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barley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초

Phytotoxic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arley Seedling Extracts

  • Chon Sang-Uk;Kim Young-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2-328
    • /
    • 2006
  • A ser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 and root parts in spring- and winter-barley plants were assayed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y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methanol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a Petri-dish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seedlings. Leaf extracts at 25 and 50 g $L^{-1}$ inhibited root growth of Chinese milkvetch seedlings more than root extracts. No difference in phytotoxic effects of spring- and winter-barley seedlings extracts on root growth of Chinese milkvetch was observed. Methanol extrac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the methanol extracts from winter-barley seedlings than in those from spring-barley seedlings, and from leaf extracts than from root extract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individual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spring-barley seedlings was in order of n-butanol>ethyl acetate>water>chloroform>n-hexane fraction. By means of HPLC analysis, spring-barley (200.62 mg $100g^{-1}$) had more amount of total phenol acid than winter-barley (114.08 mg $100g^{-1}$). Especially, ferulic acid was detected in spring-barley extract (183.46 mg $100g^{-1}$) as the greatest amou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seedlings of barley plants had potent allelopathy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ly exhibited depending on plant parts and growing condition.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Analysis of Meteorological Variation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in Korea)

  • 심교문;이정택;윤성호;황규홍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5-102
    • /
    • 2000
  • 근래의 '춥지 않은 겨울'현상의 연속출현으로 가을 보리의 재배지역의 북상에 따른 재배면적 확대를 논의 할 만하다. 최근('74∼'98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10∼5월)의 기상변화를 살펴보고 '87년을 기준으로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13년('87∼'99년) 그전 13년('74∼'86년)의 가을보리 재배기간의 기상을 평년('61∼'90년)기상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근 25년 동안 가을보리재배기간의 평균기온은 1.02℃ 증가하였으며, 평균기온의 상승은 최저기온보다 최고기온의 상승이 더 크게 기여하였다. 2. 가을보리재배기간의 연도별 강수량은 최근 25년 동안 전국평균이 513.3 ㎜ 이었으며.'74년 이후 감소하다가 '92년 이후로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일조시간은 농촌지역만 조금 적어지는 경향이고 다른 지역들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춥지 않은 겨울' 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특히 1∼2월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에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 보리재배기간의 강수량은 평년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4월의 강수량이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26㎜정도 적었다. 반면에 일조시간은 전반적으로 평년보다 적었다 그러나,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강수량과 일조시간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였다. 5.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선의 기준이 되는 월동기(1∼2월)의 기온상승으로 가을보리안전재배의 북상이 전망된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Korean Winter Forage Crops in Uzbekistan

  • Park, Seung Min;Shin, Dong-Hyun;Kim, Ki-Yong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8-164
    • /
    • 2019
  • We examined the adaptability of Korean winter forage crops such as Italian ryegrass, barley, oat, and triticale in Uzbekistan. The overall growth before wintering was slightly different between Uzbekistani and Korean varie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inter forage crops. The heading date of the Korean triticale 'Shinyoung' was the earliest, (April 4), and the heading date of the Uzbekistani triticale 'Frack cerebristy' was quite late, (April 25). The heading date of the Korean Italian ryegrass 'Kowinearly' was four days earlier than that of 'Kowinmaster,' on April 13, and that of the Korean barley 'Youngyang' and 'Yuyeon' were five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Uzbekistani barley 'Bolgaly'. The maximum dry matter yield of winter forage crop was from Uzbekistan triticale, 'Frack cerebristy', which was 13,536 kg/ha. The dry matter yield of Uzbekistan barley was 8,222 kg/ha. Compared with Uzbekistan barley, 'Bolgaly', yields of Korean barley 'Youngyang' and 'Yuyeon', Korean oat 'Samhan', and Korean Italian ryegrass 'Kowinearly' and 'Kowinmaster' were 59~64%, 125%, and 113~133%, respectively.

