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 power map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풍력 데이터를 이용한 발전 패턴 예측 (Predicting Power Generation Patterns Using the Wind Power Data)

  • 서동혁;김규익;김광득;류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45-253
    • /
    • 2011
  • 화석 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화석 연료의 고갈에 대한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서 화석 연료에 대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에너지는 중에 하나가 풍력에너지이다. 풍력에너지 발전단지와 기존의 전력 발전소는 소비되는 전력에 대한 생산의 균형을 맞춰야하며, 풍력에너지단지에서 균형적인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풍력에너지에 대한 분석 및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마이닝 분야의 예측 기법이 활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전 패턴을 예측하기 위해 SOM(Self-Organizing Feature Map) Clustering 기법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1) 풍력 데이터의 누락된 데이터와 이상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였다. 2) 전처리 단계를 거쳐 정제되고 정규화된 데이터 집합을 MIA(Mean Index Adequacy) 척도와 SOM Clustering 기법에 적용하여 대표 발전 패턴을 찾아내고 각각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대표 패턴을 클래스 레이블로 할당하도록 하였다. 3) 의사결정나무 기반의 분류 기법에 데이터 집합을 적용시켜 새로운 풍력에너지에 대한 분석 및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의사결정나무를 통한 풍력에너지 발전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A high-resolution mapping of wind energy potentials for Mauritiu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Dhunny, Asma Z.;Lollchund, Michel R.;Rughooputh, Soonil D.D.V.
    • Wind and Structures
    • /
    • 제20권4호
    • /
    • pp.565-578
    • /
    • 2015
  • A wind energy assessment is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wind energy resources of a particular area. In this work, the wind energy potentials for Mauritius have been assess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The approach employed in this work aims to enhance the assessment of wind energy potentials for the siting of large-scale wind farms in the island. Validation of the model is done by comparing simulated wind speed data to experimental ones measured at specific locations over the island. The local wind velocity resulting from the CFD simulations are used to compute the weighted-sum power density including annual directional inflow variations determined by wind roses. The model is used to generate contour maps of velocity and power, for Mauritius at a resolution of 500 m.

제주와 강원 지역의 낙뢰특성 및 풍력발전기의 낙뢰피해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ightning Characteristics and Lightning Damage to Wind Turbines of Jeju and Gangwon Region)

  • 양달승;김경보;고경남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37-143
    • /
    • 2014
  • An investigation on lightning characteristics and damage to wind turbines was performed on Jeju and Gangwon regions. The lightning data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3 detected by IMPACT ES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Hangyeong and Seongsan wind farms of Jeju province and Taebaek, Changjuk, Taegisan and Gangwon wind farms of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Lightning rates and lightning damage events at the six wind farm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Lightning maps for the two regions were drawn using lightning frequency data. As a result, lightning frequency of Gangwon region was higher than that of Jeju region, while lightning strength of Gangwon was weaker than that of Jeju. Lightning rates were assessed to be good for all of the six wind farms. No lightning damage to wind turbines occurred at the two wind farms of Jeju, while some lightning damage to wind turbines took place at the four wind farms of Gangwon.

풍력발전 단지조성을 위한 바람환경 분석 (Analysis of Wind Environments for Siting a Wind Farm)

  • 김현구;최재우;손정봉;정우식;이화운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45-756
    • /
    • 2003
  • An analysis of wind environment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an evaluation of wind resources using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meteorological observation sites at Homi-Cape, Pohang have been carrid out for siting a wind farm. It was shown that a numerical simulation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ould provide reliable wind resource map in complex terrain with land-sea breeze condition.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Homi-Cape wind farm with 11.25 ㎿ capacity has been designed for maximum power generation and 25.7 GWh electricity production is predicted.

국가바람지도 및 국가지리정보에 의한 해상풍력단지 개발계획의 적합성 검토 (Suitability Review on Development Plans of Offshore Wind Farm Based on National Wind Map and Geographic Information)

  • 김현구;황효정;송규봉;황선영;윤진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4-53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ims preliminary assessments of the proposed plans of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based on the recently established national offshore wind map 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of offshore wind farm. Incheon Mueodo, Busan Dadaepo-Gadukdo, Sinangun Haeodo have been assessed considering geographic constraints such as water depth, offshore distance, national park, grid connection, and meteorological constraint such as wind power density and wi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assessment, Mueodo plan has a weak point in grid connection and several geographic limitations are involved in Haeodo plan while Dadaepo-Gadukdo seems the most possible plan among the review cases. Because of limited assessment in this research, more detail and further consideration are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of a feasibility project at proposed sites.

