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e production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초

포도주 효모에 의한 중간크기의 지방산 생성 (Formation of Medium Chain Fatty Acid by Wine Yeasts)

  • 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2-837
    • /
    • 1989
  • 포도주 발효에 사용되는 호모균주 12종을 Murphy배지에 배양하여 중간크기의 지방산(MCFA)의 생성을 분석하였고 발효조건에 따라 그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특히 발효력이 강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속하는 균주들은 발효초기에 decanoic acid를 약 21-26mg/1 생성하였고 발효 후기에는 약 5-10mg/1로 감소하였다. 발효조건에서 볼 때 MCFA의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당함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존재 하에서도 증가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Mixed Fermentation of Torulaspora del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the Non-Volatile and Volatile Compound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in Golden Dried Longan Wine

  • Sanoppa, Kanokchan;Huang, Tzou-Chi;Wu, Ming-Cha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orulaspora del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s pure fermenters and mixed fermenters (simultaneous and sequential culture), on the production of non-volatiles and volatiles, an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Golden Dried Longan juice and Golden Dried Longan wines. Alanine,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proline,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were the most prominent amino acids that were found in these wines. The Golden Dried Longan Wine fermented with monocultures of S. cerevisiae and T. delbrueckii produced a total volatile aroma content of 393.21 mg/l and 383.20 mg/l, respectively. Simultaneous culture of the two organisms produced the highest total volatile aroma content, that affected most volatile compounds including isobutanol, ethyl acetate, ethyl decanoate, ethyl heptanoate, ethyl hexanoate, ethyl pentanoate, isoamyl acetate, and isobutyl acetate. Of the four treatments, the sequential culture possess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5.80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ml). In addi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olden Dried Juice and Golden Dried Longan W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cultures of the two organism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Golden Dried Longan Wine may improve the intensity and complexity of its aroma.

주증황련(酒蒸黃連)이 iNOS 활성 억제를 통해 생쥐 위.십이지장 점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ptidis Rhizoma Steamed with Rice Wine on Gastroduodenal Mucosa of Mouse through Inhibiting iNOS Activation)

  • 김명호;임성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2-27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optidis Rhizoma steamed with rice wine (CR) against gastroduodenal mucosal injury through inhibi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ctivation. Methods: In in vitro experiment,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CR(0.4, 0.6, 0.8, 1.0 mg/ml) and iNOS mRNA expression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ere measured. In in vivo experiment normal group mice were treated with neither ethanol nor CR. Both control and sample group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ethanol. Five hours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control group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distilled water, sample group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CR. After three days administration, gastroduodenal mucosa of mice was observed histopathologically and iNOS,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ctivation wer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ly. Results: In in vitro experiment iNOS mRNA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were decreased by CR dose-dependently. In in vivo experiment, gastroduodenal mucosal injury was repaired by CR and iNOS, NF-${\kappa}B$ activation in gastroduodenal mucosa were decreased by CR. Conclusions: Coptidis Rhizoma steamed with rice win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gastroduodenal mucosal injury through inhibiting iNOS activ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Quantification of Acetaldehyde and Methanol in Apple Wine Fermentation by Various Pre-Treatments of Mash

  • Won, Seon Yi;Seo, Jae Soon;Kwak, Han Sub;Lee, Youngseung;Kim, Misook;Shim, Hyoung-Seok;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4호
    • /
    • pp.292-297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dding lactic acid and pectinase, and chaptalization for the quality of apple wine and the production of hazardous compounds (methanol and acetaldehyde). The pH of all of the samples was below 4; therefore, mash seemed to be fermented without any issue. Total acidity was the highest in sample A due to lactic acid addition. Pre-treated groups (samples B, C, and D) showed higher total acidities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Pre-treatments might influence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in apple wines. The control and pectinase added sample (sample B) had the lowest alcohol contents. Adding lactic acid produced more alcohol, and chaptalized samples produced more alcohol due to the addition of sugar. Adding pectinase with and without chaptalization was not effective for producing more alcohol. The control sample had significantly higher acetaldehyde content (2.39 mg/L) than the other samples (1.00~2.07 mg/L); therefore, pre-treatments for apple wine fermentation produced a lower amount of acetaldehyde. Among the pre-treated samples, samples C and D showed the lowest acetaldehyde content of 1.00 mg/L and 1.16 mg/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methanol was generated for sample A (1.03 mg/L) and sample D (1.22 mg/L) than that of the control (0.82 mg/L) (P<0.05). Adding lactic acid or chaptaliz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methanol and acetaldehyde in apple wines.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약조특성 (Zym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eju folk wine made of foxtail millet)

