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cabbag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개량머루의 고랭지 적응성과 토양보전 효과 (Adaptability of Improved Wild Vine in Slopled Highland and It's Effect of Soil Conservation)

  • 이계준;이정태;윤영남;진용익;박철수;장용선;주진호;황선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9-424
    • /
    • 2008
  • 고랭지 경사밭에서 개량머루의 도입 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단위 개량머루 재배지의 실태를 조사하였고 토양보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량머루 재배방법별 배추재배지 토양과 비교 검토하였다. 개량머루 주산지는 대부분 해발 230~540 m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강수량은 1,200~1,700mm이었다. 최저기온은 $-19.6{\sim}-25.4^{\circ}C$이었다. 토성은 사양토~식양토가 대부분으로 토양의 유기물 및 질소함량은 일반 밭토양에 비하여 높은 편이었다. 개량머루의 적응성은 해발 600 m 이상에서도 월동이 가능하여 고랭지채소 대체작물로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량머루 재배방법에 따른 토양유실량은 연간 ha당 청경재배 25.MT, 부분초생 4.1MT, 초생피복 1.8MT으로 고랭지 채소재배지의 평균 토양유실량 $30{\sim}80MT\;ha^{-1}\;year^{-1}$에 비하여 훨씬 적었으며, 부분초생 및 초생피복을 동반한 개량머류의 재배법은 고랭지에서 토양유실량 및 양분유출량 경감효과가 매우 커서 개량머루는 고랭지 농가소득 향상 및 경사밭의 환경오염 부하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유통 채소류의 질산염 함량변이 (Variation of Nitrate Content on Distributed Vegetables in Korea)

  • 이주영;박양호;장병춘;김석철;김필주;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31-238
    • /
    • 2005
  • 1. 국내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중 소비량이 많고 신선 채소로 이용되고 있는 시금치, 상추, 배추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각각 $403\~6,935$ (평균 3,088), $31\~5,391$ (평균 2,412), $310\~6,374$ (평균 3,017)mg/kg으로 각 시료에 따라 다양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2. 근채류와 과채류 중 질산염함량은 엽채류에 비해 상당히 낮았고, 최근 소비량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 특수채소류의 평균 질산염함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조사된 14종의 특수채소 중 청경채와 취나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채소류는 평균 3,000mg/kg의 낮은 질산염 분포를 보였다. 3. 신선 채소 중 질산염함량은 지역간에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시료가 동절기에 비해 높은 질산염함량 분포를 보였다. 4. 가공채소 중 단무지와 배추김치, 열무김치 즙액중의 평균 질산염 함량은 각각 평균 346, 1,471, 3,240mg/kg이었고, 국물 중 질산염 함량은 각각 340, 979, 1,383mg/g이었으며, 지역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신선 채소류 중 질산염이 가공과정을 통해 다량 저감되었으며, 가공 채소류의 질산염함량이 신선 채소류의 질산 염함량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시근교지역(都市近郊地域)의 채소(菜蔬)에 대(對)한 중금속(重金屬) 오염(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엽근채류(葉根菜類)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미치는 재배시기(栽培時機), 매립후(埋立後) 경작연도(耕作年度)의 영향 (Studies on the Pollution of Heavy Metal in Vegetable Crops Grown in Suburban Areas;Part I. Influence of Planting Time and Age of Reclaimed Fields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Leafy and Root Vegetable Crops)