  • PDF

풍력 발전에서 미래 연구를 위한 연구 집중으로서 등급 기준을 이용한 기술 로드맵 개발 (Development of a Technical Road Map for Future Research in Wind Power Generation using Grading Criteria as a Rubric for Research Focus)

  • 박종규;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17-423
    • /
    • 2011
  • 일반적으로 기존 연구와의 중복성을 피하고 독창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은 사전에 특허정보를 분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 발전에 대한 현재의 동향을 이용한 등급 기준 개발을 주요국의 기술 위치, 국가별 피인용비와 시장력 확보지수,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 특허 출원인 국적 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특허 정보 분석은 앞으로 풍력발전의 연구 개발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nd Load Assumption of 765Kv Transmission Towers

  • Kim, Jeong-Boo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5-50
    • /
    • 1996
  • This paper mainly describes the wind load assumption of 765kV transmission towers. We analyzed wind velocity data 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to get the wind velocity of 50 years return period by using Gumbel I type extreme value distribution. By multi-correlativ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nd velocity at no observation site was obtained. Reference dynamics wind pressure map was obtained from above analysis and the wind pressure was classified as three regio in high temperature season.

  • PDF

강원도 기상데이터를 이용한 풍속 지도 제작 (Producing Wind Speed Maps Using Gangwon Weather Data)

  • 김기홍;윤준희;김백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39
    • /
    • 2010
  • 석유파동이후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현재에 들어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다시금 그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풍력에너지에 대하여 강원지방 기상청의 2008년 데이터 이용하여 풍속지도를 제작 하였다. 강원도 월별 평균 풍속과 최대풍속지도를 제작하였으며, 기상자료에 여러 가지 보간법을 적용하고 방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강원도 지역의 특수한 지형적, 기후적 특성이 반영된 풍속지도는 풍력 단지 입지분석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풍력단지 입지전략 GIS 분석 (GIS Analysis on Siting Strategy of Offshore Wind Farm)

  • 송규봉;김현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0-462
    • /
    • 2009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cale, location, resourc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offshore wind farm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national wind map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long-term wind power development, this study pursues siting strategy building, selection of target area and deciding development priority as well as the presenting a basis for assessment that are necessary for policy decision making by making theme layers under GI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after organiz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stages, even if only the most suitable sites are developed among the area of offshore wind farm candidates that can be developed under the current technological standard, it has been evaluated as being able to develop about 3 times of the wind power dissemination target until 2012. It is expected that about 5% of territorial water area can be developed in a short-term future while the southern offshore area possessing relatively favorable wind resource than the western offshore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feasible site. While about 23% of territorial water area has been classified as potential area for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in a long-term future, even Jeju Island and offshore of Ulsan possessing excellent wind resource have been analyzed as feasible sites. The feasibility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establish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national strategy building for accomplishing the wind power dissemination target.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한반도 미래 풍력자원 지도 생산 (Production of Future Wind Resource Map under Climate Change over Korea)

  • 김진영;김도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앙상블 중규모기후모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를 이용하여 2045년부터 2054년까지 21세기 중반의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나라 미래 풍력자원 지도를 제작하였고 월별, 시간대별 자원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한반도상에서 강한 몬순 순환으로 인해 뚜렷한 월별 시공간 변동성이 해륙풍에 의한 시간대별 변동성보다 컸다. 풍력자원이 큰 강풍지역은 월마다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즉 겨울철 북서계절풍(여름철 남서계절풍)이 주풍일 때 각각 강원산간과 해상 그리고 남서해안에서 자원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최대풍과 최소풍은 1월, 9월에 각각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고, 시간대별로 내륙과 산간은 일중편차가 컸지만 연안지역은 편차가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현재기후에 대한 기존분석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 생산된 미래 풍력자원 지도는 향후 기후 변화 가능성이 큰 지역의 시공간적 풍황을 감안하여 풍력단지 입지 선정 및 풍력운영을 위한 장기계획 마련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