  • 고정삼;양영택;고영환;강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77-283
    • /
    • 1993
  • 제주토속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한 원료특성, 최적양조조건, 관능검사 등을 검토하였다. 양조원료인 차조의 당질은 71.27%였으며, 조지방은 3.47%로 다른 양조원료에 비하여 함량이 많았다. 가수량의 증감에 따라 약주 중의 에탄올 생성은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정농도를 13%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료에 대한 가수량을 250% 이내로 할 필요가 있었다. 발효기간 중에 당의 소모와 더불어 에탄올 생성은 발효개시 2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주발효기간은 4일이었다. 양조원료로 좁쌀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정농도가 $13.0{\sim}13.4%$였으나 쌀 또는 보리쌀을 10% 혼용하였을 때는 $14.0{\sim}14.3%$로 향상되었고,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쌀과 혼용하는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좁쌀약주 중의 유기산은 lact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였고, 당은 xylose 및 소당류가 대부분이었다. 좁쌀약주 중에는 메탄올은 미량이었고 휴젤유가 적고 유기산이 많았다. 좁쌀약주의 최적양조조건은 차조에 10% 쌀을 혼용한 원료를 사용하여 충분한 침치와 증자를 시키고 가수량을 200%로 하며, $20^{\circ}C$에서 일주일간 주발효 후에 압착여과하여 숙성시키는 것이었다.

  • PDF

효모에 따른 참다래 'Hayward' 와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 도코삭;박양균;박용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4-181
    • /
    • 2010
  • 참다래로 만든 'Hayward' 와인 제조에 적합한 효모 선발을 위해서 3종의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Gervin No.5 strain (GVN), S. bayanus Lavin strain EC1118 (EC1118), 그리고 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796 (No.796)은 와인 발효에 가장 적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효모이다. 이 세 효모에 의해 발효된 샘플의 당도 함량은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나, 알코올 생산량만 발효 첫 주에 큰 차이가 있었다. 효모중 GVN이 13.8%로 알콜농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No.796과 EC1118은 각각13.0%와 12.5%로 상대적으로 알콜함량이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GVN은 높은 산과 높은 알콜함량을 가지고 있고, 강한 풍미와 쓴맛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No.796은 GVN과 유사하지만 낮은 알콜함량과 함께 단맛이 있었다. EC1118은 높은 풍미, 단맛과 낮은 알콜함량으로 부드러운 맛으로 평가되었다. EC1118에 의해 발효된 와인 의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다른 효모보다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EC1118이 최적의 효모로 선발되었다. 다른 2종의 효모를 사용한 참다래 발효 와인은 각각 다른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EC1118효모는 참다래 발효에 가장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과 같은 건강기능성과 높은 관능적 기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미세여과와 한외여과를 이용한 대추술의 고품질화 (Value Addition of Jujube Wine using Micr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 강현아;장규섭;민용규;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46-1151
    • /
    • 1998
  • 청주지방의 민속주인 대추술은 제조과정중 고유한 대추술의 풍미의 손실로 인한 상품가치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열살균 공정에서의 품질저하를 개선하고자 미세여과와 한외여과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0.2\;{\mu}m$와 50K dalton의 hollow-fiber module을 사용하여 대추술을 여과시에 시간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변화는 초기 10분 경과시까지 급속히 저하되었으며, 공정압력이 높을수록 투과유속이 증가하였다. 막을 투과한 대추술의 색은 L값이 증가하고 b값이 감소하여 밝고 엷어졌으며, 탁도는 크게 낮아져 청징되었다. 또한 pH, 알코올, 총산 및 당도는 같거나 약간 낮아졌으며, 유기산과 유리당은 80%이상 회수되었다. 또한 이들의 성분은 적용압력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대추술을 미세여과와 한외여과시 색은 맑고 밝으며 연하여지나 오히려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맛과 향은 시판제품에서 강하게 느끼던 화독내가 적고 무처리 발효주와 비슷한 맛과 향을 보여줘 미세여과와 한외여과법이 기존의 여과와 가열살균법에 비하여 관능적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선호도를 조사한 관능검사 결과 미세여과와 한외여과 술은 같은 그룹으로 구분되어 차이가 없으므로 처리 효율이 좋은 미세여과 법만으로도 대추술의 품질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막걸리 유래 미생물의 활용을 위한 연구 동향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 이영석;설정만;정덕열;김수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9-235
    • /
    • 2016
  •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발효제로 막걸리를 만들어 왔다. 막걸리는 여과 또는 살균 과정없이 다양한 미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다양한 기능성에 대해 스크리닝한 결과,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활성과 다양한 스펙트럼의 항균활성을 가진 균주들이 선별되었다. 특히 일부 유산균들은 GABA와 EPS 등의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유산균과 효모의 경우 각각 bacteriocin 및 killer toxin을 통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막걸리 유래 기능성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은 기능성 식품 소재나 안전한 식품첨가물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효모(酵母)에 의(依)한 과실주(果實酒)의 감산(減酸) (Decomposition of Acid in Wine by Yeast)