  • 박권우;황선구;김영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7
    • /
    • 1983
  • 도시근교(都市近郊)의 중김속오양(重金屬汚梁)의 실태(實態)를 조사(調査)하고져 일차적으로 엽근채류(葉根菜類)인 상치, 쑥갓, 잎파, 배추, 무(4개품종(個品種))를 선정하여 식물(植物)의 부위(部位), 재배시기(栽培時期) 그리고 매립후(埋立後)의 경작년도(耕作年度)에 따라 중김속(重金屬)(Zn, Cu, Pb, Cd)의 함양(含量)을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무우와 잎파는 뿌리에 높은 함량을 보이는 반면, 배추와 쑥갓에서는 잎에 중김속함량(重金屬含量)이 높았다. 2) 상치의 경우 겨울에 중김속함량이 가장 높았고 봄과 가을간(間)에는 차리(差異)가 없었다. 무우(잎)와 시금치는 봄과 가을만 조사(調査)했는데 이들 상호간(相互間)에는 함량(含量)의 차리(差異)가 없었다. 3) 매립후(埋立後) 1,3,5년된 땅에서 상치를 재배(栽培)하여 중김속(重金屬)의 함량(含量)을 비교(比較)한 결과 차리(差異)를 발견(發見)치 못했다. 4) 조사(調査)된 중김속(重金屬)의 합량(合量)은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았다.

  • PDF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영양성분 변화 : 수분, 단백질, 지방, 아스코르브산, 베타-캐로틴 함량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 김미정;김주현;오현경;장문정;김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23-4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한국인이 주로 많이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 계절 간 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4 계절에 모두 구입 가능하면서 섭취빈도가 높은 과일 4종, 채소 17종 총 21종을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구입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식품재료는 가식 부위만을 손질하여 약 30-60 g을 택하여 $-50^{\circ}C$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24시간 후 동결건조 시켜 분말로 만든 다음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영양소는 채소나 과일이 함유하고 있는 주요 영양성분으로 비타민 중 비타민 C와 베타 캐로틴(${\beta}-carotene$)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지방과 단백질 함량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한 4종의 과일은 대개 84-89%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채소는 과일보다는 더 많은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한 채소 중에서는 오이가 가장 수분 함유율이 높았다. 과일 중에 사과 및 배의 경우에는 봄, 여름에 가을, 겨울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귤과 딸기는 계절별 수분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채소 중에서는 양파의 경우 여름 겨울에 봄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었으며, 시금치는 여름에 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순서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2. 식품별 단백질 함량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식품에서는 2% 미만이었는데, 과일은 1% 미만이었으며 채소에서는 시금치, 꽃상추, 상추, 냉이, 콩나물, 깻잎, 양송이가 1%를 넘었다. 가을철 과일인 사과, 배, 귤의 경우 봄철에 가장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는 겨울철에 당근은 가을철에 단백질 함량이 많았고, 깻잎은 여름과 겨울에 많았고, 상추는 봄과 겨울에 단백질 함량이 더 많았다. 3. 지방 함량을 보면, 과일의 경우 귤이 사과나 배보다는 지방이 많았으며 채소에서는 콩나물이 1%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에서 오이, 시금치, 깻잎, 풋고추, 브로콜리, 양송이는 겨울철에 더 많은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비타민의 경우, 귤은 사과나 배보다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의 사과, 배, 귤에는 봄이나 여름보다는 다량의 아스코르빈산과 ${\beta}-caroten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는 과일보다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을이나 겨울철의 배추나 무에는 봄과 여름철에 비해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채소의 경우에는 배추와 무만큼의 뚜렷한 계절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채소 중에서는 시금치, 당근, 냉이, 깻잎, 미나리, 브로콜리가 다량의 ${\beta}-carotene$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깻잎과 당근의 함유량이 많았다. 호박, 시금치, 풋고추와 같은 채소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에 ${\beta}-carotene$ 함유량이 많으나 식품에 따라 계절별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일과 채소의 경우에 제철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주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의 함량이 더 많으며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식재료라 할 수 있는 배추와 무의 경우에 가을과 겨울에 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함유하므로 경제적으로 가격도 싼 제철에 과일과 채소를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된다.

