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 tunnel test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28초

조종면이 장착된 회전하는 발사체에서의 공력특성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n a Projectile with Counter-Rotating Head Installed Fins)

  • 박영하;제상언;조수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7-3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사일형상의 몸체(쉘)와 쉘의 헤드부에 조종면을 부착한 발사체에서 힘과 모멘트를 측정하였다. 쉘과 헤드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쉘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였다. 헤드부는 쉘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며, 헤드부의 회전은 한 쌍의 조종면에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각변위을 주어서 비행하는 경우에 자연적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실험에서의 유속은 40 m/s로 설정하였으며, 레이놀드수는 헤드직경을 기준으로 $1.3{\times}10^5$였다. 발사체의 자세제어 및 방향전환을 위하여 헤드부에 있는 다른 한쌍의 조종면은 각변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회전하는 발사체에서 힘과 모멘트의 변화가 측정되었으며, 측정된 결과로부터 FFT 분석을 통하여 영향력이 있는 진폭과 주파수를 얻었다.

고속 전진비 조건에서의 로터 진동하중 특성 연구 (Vibratory Loads Behavior of a Rotor in High Advance Ratios)

  • 나덕환;유영현;정성남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7-2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 전진비 조건의 로터에 대해 전진비 변화에 따른 허브 진동하중의 변화를 예측하고, 블레이드에서 발생하는 구조하중 예측 및 조화 분석을 통하여 구조하중 변화를 고찰하였다. 로터 전진비는 0.40부터 0.71까지 범위를 가지며, NASA에서 수행한 풍동시험 결과에 대해 수치묘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허브 진동하중 및 블레이드 모멘트를 예측하였다. 허브 진동하중은 최초에 증가하다가 전진비가 0.5 이상의 경우에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었다. 블레이드 구조하중은 전진비가 증가할수록 진폭의 크기가 증가하며, 블레이드 모멘트의 조화 분석을 수행한 결과 플랩 모멘트는 3/rev, 래그모멘트는 4/rev의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진비가 증가할수록 2차 플랩과 2차 래그 모드의 고유진동수가 각각 3/rev와 4/rev에 근접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와동 발생기 높이 변화에 대한 경계층 내의 유동장과 온도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low rind Temperature Field and a Boundary Layer Due to a Variety of tole Height of a Vortex Generator)

  • 권수인;양장식;이기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1호
    • /
    • pp.82-93
    • /
    • 2002
  •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low and temperature field and a boundary layer due to a variety of the height of a vortex generator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test facility consists of a boundary-layer wind tunnel with the vortex generato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In order to control the strength of the longitudinal vortices, the angle of attack and the spacing distance of the vortex generator are 20 degree and 40 mm,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vortex generator (H) is 15 mm, 20 mm and 30 mm and the cord length of it is 50 mm. Three-component mean velocity measurements are made using a 5-hole probe system and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measured by the hue capturing method using thermochromatic liquid crystals. By using the method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rom the present experiment. The boundary layer is thinned in the downwash region where the strong downflow and the lateral outflow of the boundary layer fluid occur and thickened in the upwash re,3ion where the longitudinal vortex sweeps low momentum flui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In case that the height of the vortex generator increases, the averaged circulation and the maximum vorticity of the vortex pair decrease. The contours of the non-dimensional temperature show the similar trends fur all the cases (H=15 mm, 20 mm and 30 mm). The peak augment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local non-dimensional temperature occurs in the downwash region near the point of minimum boundary-layer thickness.

베인과 블레이드 사이의 상대위치 변화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 표면에서의 열/물질전달 특성 (Effect of Relative Position of Vane and Blade on Heat/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n Stationary Turbine Blade Surface)

  • 이동호;조형희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7-38
    • /
    • 2005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on blade surface heat transfe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low speed wind tunnel with a stationary annular turbine cascade. The test section has a single turbine stage composed of sixteen guide vanes and blades. The chord length of the blade is 150 mm and the mean tip clearance of the blade is $2.5\%$ of the blade chord.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blade inlet velocity and chord length is $1.5{\times}105$ and mean turbulence intensity is about $3\%$.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ve position of blade, the blade at six different positions in a pitch was examined. For the detailed mass transfer measurements, a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was used. In general, complex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on the blade surface due to various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a laminar flow separation, relaminarization, flow acceleration, transition to turbulence and tip leakage vort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blade relative position affects thos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ecause the distributions of incoming flow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are changed. Especially, the heat transfer pattern on the near-tip reg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because the effect of tip leakage vortex is strongly dependent on the blade position. On the pressure side, the effect of blade position is not so significant as on the suction side surface although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separation bubble are changed.