  • 박윤중;손천배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76-181
    • /
    • 1980
  • 산미(酸味)가 과다(過多)한 과실주(果實酒)의 감산(減酸)에 이용(利用)하기 위한 시험(試驗)으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균학적(菌學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고 사과주(酒) 양조(釀造)에 있어서의 공시효모(供試酵母)의 특성(特性)을 시험(試驗)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공시효모(供試酵母)는 Schizosaccharomyces pombe R-73로 동정(同定)되었다. 2. 공시효모(供試酵母)는 사과즙(汁) 중(中)에서의 아황산내성(亞黃酸耐性)이 포도주효모(酒酵母) 보다 강(强)하였다. 3. 사과즙(汁) 중(中)에서 배양(培養)하는 경우 $25^{\circ}C$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증식속도(增植速度)는 포도주효모(酒酵母)나 청주효모(淸酒酵母) 보다 빨랐다. 그러나 $15^{\circ}C$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증식속도(增植速度)가 대조균주(對照菌株) 보다 많이 느렸다. 4. 사과주양조(酒釀造)에 있어서 $25^{\circ}C$(고온(高溫))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Ethanol 생성력(生成力)이 강(强)하였고 감산효과(減酸效果)가 매우 컸다. 그러나 $15^{\circ}C$(저온(低溫))에서는 공시효모(供試酵母)의 Ethanol 생성력(生成力)이 떨어졌으며 감산효과(減酸效果)도 적었다.

  • PDF

알로에 발효주의 barbaloin 함량변화 (Changes of Barbaloin Contents in Aloe Wine)

  • 박종상;성창근;장기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183-188
    • /
    • 1996
  • 알로에 술의 품질향상 및 산업화를 위한 연구자료로서 알로에 술의 제조법을 과학화하기 위하여, 알로에 첨가량에 따른 알로에 술의 특성과 지표성분 함량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과정 중의 알콜 생산은 0.5%의 알로에 분말 첨가구에서 당을 15%, 20%, 25%로 증량시 약 6.3%, 9.6%, 그리고 11.3%의 알콜이 각각 생성되었다. 술덧중에 알로에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알콜의 생산이 완만하게 저하되었다. 알로에의 지표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는 barbaloin은 0.5% 알로에 첨가구에서 barbaloin의 양은 발효 7일 후 4.2 mg/ml, 10일후에는 4.6 mg/ml이었으나, 30일 후에는 다시 감소되었다. 알로에의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로서 알로에의 쓴맛에도 불구하고 1.5%와 2.0%의 알로에 첨가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