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ld vegetabl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초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me Wild Vegetable Extracts

  • Kim, Jong-Sang;Kwon, Chong-Suk;Son, Kun-Ho;Kim, Jung-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74-176
    • /
    • 2000
  • Seventeen wild vegetables consumed commonly in Korea were tes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lpha-glucosidase, followed by Bupleurum longeradiatum and Angelica decursiva. The hexane-soluble fractions of Hosta longipes, Ainsliaea acerifolia, Pedicularis resupinata, Bupleurum longeradiatum, and Angelica decursiva all at the concentration of 5 mg/ml, inhibited enzyme activity by greater than 50%, and the ethylacetate-soluble fractions of Hosta longipes, and Codonopsis lanceolata, and Bupleurum longeradiatum had relatively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enzy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dible plants merit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usefulness as anti-diabetic drugs.

  • PDF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산마늘 절임 제품의 소비자 소비행태 및 선호도 분석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and Preference of Salted Wild Vegetable: A conjoint analysis with Allium victorialis)

  • 김기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69-178
    • /
    • 2015
  • 본 연구는 산마늘 절임제품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구입행태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향후 산마늘 절임제품의 새로운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산마늘 절임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인 소비행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산마늘 절임제품의 속성별 중요도 도출을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장세분화를 위한 군집분석과 시장점유율 예측을 위한 Logit 모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였다.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위한 컨조인트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산마늘 절임제품의 제품 포장용기를 제품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다음으로 절임간장의 콩 원산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hytophthora Foot Rot of Deltoid Synurus Caused by Phytophthora cryptogea

  • Nam, Young-Ju;Oh, Sang-Keun;Kim, Sun Ha;Moon, Youn-Gi;Cho, Weon-Dae;Kim, Wan-Gyu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62-165
    • /
    • 2022
  • Foot rot symptoms were repeatedly observed on plants of deltoid synurus (Synurus deltoides) growing in a field of the Wild Vegetable Research Institute located in Pyeongchang, Korea during disease surveys in July 2020 and June 2021. The symptoms appeared as wilting of the plant leaves, and the plant stems and petioles at or above the soil line turned dark and rotted. The incidence of diseased plants in the field was 5-10%. Five isolates of Phytophthora sp. were obtained from lesions of the diseased plants and investigated for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hytophthora cryptog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ree isolates of P. cryptogea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deltoid synurus plants using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tested isolates caused foot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s from the field investigat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cryptogea causing Phytophthora foot rot in deltoid synurus.

Induction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ice Administered with Various Vegetable Extracts

  • Kim, Mee-Ree;Lee, Kun-Jong;Kim, Yun-Bae;Sok, Dai-E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07-213
    • /
    • 1997
  • The effect of various vegetables commonly consumed by Koreans on the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sferase(GST) activity in mice was assessd. The extract of vegetable dissolved in propylene glycol (5ml/kg body wt.) was administered to ICR female mice 6 to 8 weeks old via gavage during 5 days.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liver weight of all treat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epatic protein contents of tr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BHT treated group. The induction of GST activity in liver cytosol of mice was the greatest with broccoli, followed by radish, wild green onion, turnip, and green onion. The induction of GST activity in liver cytosol increased up to 1.5 to 1.8-folds at a dose of 24 g fresh vegetable/mouse. The induction of combination between vegetables was the highest with the combination of broccoli and radish (1.83-fold), followed by that of broccoli and green onion (1.72-fold), and that of broccoli and turnip (1.50-fold).