파성이 다른 보리의 월동전 예취회수에 따른 청예 및 종실 겸용 재배에 관한 연구 (Practice in Dual-purpose Barley for Forage and Grain with Early-sown Barley having Different Winter Habits)

  • 김대호;김은석;김수경;손길만;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95-500
    • /
    • 2003
  • 남부지방 벼-맥류 이모작 작부체계에서 단기성 벼를 수확한 후 맥류를 조기 파종하여 월동전에 예취하여 겨울동안 신선한 청예사료로 활용하고 다음 해에 종실을 수확하여 사용하는 재배법을 확립하여 맥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료작물 자급도 향상을 꾀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장은 모든 품종이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길었으며, 조기 파종맥류를 월동전 예취했을 때 관행 적파에 비해 간장단축은 없었다. 2. 단위면적당 수수는, 예취처리가 관행 적파보다는 감소되었으나, 2회 예취에서 1회 예취보다 많은 수수를 확보하여 수량구성에 기여하였다. 3.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청예수량은, 예취 횟수별로는 12월 10일에 1회 예취하는 것이 청예수량도 많았고 효율적이었으며, 파성이 IV인 큰알보리와 II인 새장보리가 높은 청예수량을 보였다. 4. 보리 품종별 예취에 따른 TDN수량은 보리에서는 대백보리와 큰알보리가, 그리고, 2회 예취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출수 및 성숙기는 관행 적파에 비하여 지연되지 않았으며,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1-2일 빨랐다. 6. 종실수량은 월동전 예취시 관행 적파에 비하여 다소 감수되거나 비슷하였으며, 예취 횟수별로는 2회 예취시에 1회 예취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그리고, 청예$.$종실 겸용 보리는 파성이 II-III인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Improvement of Field Screening for Winter Hardiness of Barley

  • Park Dong-Soo;Ko Jong-Min;Kim Hyun-Tae;Yang Sae-Jun;Kim Soon-Chul;Sohn Jae-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6-280
    • /
    • 2005
  • Low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severe abiotic stress factors limiting growth, pro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winter cereals. Reliable field screening method, which can detect small differences in winter survival,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plants to identity superior cold tolerant winter cereal genotyp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improved screening method of winter hardiness in the field 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evaluating winter hardiness of barley (Hordeum vulgare L.). We introduced furrow in field screening of winter survival. By sowing the plants at the ridge and base, we could minimize the effect of topographic variation in a field by giving higher and lower level of stress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could be used by breeders to conduct accurate evaluation of winter hardiness by selecting the better treatment, which shows close to normal distribution, among the winter survival rate from the ridge, base and mean survival rate of the two in a screening field.

작부형태가 보리의 토양전염성 Bymovirus 발생과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ping System on Disease Incidence by Soil-borne Bymovirus in Barley and on Density of the Vector, Polymyxa graminis)

  • 박종철;노태환;김미정;이상복;박철수;강천식;이정준;김태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보리바이러스 발생 상습 논에서 관행(벼+보리)과 콩+보리의 작부체계가 보리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5개년간 조사하였고, 윤작과 바이러스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를 검정하였다. 보리 감염 바이러스 종류를 검정한 결과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와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가 혼합감염 되어 나타났다. 발병정도는 관행에서는 4년차를 제외하고는 7~9로 조사되었다. 반면 콩+보리 연작이나 3년 동안 휴경한 경우는 발병정도가 7정도로 관행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콩+벼 작부체계 중에서 보리를 1년 또는 2년(1년/2년) 휴경하면서 콩을 재배한 경우 발병정도가 중 정도(5)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작부형태에 따른 BaYMV와 BaMMV의 매개균인 P. graminis의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매개균의 밀도가 가장 낮아졌다. 콩을 재배하면서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경수는 158개/$m^2$ 많아 생육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콩과 보리를 연작하거나 3년간 보리와 콩을 재배하지 않고 휴경한 경우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이나 경수 등 생육이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수확기에 간장 등 수량 구성요소가 관행에 비해 보리+콩의 윤작처리에서 좋은 경향을 보여 콩과의 윤작 처리가 수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은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 관행과 보리+콩 연작 처리에 비해 1.3~2.8 cm 컸고, 수수도 36~90개/$m^2$ 많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콩+보리 연작이나 3년간 휴경한 처리에서는 관행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수량성에서도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는 3년차, 4년차, 5년차에서 모두 관행에 비해 수량이 많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Chang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서재환;김경훈;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6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보리, 총체밀, 트리티케일 및 귀리는 조단백질과 NDF 및 ADF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호밀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ADF와 NDF 함량은 증가하였다. TDN 함량과 RFV는 청보리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는 출수 후 30일, 호밀은 출수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 제조한 사일리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맥종별 사료가치로서 평균 TDN 함량은 보리가 6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순이었다.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Anthocyanin Contents of Colored Barley (Hordeum vulgare L.) cv. Boanchalbori