셀룰로오스와 PET 복합체로 만들어진 가정용 가습소자 (Residential Humidifying Element Made of Cellulose and PET Composite)

  • 김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3-18
    • /
    • 2016
  • 실내의 습도제어를 위하여 가습기가 필요하다. 이 중 기화식 가습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가습기의 핵심 부품인 소자는 일본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제품을 대체할 셀룰로오스와 PET 복합체로 만들어진 가습소자를 개발하고 일본 제품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시험은 소자를 항온항습실 내에 설치된 흡입식 풍동 입구에 설치하고 가습량과 압력손실을 측정하였다. 개발품의 가습 효율이 일본 제품에 비하여 2%~4% 우수하고 압력 손실도 일본 제품에 비하여 23%~32% 적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 압력손실에서 가습 성능을 의미하는 $j_m/f$의 값도 개발품에서 5%에서 28% 크게 나타났다. 한편 개발품의 물 흡수도는 일본 제품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는데 향후 이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력선 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형상의 날개 공력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erodynamic Analysis for Wings with Various Shapes Using Lifting-line Methods)

  • 이창호;강형민;김철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931-93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날개의 개념 설계에서 적용하기에 적합한 양력선 방법을 찾고 정확성과 적용범위를 분석한다. Prandtl의 양력선 이론에서 발전된 두 가지 양력선 방법으로서 얇은 익형의 가정을 갖고 3/4 시위의 제어점에서 속도경계조건을 부여하는 Weissinger방법과 3차원 와류 양력법칙을 적용한 Phillips의 방법을 택하였다. 계산 대상은 타원형 날개, 후퇴각이 있는 날개, 그리고 상반각과 비틀림이 있고 후퇴각 없는 테이퍼 날개이다. 계산을 통해 포텐셜 유동의 공력 데이터로 날개의 순환분포, 내리흐름 분포, 양력과 유도항력을 추출하여 이론식 결과 및 풍동시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Weissinger 방법은 날개의 형상에 상관없이 정확도와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만 Phillips 방법은 후퇴각이 있는 날개에서는 부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에서 연료 온도에 따른 팬형 분무 및 연소 특성의 변화 (The Effects of Fuel Temperature on the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DISI Engine)

  • 문석수;;배충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3-111
    • /
    • 2006
  • The spray behavior of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DISI) engines is crucial for obtaining the required mixture distribution for optimal engine combustion.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DISI engines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piston bowl shape, air flow, ambient temperature, injection pressure and fuel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uel temperature on the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was partially investigated for the wall-guided system. The effect of fuel temperature on the fan spray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in a steady flow rig embodied in a wind tunnel. The shadowgraphy and direct imaging methods were employed to visualize the spray development at different fuel temperatures. The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spray were investigated by the particle size measurements using a phase Doppler anemometry(PDA). The effect of injector temperature on the engine combustion characteristics during cold start and warming-up operating conditions was also investigated. Optical single cylinder DISI engine was used for the test, and the successive flame images captured by high speed camera, engine-out emissions and performance data have been analyzed. This could give the way of forming the stable mixture near the spark plug to achieve the stable combustion of DISI engine.

400kW 개량형 고온플라즈마 발생장치 성능평가연구 (Performance Test of 400kW Enhanced Huels Type Plasma Generator)

  • 박상훈;이기선;이승진;황리호;이병호;나재정;이정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37-540
    • /
    • 2010
  • 5000도 이상의 고열류 유동을 발생시키는 개량형 고온플라즈마 토치는 신소재, 환경 및 에너지 사업 등, 첨단 기술의 실험을 위한 아크젯 풍동의 핵심장비이다. 개량형 고온플라즈마 토치는 내부 아크의 분기현상이 없는, 균일한 고순도의 유동을 발생할 수 있지만 까다로운 구조 및 작동조건 때문에 상용화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개량형 고온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성능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400kW급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성능평가 결과, 전류 280 ~ 320 A 및 전압 250 ~ 1350 V 범위에서의 설계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IFT와 L1 적응제어기법을 이용한 풍동실험용 자기부상 비접촉식 밸런스의 제어시스템 설계 (Position and Attitude Control System Design of Magnetic Suspension and Balance System for Wind Tunnel Test using Iterative Feedback Tuning and L1 Adaptive Control Scheme)

  • 이동규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8-35
    • /
    • 2017
  • 자기부상 비접촉식 밸런스(MSBS: Magnetic Suspension and Balance System)는 자기력 및 자기모멘트를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시험 대상체의 위치 및 자세각을 정밀하게 변경하며 외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MSBS를 활용한 풍동실험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위치 및 자세각 제어시스템의 명령 추종 성능과 구성장비의 고장에 대한 강건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개발된 풍동실험용 MSBS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Iterative Feedback Tuning (IFT)과 $L_1$ adaptive output feedback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어 이득값을 자동적으로 최적화하고 전류공급장치의 고장에 강건한 제어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풍도 내 유동 교란과 자동차압 댐퍼의 성능 특성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Pressure-difference Control Damper Affected by Flow Disturbance in a Wind Tunnel)

  • 윤영민;이민정;김남일;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6-23
    • /
    • 2009
  • 화재 시 피난로의 연기의 확산 침투를 막기 위한 제연 댐퍼의 성능 특성은 FIS 001 규정에 의해 시험되고 있지만 시험 방법 및 규정에 대한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시되었다. 유체역학적인 관점에서 급기 시스템의 끝단에 위치한 제연 댐퍼의 특성은 전체 제연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압댐퍼에 관한 FIS 001 규정의 취약점을 논하고 댐퍼의 주요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 시험 장치 내의 유속 교란은 댐퍼의 성능 특성 시험에 영향이 적음을 확인하였으며 누기량 및 방연 풍속 확보 등과 관련된 실험을 추가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동차압댐퍼의 성능 시험을 위한 설비 구축 및 시험 규정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