  • PDF

충남지역(忠南地域) 민속채소(民俗菜蔬)의 경영(經營) 및 유통개선(流通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Management and Marketing Improvement for Folk Vegetables in Chungnam Province)

  • 이동재;김철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321-328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vegetable cultivating farmhouses by investigating profit and marketing situation for the folk vegetables. The survey areas covered 10 cities and counties including Kumsan, 72 farmhouses, and 8 crops including buffterbur and wild rocambole. As a result, the cultivated area of folk vegetables was increased as much as 13.7%, however, marketing cost was higher than that of horticultural crops, because they were not accessed to wholesale market. It was that the optimal period to sell the folk vegetables was shown like Jan. - Feb. for butterbur and day lily, Nov. - Dec. for wild rocambole, and Oct. - Nov. for kind of lettuce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economical efficiency, the net profit per 0.1 ha was amounted to 3,438,000 won for butterbur, 3.291,000 won for wild rocambole 1,712,000 won for day lily, and 1,464,000 won for fatsia shoots. Besides, these four crops occupied more than 60% in cultivation area, and their profit was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ster them with special crops in Chnugnam area. The crops that require more labor time were such crops as 632.9 hours for day lily, 584.3 hours for butterbur, and 409.2 hours for fatsia shoots, whereas the crops that required less labor time were such field crops as 219.2 hours for fragrant edible wild aster and 233.8 hours for kind of lettuce.

  • PDF

채소 모재료의 종류, 수확시기별, 부위별 혼합비율, 저장조건 및 생산회사에 따른 녹즙의 ${NO_3}^-$ 함량차이 (Study on the Content of ${NO_3}^-$ in Green Vegetable Juice by Different Sorts, Harvesting Time, Mixing Rate of Vegetable, Storage Condition and Manufacturers)

  • 손상목;윤지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103
    • /
    • 1998
  • 건강식품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는 녹즙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이들 식음료를 통한 질산염 섭취량이 일일 섭취량 계산에서 무시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질산염의 일일 섭취량 계산을 위해서도 녹즙종류별 ${NO_3}^-$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이에 녹즙의 모재료인 채소의 종류별, 수확시기별, 부위별 혼합지율 및 생산회사, 저장조건에 따른 녹즙의 함량차이에 일련의 실험과 monitoring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이에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즙의 주요 모재료 채소인 명일엽과 케일의 ${NO_3}^-$ 함량은 봄철이 여름이나 가을에 수확되는 경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명일엽의 경우 년중 최대치는 년중 최저치에 비해 4.85배나 높았고, 케일의 경우 2.9배 높았다. 