  • Song, Tae Hwa;Park, Tae Il;Han, Ouk Kyu;Yoon, Chang;Kang, Hyen Jung;Park, Kuang Ge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4-239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rying methods and drying time on the changes in anthocyanin content in colored barley. Colored barley cultivar Boanchalbori was harvested at a time when the anthocyanin content was the most and dried in afield. The harvested barley was then treated by two methods, sun drying and shade drying, for 4, 8, 24, and 32 h.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un-dried barley decreased slightly faster than shade-dried sampl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amples dried under shaded conditions had slightly higher crude fiber and lower nitrogen free extrac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between the two methods. In the case of sun-dried barley, the anthocyanin content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and shade-dried samples after drying for 4 h (p < 0.05), wa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at 24 h, and then decreased at 32 h. In case of shade-dried barley, the anthocyanin content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drying time, and a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at 24 h of drying (p<0.05)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hade-dried method was more successful in reducing anthocyanin loss than the sun-dried method (p<0.05).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with drying time in the shade-dried method, an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4 h with the sun-dried method. These results showed that covering with a two-layer awning was advantageous to dry colored barley in the field conditions.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실내 유묘 대량검정 방법 (An Easy Seedling Method to Screen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of Barley and Wheat)

  • 박종철;박철수;김미정;김양길;이미자;박기훈;노태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3-158
    • /
    • 2008
  • 유묘를 이용한 보리와 밀의 흰가루병에 대한 실내 대량 검정 방법을 개발하고 국내 육성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해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종이 봉투를 이용한 유묘 검정은 파종에서 접종이 가능한 생육까지 약 10일이 소요되었으며, 접종 후 발병 및 검정까지는 약 8일로 3주 이내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1회에 180종 이상을 검정할 수 있다. 유묘 검정시 저항성 반응은 포장과 마찬가지로 무감염과 괴사증상 두가지 반응을 보여 이를 이용하여 저항성 정도를 판정할 수 있었다. 국내 육성 보리 79품종 중 겉보리에서는 '상록보리'만이 저항성이었고, 맥주보리에서는 '다진보리'가 저항성을 보였고 '제주보리'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보리와 밀 25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의였다. 이 결과는 포장에서의 저항성성과 같은 결과를 보여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 보리와 밀의 품종육성에 이용되는 유전자원 검정 결과 맥주보리에서 가장 많은 51종이 저항성 자원으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겉보리와 쌀보리 796종과 밀 273종에서는 저항성 자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Effect of Supplemental Levels of Barley on Growing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Properties in Swine

  • Jeong, Yong-Dae;Song, Tae-Hwa;Park, Tae-Il;Han, Ouk-Kyu;Ryu, Kyeong-Seo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27-13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etary anthocyanin fortified barley (AFB) or whole crop barley (WCB) on growing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properties in swine at late fattening phase. Swine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d (p>0.05) but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tended to increase in treatments. Meat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pH,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meat surface color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barley in diet. However, DPPH content of longgissmus dorsi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WCB10 compared to control, AFB5 and WCB5 (p<0.05). FRAP content of longgissmus dorsi muslce was higher in WCB5 than the AFB (p<0.05), thereby, a tendency in FRAP was not similar to that of DPPH. Only myristic acid (C14:0) was affected, and the lowest myristic acid was found when AFB was supplied to swine. A tendency was not determined in total protein and HDL-cholesterol content, however, control, WCB10 and AFB5 had high in total protein and showed significantly low values in HDL-cholesterol.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barley can be considered as an ingredient in swine diet, but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