득량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기원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in Surface Sediments and Its Origin in Deukryang Bay, Korea)

  • 윤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35-744
    • /
    • 2003
  • The field observations on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organic matter and its origin in the surface sediment were carried out at 35 stations in Deukr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from May 1995 to February 1996. The analytical parameters were mud temperature, ignition loss(IL), chemical oxygen demand(COD), pheopigment, sulfide and water content. The origin and seasonal dynamics of organic matter in Deukryang Bay were analyzed by COD/IL, COD/sulfide ratio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s a results of the mud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2.1$^{\circ}C$ with the lowest mean 4.6$^{\circ}C$ in winter and 27.6$^{\circ}C$ with the highest mean 25.5$^{\circ}C$ in summer. The range of ignition loss(IL) was from 3.1% in autumn to 21.5% in winter. Chemical oxygen demand(COD)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of 8.45 mg/g dry in spring within the range of 2.90∼18.21 mg/g dry, while it showed the lowest value of 4.33 mg/g dry in autumn within the range of 0.67∼10.37 mg/g dry. Pheopigments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of 9.04 $\mu\textrm{g}$/g dry in autumn within the range of 1.36∼20.44 $\mu\textrm{g}$/g dry, while it did the lowest mean value of 2.20 $\mu\textrm{g}$/g dry in summer within the range of 0.33∼11.36 $\mu\textrm{g}$/g dry. The range of total sulfide (H$_2$S) was from no detect(ND) to 3.30 mg/g dry in spring. And water content showed the annual mean value of 43.6% within the range of 23.6∼54.9%. The source of organic matter by COD/IL and COD/sulfide ratio in Deukryang Bay had been producted by primary producer in sea water areas except the areas effected by small stream, domestic and animal wastes. And the analytical results of PCA was able to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regions. The former was characterized by the shallow depth and authigenic organic matter from phytoplankton in northwest area and northeastern inner bay, the secondary was done by deeper depth and allochthonous one from lands in southeast area and eastern entrance of bay, and the latter was done by authigenic one from the farm of seaweeds such as, sea cabbage, sea mustard etc in western entrance of bay. Bu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lfide and COD concentration in the northeastern inner bay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water stagnation will to take much more studying including major constituents of organic matter in the future.

농촌거주 외짝가족의 식생활관리 -부부가족과의 비교- (The Odd Pair Family's Dietary management in rural, Korea - Comparison with the Pair Family -)

  • 이승교;원향례;정금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9-103
    • /
    • 2005
  • Recently the rural Korea has been remarkedly changed of family and social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 lower economic class made by social economic growth is widespread with increasing aged, specially odd pair family in r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help and keep improve health of rural lower economic class, family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etary management, between pair and odd pair family, and to get the data helpful the right guidance for rural. The subjects 1870 collected in 9 provinces by sampling with 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PPS). Questionnaire about dietary habit, food cultivation, production and preservation surv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s of odd pair families, head of household was female(77%), over 65 years(84.9%), small family(1.76 persons) and lower education(male 7.5 years, female 3.1 years) status. 2) As the states of diets of odd pair family, having breakfast(87.1 %) but one or two kinds of side dishes(31.3 %) only possible to guess lower status of food intake balance. Nutritional supplements(21. 7 %) was lower than that of paired family. 3) The aspects of dietary habit of odd pair family, no instant foods(70.7%), no snack(38.4%) no dine out(69.2%) were common. 4) Dietary habit scores were 7.78 points of odd pair family compared 8.34 points of paired family. 5) Food purchase place of odd pair family was market(44.2%) but super-market(42.7%) of paired family. 6)In odd pair family, seldom traditional dish preparation(62.0%) but prepared winter kimchi(81.9%), comparing seldom traditional dish(38.6%) and winter kimchi(96.4%) in paired family. 7)The food cultivation state was surveyed, pepper( 42.2 %) and chinese cabbage( 43.9 %) were consumed after cultivation, but sesame(59.4%), bean sprout(90.2%), tofu(92.8%) and egg(93.3%) were consumed by purchase in odd pair family.8) Food cultivation score of odd pair family was 2.98/12points significantly lower than 4.50/12 points of paired family(p<0.01). 9) At the status of fermentation food production in odd pair family, Duenjang(72.1 %) and Gochujang(69.7%) Kanjang(68.3%) Kimchi(82.1 %) and Meju(68.3%) were high rate of production, but more frequently producted in pair family. 10) The score of fermentation food production of odd pair family was 8.57/12points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10.24/12 points of pair family(p<0.0001). 11) Food preservation score 0.48/6 points in odd pair fami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of pair family(1.07/6points).