명일엽과 케일의 ${NO_3}^-$ 함량 년중평균치는 1.731ppm, 5403ppm으로 케일이 명일엽에 비해 3.12배나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 ${NO_3}^-$함량은 중록이 엽신에 비해 명일엽은 7.5배, 케일은 2.1배나 많아 녹즙내 저수준 ${NO_3}^-$ 함량을 위해서는 중록보다는 엽신을 녹즙의 모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차이는 저장온도조건에 따른 차이보다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저장기간중의 녹즙의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은 당근녹즙, 케일녹즙, 오이 녹즙 모두 실온 및 냉장 저장조건에 서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착즙후 ${NO_3}^-$ 함량의 급격한 하락현상은 실온저장의 경우 오이 2시간, 케일 4시간, 당근녹즙 32시간 이후에 나타났으나, 실온 및 냉장보관의 경우 모든 녹즙에서 2시간부터 나타났다. Vitamin C 함량은 ${NO_3}^-$ 함량에 비해 완만히 저하하는 경향이었으나, 당근녹즙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급격히 낮아졌다. 5. 조사 대상 녹즙회사중 P사의 녹즙이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 모두 가장 높았고, TW사의 녹즙이 가장 낮았다. ${NO_3}^-$ 함량과 Vitamin C 함량이 GB사 녹즙에서 다함께 P사 녹즙에 비해 같은 경향으로 낮았다는 것은 제조과정에서 일정한 량의 물과 혼합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판단되었다. 6. 녹즙 종류별 ${NO_3}^-$ 함량은 당근녹즙(143ppm) < 명일엽(506ppm) < 돌미나리(669ppm) < 케일녹즙(985ppm) 순으로 많았고, Vitamin C 함량은 당근(43ppm) < 돌미나리(289ppm) < 케일(353ppm) < 명일엽(768ppm)의 순으로 높았다. 7. 일일 ${NO_3}^-$ 섭취량은 500ml의 녹즙을 마시는 경우 명일엽 253mg, 돌미나리 335mg, 케일 483mg으로 녹즙만으로도 이미 WHO/FAO의 일일 ${NO_3}^-$ 섭취허용량보다 1.16배, 1.53배, 2.21배나 초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채류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 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00
  • 경기, 강원, 전라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역민들의 산채 대한 인지도, 식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채에 대한 인상은 ${\ulcorner}$자연식품이다${\lrcorner}$라는 응답을 한 경우가 42.6%로 가장 높아서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산채의 떫은 맛을 우려내는 방법은 ${\ulcorner}$특별히 하지 않는다${\lrcorner}$가 6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채의 입수 방법은 재래시장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었으며, 도시보다 농촌이, 60세이상의 연령층에서는 들에서 직접 채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4) 산채의 식용빈도는 총 응답자의 28.7%가 가끔 먹는다라고 답하였으며, 도시보다 농촌의 경우 자주 먹는다는 응답율이 높았고 노인 동거가족과 40세 이상 연령층(31%)에서 자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잘 알고 있는 산채의 이름은 평균적으로 더덕, 도라지, 고사리, 쑥, 달래를 95%이상 잘 알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두릅 고들빼기는 각각 88.6% 85.1%이상 알고 있었다. 자주 먹는 산채는 고사리, 도라지, 달래, 더덕, 쑥, 고들빼기의 순이었으며 전라 경상지역에서는 도라지 다음으로 자주 먹는 산채를 쑥으로 응답하였다. 6) 밥에 넣어 먹는 산채는 총 25종류였으며 그 중 쑥의 이용율이 41.9%로 가장 높았다. 쑥은 떡으로 77.8%, 튀김이나 전으로 50.1%, 술담그는데 4.6%가 이용되고 있었다. 국 찌개, 생채의 조리에는 달래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나물이나 볶음에 이용되는 산채의 종류는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사리가 볶음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김치에는 돌나물과 고들빼기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술과 장아찌용으로는 더덕이 각각 40%, 46%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도라지는 가장 다양한 조리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7) 산채의 저장법으로 데쳐서 말려서 저장하는 산채는 43종이었으며 그 중 고사리가 32.3%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참취, 고비, 참나물, 쑥, 곰취도 데쳐서 건조하여 저장하고 있었다. 그외 고들빼기, 도라지, 씀바귀, 고사리 등은 소금물에 담가 저장하고 있었으며, 냉동저장도 다수가 응답하였다.

