서 저어새 유조를 포획하여 부착했다. 추적 결과, 저어새의 남하시기는 10월 말에서 11월 초로 나타났으며, 월동지까지의 이동 거리는 최소 746km, 최대 1,820 km로 평균 1,201 km이었다. 하루 최대 이동 거리는 1,479 km이었으며, 평균 782 km이었다. 월동지까지 이동소요 기간은 평균 10일이었으며, 가장 짧은 기간은 2일이었고 가장 긴 기간은 34일이었다. 대부분의 개체들은 2~3개의 중간기착지를 이용하였으며, 1~2일을 머물렀으며, 주요 중간기착지는 강, 하천, 저수지, 갯벌과 같은 습지였다. 월동지는 중국 해안 지역(5개체), 중국 내륙 지역(1개체), 대만(3개체), 일본(1개체)등 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어새의 이동경로 상에 있는 국가 간의 협의와 보호정책을 통해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중간기착지 및 월동지역을 보전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보전대책 및 활동계획 등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Fertilizer and Straw Mulching on Winter Discoloration and Spring Regrowth of Lawn Grasses

  • Lee, Jin-Wook;Lee, Ho-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4-138
    • /
    • 2001
  • This experiment evaluates wintering ability to maintain green color of lawn grasses during winter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op dressing of fertilizer on improving green color during regrowth. Kentucky blue-grass could maintain green color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better than tall fescue and creeping bentgrass in winter. All three grasses in this experiment have shown the excellent wintering ability. In enhancing the recovery of green color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 the mulching effect with rice straw was highly significant for creeping bentgrass. Green color recovery in grasses during its regrowth was better at the top dressing plots than at the plots without top dressing, but wh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were increased, green color in lawn gras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lthough green color in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and Korean lawngrass could be maintained during summer, the green color of creeping bentgrass is reduced significantly with high temperature. Top dressing after winter and mowing improved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green color in tail fescue and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However, Korean lawngrass did not respon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levels of fertil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