  • PDF

배추 저장동안 비타민 U, 아미노산, 유리당 함량 변화 (Changes in Vitamin U, Amino acid and Sugar Levels in Chinese Cabbages during Storage)

  • 홍은영;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89-5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추를 품종별, 부위별, 저장기간 동안의 vitamin U, amino acid 및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경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Vitamin U의 함량은 배추의 품종과 부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풍 배추(Winter Pride)의 겉잎(outward leaf)에서 12.70 mg/100 g, 55일 배추(55 Days)의 속잎(core leaf)에서 18.60 mg/100 g으로 vitamin U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품종별 함량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위별 함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두 품종 모두 배추의 leaf부위가 midrib 부위에 비하여 1.7-9.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circ}C$ 저장 동안의 vitamin U 함량은 두 품종 모두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동안의 vitamin U의 전구체인 methionine 함량을 조사하여 본 결과 아주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배추가 성숙하는 동안 methionine이 vitamin U 전구물질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그러나, $4^{\circ}C$ 저장 동안의 vitamin U과 methionine의 함량에 대한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며 유리 amino acid와 유리당 함량과의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전주 수원백씨인재공파 종가 학인당의 '모심상' 상품화 연구 (Development of Mosim Dining Table's Menu for Head House of Suwon Baek Clan and Injaegong Group in Jeonju)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77-48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commercialization model for theindustrialization of head family food as a gentry families' complex food culture product. We tried to develop a head family food and propose a city sightseeing style's head family product by interviews with 'Hakindang' as the center, the head house of the Suwon Baek clan, and Injaegong group in Jeonjoo. Hakindang (in Jeonju) was confirmed as an improved model Korean-style hous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twentieth style modern head family as emerging capitalist. Hakindangsupported independence war fund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was widely known as gate of filial piety in Jeonju. Representative seasonal foods of Hakindang include pan-fried sweet rice cake with flower petals in the spring, hot spicy meat stew and polypus variabilis in summer, hanchae in autumn, and napa cabbage kimchi with salted flatfish seafood in the winter. When parents-in-law had a birthday, there were party noodles, sliced abalone stuffed with pine nuts, brass chafing dish, fish eggs, slices of blilde meat, and matnaji. Daily, there were mainly salted seafood, slices of raw fish, grilled short rib patties, braised fish, baked fish, syruped chestnut, grilled deodeok root, bean sprouts, radish preserved with salt, dongchimi, soy sauce-marinated horseshoe crab, butterbur, perilla seed stew, salted clams, raw bamboo shoot, agar, fried kelp, etc. The most basic virtue of the head family is filial duty, and they developed mosim dining as a representative food of Hakingdang's head family. The mosim menu is composed of 65% carbohydrates, 20% protein, and 15% fat because it is table for parents-in-law like more than 75 years ol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a chewy texture that is easily swallowed.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온도 및 계절요인에 따른 포장 김치의 기체조성 변화 (Gas Composition within Kimchi Package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Seasonal Factor)

  • 홍석인;이명기;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26-1330
    • /
    • 2000
  • 김치발효중 기체조성변화가 숙성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배추김치를 플라스틱 용기에 일정량 충진하여 밀봉한 후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김치발효중 포장내 기체조성은 $CO_2$ 발생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였다. 김치 발효온도와는 무관하게 $O_2$ 농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고 $CO_2$ 농도는 매우 특징적인 2단계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CO_2$ 농도는 2차 단계에서 다시 증가함에 따라 김치의 pH는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온도와 계절별 원료 배추에 따라 김치 포장내 $CO_2$ 농도변화 속도가 다르며 최종 농도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고온에서 발효된 김치일수록 포장내 $CO_2$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여름배추 보다 겨울이나 봄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포장내 $CO_2$ 농도 및 발생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장내 기체조성 변화를 이용한 김치의 숙성도 감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