  • PDF

건강한 성인의 glutathione S-transferase M1과 T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에서의 식물성 식품군과 한식의 DNA 손상 감소 효과 (Effects of lymphocyte DNA damage levels in Korean plant food groups and Korean diet regarding to glutathione S-transferase M1 and T1 polymorphisms)

  • 김현아;이민영;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0-24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및 T1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한식에서 주로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군과 한식 식단의 DNA 손상 감소효과를 측정하여 유전적 민감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59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GST genotype을 분류하였으며 그 중 17명을 선발하여 DNA 손상 감소효과를 Come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DNA damage relative score로 나타냈다. 제 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인이 많이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감자류, 견과류, 곡류, 과일류, 김치류, 두류, 버섯류, 오일류 채소류 해조류)으로 분류 후, 각 식품군별 총 섭취량의 1% 이상을 섭취한 84종의 식품을 한식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한식 식단 (Korean diet)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행한 [2010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1주일 표준식단 (2,000 kcal/day)을 사용하였다. GSTM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 식물성 식품군의 Tail moment로 본 DNA 손상 감소효과는 곡류와 오일류에서만 GSTM1 wild type보다 mutant type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비해 DNA 손상 감소 효과를 % DNA in tail과 Tail moment로 본 결과, 견과류 과일류 채소류 버섯류 김치류 해조류에서 GSTT1 mutant type에 비해 wild type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GSTM1과 GSTT1의 combined genotype에 따라 한식 식물성 식품의 DNA 손상 감소효과를 본 결과, 과일류, 김치류, 버섯류, 채소류, 해조류는 1군 (GSTM1+/GSTT1+) 및 3군 (GSTM1-/GSTT1+)에서, 오일류는 3군 (GSTM1-/GSTT1+)에서 DNA 손상 감소 효과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감자류, 견과류, 곡류, 두류, Total은 DNA 손상 감소 효과가 2군 (GSTM1+/GSTT1-) 및 3군 (GSTM1-/GSTT1+)에서 유의하게 높아 식품군에 따라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DNA 손상 감소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식 식단은 DNA 손상의 세 가지 지표인 % DNA in tail, Tail moment, Tail length로 측정해본 결과 GSTM1의 경우 wild type에서 mutant type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T1의 경우는 genotype에 따라 DNA 손상이 달라지는 경향은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한식에서 주로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군에서는 식품에 따라 부분적으로 GSTM1은 mutant type에서, GSTT1은 wild type에서 DNA 손상 보호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M1과 GSTT1의 combined genotype에 따른 DNA 손상 보호효과는 식품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한식 식단에서는 DNA 손상 보호효과가 GSTM1 wild type에서 mutant type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T1 genotype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식 식물성 식품군 및 식사패턴의 항산화 기능 우수성을 증명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개인별 유전자에 따른 항산화 맞춤영양연구를 시작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과 한식 식물성 식품군의 유전적 민감도를 더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대상 인원을 늘려 수행하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살균공정 한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Limitation Standards Setting of Sterilization Processing to Vagetable Juice Contain Barley Sprout)

  • 방인희;정미연;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67-373
    • /
    • 2016
  • 본 연구는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제조공정 중 자외선살균공정의 한계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녹즙의 주원료인 보리새싹, 유기신선초, 당근, 유기민들레, 케일, 돌미나리, 신선초, 양배추는 2015년 12월 1일~2016년 3월 1일까지 충북 진천군 소재에 있는 CSJ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녹즙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녹즙의 배합비율은 Table 1과 같이 새싹채소(다채, 콜라비, 유채, 블로콜리) 18%와 새싹보리 3%, 신선초 18%, 오렌지 농축과즙 1%, 사과농축과즙 1%, 플라토올리고당 6%, 채소 발효즙 10%, 레몬농축액 0.4%와 정제수 39.6%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가열 살균방법은 자외선 살균방법으로 1차 230W 10단, 2차 320W 8단과 3차 320W 5단으로 살균기 모터속도는 1, 2차 25Hz와 3차 40Hz속도로 살균을 실시한 이후의 미생물검사 결과 민들레의 경우 세척 후 $2.56{\times}10^8CFU/mL$에서 법적기준인 100,000 CFU/mL보다 낮은 $5.96{\times}10^3CFU/mL$로 감소하였고, Coliform 과 식중독균들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리새싹을 함유한 녹즙의 자외선살균방법을 이용한 미생물학적 한계기준 설정에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산채류의 미생물 안전성 증진을 위한 가식성 항균 코팅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n Antimicrobial Edible Coating to Improve Microbial Safety of Wild Vegetables)

  • 최지은;김봉선;장윤지;배재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1
    • /
    • 2024
  • The edible coating system, consisting of gelatin and bacteriophages, has been developed to enhance the microbial safety of wild vegetables. Newly isolated Escherichia coli phage EP and Staphylococcus aureus phage SP were loaded into the gelatin coating solutions. The phages remained significantly stable for up to 3 days, respectively, and exhibited rapid antibacterial capacity within 2 h of coating application (p < 0.05). The developed coating was applied to bracken and exhibited antibacterial efficacy against E. coli and S. aureus within 6 h (1.9-log CFU/mL and 1.5-log CFU/mL). Furthermore, the coated bracken significantly prevented weight loss and maintained firmness for 10 days (p < 0.05). Consequently, gelatin-based edible coatings containing phages have the potential as an antibacterial packaging strategy.